
발생학-신경외배엽 발생
본 내용은
"
발생학-신경외배엽 발생
"
의 원문 자료에서 일부 인용된 것입니다.
2023.05.08
문서 내 토픽
-
1. 중추신경형성중배엽에서 분화된 척색(notochord)은 외배엽 등쪽 바로 아래에 위치한다. 척색과 연접한 외배엽 세포들의 상호관계는 외배엽 세포들이 신경관으로 분화하게 하는 원인이 된다. 척색은 1차 배아유도로써 외배엽이 신경관으로 분화하도록 한다. 배측 외배엽이 신경판을 형성하게 되고 신경관으로 분화한다. 신경판이 groove 되어 중앙에서 융합할 때 양쪽에 있던 신경습은 외배엽과 신경계 사이에 신경제 세포가 된다.
-
2. 신경제 형성신경판이 형성됬을 때 신경제가 만들어지는 곳은 정해져있다. 이 신경판이 groove가 되면 신경제가 모여 한쪽으로 몰리게 되고, 관이 아물어 갈때의 신경페소가 신경제세포로 바뀌어간다. 이렇게 신경세포와 신경제세포는 연결되고, 신경제세포는 주변 신경계와 연결된다. 뇌 신경계, 코, 눈, 설하신경 등등이 모두 신경제세포에서 유래된것이고, 척색의 관속에는 연합뉴런이 발달한다.
-
3. 축삭형성신경모세포로부터 축삭과 수상돌기가 형성되고 피질뉴런이 된다. 이 피질뉴런들이 모여 다양한 뉴런의 연접을 형성하여 중추신경조직이 된다. 신경제 바깥신경에서 교세포가 되는데 12쌍의 신경계와 척추의 운동신경과 감각신경을 형성한다.
-
4. 눈발생뇌세포가 계속 분열되어 하나의 공간을 만들게 된다. 이 공간에서 분화로 인해 하나의 세포층을 형성하게 되면서 눈을 발생시킨다.
-
5. 표피구조 기원바깥표피가 각질층, 이형세포, 과립층, 말피기층, 멜라닌 세포로 변해가는데 이것은 외배엽성에서 발견되는 독특한 특징이다. 또 털은 표피와 머리를 보호하고, 온도조절과 자외선 차단하는 기계조절등의 기능을 한다. 또 날개, 뿔도 표피세포가 분화한 것이다.
-
6. 체절 형성중간중배엽에서 제일 먼저 이루어진다. 체절형성된것을 현미경으로 보면 관을 중심으로 양쪽에 둥글둥글하게 달려있다. 몸중간에 체절이 발생할 때 brain이 만들어지고 그때 쯤 신장이 만들어지기 시작한다. 체절의 숫자는 종특이성을 나타내며 척추동물에 따라 다르게 정해진다.
-
7. 골격근 발생근발생은 특정세포가 myoblast determination protein 등 특수 단백질에 의해 유도되어 근모세포가 되고, 증식하는데 세포의 고유 특징 때문에 융합하게 되어 근섬유가 된다.
-
8. 골격 발생골격도 마찬가지로 간충직세포->연골->비대연골세포->뼈모세포->혈관->연골, 경골로 발생한다. sclerotone(결절)은 중추골격을 유도하고, 측판 중배엽으로부터 유도된 세포는 사지골격을 만든다.
-
9. 사지 발생사지 : 전지와 후지를 말한다 (정도차는 동물에 따라 다르다). 하등동물일수록 전지와 후지의 시간차가 길다. Limb bud(지아)는 신경, 근육, 골격분화 예정지이며, 여기서 사지가 분화한다.
-
10. 심장 발생심장의 발생은 측판중배엽과 신경관 주변에서 일어난다. 신경관에서 신경재세포가 되도록 유도하고, 신경관과 신경재세포가 심장이 되도록 유도한다. 신경제세포가 분화되 심장과 연결되면 교감신경이 된다.
-
1. 중추신경형성중추신경계의 형성은 매우 복잡하고 정교한 과정입니다. 신경관이 형성되고 신경관이 닫히면서 신경관 내부에서 신경세포와 신경교세포가 분화되어 나옵니다. 이 과정에서 신경관의 앞쪽 부분은 뇌로, 뒤쪽 부분은 척수로 발달합니다. 이러한 중추신경계의 발달은 매우 정교하게 조절되어야 하며, 이 과정에서 여러 가지 유전자와 신호전달 체계가 관여합니다. 중추신경계의 발달 과정에 대한 이해는 신경계 질환의 병인을 이해하고 치료법을 개발하는 데 매우 중요합니다.
-
2. 신경제 형성신경제는 신경세포와 신경교세포로 구성된 기능적 단위로, 신경계 발달의 기본 구조입니다. 신경제 형성 과정에서 신경세포와 신경교세포가 분화되고 상호작용하며 신경회로를 형성하게 됩니다. 이 과정은 매우 복잡하고 정교하게 조절되어야 하며, 신경제 형성의 장애는 신경계 질환의 주요 원인이 될 수 있습니다. 신경제 형성 과정에 대한 이해는 신경계 발달과 질환 연구에 매우 중요한 기반이 될 것입니다.
-
3. 축삭형성축삭은 신경세포의 주요 돌기로, 신경신호를 전달하는 역할을 합니다. 축삭 형성 과정은 신경세포의 분화와 성장, 그리고 축삭 돌기의 연장과 방향성 결정 등 매우 복잡한 과정입니다. 이 과정에는 다양한 유전자와 신호전달 체계가 관여하며, 축삭 형성의 장애는 신경계 질환의 주요 원인이 될 수 있습니다. 축삭 형성 과정에 대한 이해는 신경계 발달과 재생, 그리고 신경계 질환 치료법 개발에 매우 중요한 기반이 될 것입니다.
-
4. 눈발생눈은 매우 복잡한 구조를 가지고 있으며, 발생 과정 또한 매우 정교합니다. 눈은 신경외배엽에서 유래하며, 렌즈, 망막, 시신경 등 다양한 구조물이 발달합니다. 이 과정에는 여러 유전자와 신호전달 체계가 관여하며, 이들의 조절 장애는 선천성 안질환의 주요 원인이 됩니다. 눈 발생 과정에 대한 이해는 안질환의 병인 규명과 치료법 개발에 매우 중요한 기반이 될 것입니다.
-
5. 표피구조 기원표피는 피부의 가장 바깥층으로, 외부 환경으로부터 신체를 보호하는 중요한 역할을 합니다. 표피는 외배엽에서 유래하며, 각질세포, 멜라닌세포, 랑게르한스세포 등 다양한 세포로 구성됩니다. 표피 구조의 발달은 매우 복잡한 과정으로, 여러 유전자와 신호전달 체계가 관여합니다. 표피 구조 발달의 장애는 피부 질환의 주요 원인이 될 수 있습니다. 표피 구조 기원에 대한 이해는 피부 질환의 병인 규명과 치료법 개발에 중요한 기반이 될 것입니다.
-
6. 체절 형성체절은 척추동물의 체간부에서 반복적으로 나타나는 구조로, 근육, 골격, 신경 등 다양한 조직의 발달에 중요한 역할을 합니다. 체절은 중배엽에서 유래하며, 체절의 형성과 분절화 과정은 매우 복잡합니다. 이 과정에는 여러 유전자와 신호전달 체계가 관여하며, 체절 형성의 장애는 척추 기형 등 다양한 선천성 질환의 원인이 될 수 있습니다. 체절 형성 과정에 대한 이해는 척추동물의 발달과 선천성 질환 연구에 매우 중요한 기반이 될 것입니다.
-
7. 골격근 발생골격근은 신체 움직임의 주요 동력원으로, 발생 과정이 매우 복잡합니다. 골격근은 중배엽에서 유래하며, 근육 전구세포의 증식, 분화, 융합 등의 과정을 거쳐 성숙한 근섬유가 형성됩니다. 이 과정에는 다양한 유전자와 신호전달 체계가 관여하며, 골격근 발생의 장애는 선천성 근육 질환의 주요 원인이 됩니다. 골격근 발생 과정에 대한 이해는 근육 질환의 병인 규명과 치료법 개발에 매우 중요한 기반이 될 것입니다.
-
8. 골격 발생골격은 신체의 지지 구조이자 움직임의 기반이 되는 중요한 조직입니다. 골격은 중배엽에서 유래하며, 연골 및 골 조직이 발달하는 복잡한 과정을 거칩니다. 이 과정에는 다양한 유전자와 신호전달 체계가 관여하며, 골격 발생의 장애는 선천성 골격 기형의 주요 원인이 됩니다. 골격 발생 과정에 대한 이해는 골격 질환의 병인 규명과 치료법 개발에 매우 중요한 기반이 될 것입니다.
-
9. 사지 발생사지는 척추동물의 중요한 기관으로, 움직임과 감각 기능을 담당합니다. 사지는 중배엽에서 유래하며, 팔다리 형성, 골격 및 근육 발달, 신경 연결 등 복잡한 과정을 거쳐 발달합니다. 이 과정에는 다양한 유전자와 신호전달 체계가 관여하며, 사지 발생의 장애는 선천성 사지 기형의 주요 원인이 됩니다. 사지 발생 과정에 대한 이해는 사지 기형 질환의 병인 규명과 치료법 개발에 매우 중요한 기반이 될 것입니다.
-
10. 심장 발생심장은 순환계의 핵심 기관으로, 발생 과정이 매우 복잡합니다. 심장은 중배엽에서 유래하며, 심장 전구세포의 증식, 분화, 융합 등의 과정을 거쳐 발달합니다. 이 과정에는 다양한 유전자와 신호전달 체계가 관여하며, 심장 발생의 장애는 선천성 심장 기형의 주요 원인이 됩니다. 심장 발생 과정에 대한 이해는 선천성 심장 질환의 병인 규명과 치료법 개발에 매우 중요한 기반이 될 것입니다.
-
중추신경계통과 말초신경계통, 혈액과 면역생리, 심장혈관생리의 구조 및 기능 정리보고서1. 중추신경계통의 발생 중추신경계통의 발생 과정을 설명하고 있습니다. 배아 발생 초기에 외배엽과 신경판에 세포들이 위치하고, 이후 신경관이 형성되며, 전뇌, 중간뇌, 후뇌로 분리되고 최종적으로 대뇌, 사이뇌, 중간뇌, 소뇌, 다리뇌, 숨뇌, 척수 등 7개의 주된 부분이 형성됩니다. 대뇌는 다른 부위에 비해 빨리 자라서 출생 시 가장 크고 분명한 구조를 가...2025.05.16 · 의학/약학
-
발생생물학 전체 필기본_developmental biology 11판1. 발생 조직화의 기작 발생생물학은 하나의 organism이 만들어지는 과정을 공부하는 것으로, 종이 달라도 비슷한 단계를 가지며 cell-cell interaction, communication 등이 함축적으로 담겨있다. 분자생물학과 cell imaging의 새로운 기술 발전은 발생생물학의 질문들을 해결하는데 도움을 준다. 발생생물학의 두 가지 큰 목적...2025.01.13 · 자연과학
-
일반생물학및실험 개구리의 배 발생 5페이지
일반생물학 및 실험2실험 9. 개구리의 배 발생Ⅰ. 실험목적발생의 의미를 이해하고, 개구리의 배 발생 과정을 관찰한다.Ⅱ. 배경지식1. 발생다세포생물은 단세포성인 생식세포(난자와 정자)를 만들고 이것들은 수정과정을 거쳐 수정란이 된 뒤 수정란에 들어 있는 능력에 따라 규칙적으로 정해진 순서를 밟으면서 복잡한 체제를 만들어 간다. 이같은 현상을 개체발생이라고 하며, 개체발생에 대해서는 이미 오래 전부터 개구리 ·도롱뇽 ·성게 등을 재료로 하여 연구가 활발히 진행되어 왔다.2.수정난세포와 정세포가 합체하는 현상을 말한다. 포유류처럼 암...2021.06.06· 5페이지 -
성인간호학실습 A+ 난소암 사례 보고서_복강경하 난소낭종 절제술 18페이지
생식세포종양은 태생기 성선의 원시생식세포로부터 생겨난 것으로, 난소에서 발생하는 원발성 종양의 15~20%를 차지 하며, 주로 젊은 층의 여성에게 발생하는데 다른 종양과 비교하여 생물학적, 병리학적, 임상적 소견이 다양한 것이 특 징이다. 태아는 출생 시 40만 개 또는 그 이상의 난모세포를 가지고 있고 그 중 약 99%가 난포 폐쇄의 과정으로 인해 변성되어 없어지나 일부에서 난소암을 형성하는 데 영향을 미친다. 성숙 낭종성 기형종(MCT; Mature cystic teratoma) 또는 유피낭종(dermoid cyst)은 외배엽,...2024.08.01· 18페이지 -
고려대 일반생물학실험 일생실2 계란의 구조 및 수정란의 발생 보고서 8페이지
Exp.8 계란의 구조 및 수정란의 발생일반생물학실험Ⅱ 01분반실험 목적계란의 구조 및 수정란의 발생 과정 관찰을 통해 발생 과정에 대해 이해한다.이론, 실험 원리 및 추가 조사 내용발생: 동물의 정자와 난자가 수정된 배(embryo)가 난할과정을 거쳐 포배가 된 후 낭배 형성 을 통해 3배엽을 형성한 후 각각의 배엽으로부터 기관을 형성한 후 생장하여 새로운 개체가 되는 과정이다.수정: 암배우자(난세포)와 수배우자(정세포)가 합쳐지는 현상으로, 수정 결과 수정란이 형 성된다. 수정 전의 난을 미수정란이라고 한다. 하나의 정자만 난자...2025.03.17· 8페이지 -
발생학 태아의 발생과 기형아 진단 PPT 32페이지
발생학 - 태아의 발생과 기형아 진단 -태아란 ? 1 2 시기별 태아의 발생 과정 3 기형아 진단 CHAPTER태아란 ? 1 CHAPTER 태아 : 체내 수정에 의해 발생 모체의 자궁 내에서 자라는 포유류의 새끼CHAPTER 2 시기별 태아의 발생 과정* 1 주일 # 1~2 주차 배반포의 자궁 내 착상 ( 수정체의 분열로 배반포 형성 ) 난관의 원위부에서 난자와 정자 수정 수란관 내에서 2-4-8 세포 분열을 겪음* 배반포 (blastocyst) # 1~2 주차 겉 부분은 태반을 만드는 영양아층 (trophoblast) 이 되고 ,...2025.03.02· 32페이지 -
(시험대비) 여성간호학 정리 8페이지
여성간호학 정리 여성 생식기계는 난자를 생산하고 태아를 발달시키는 것 남성 생식기계는 정자를 생산하고 여성 내로 정자를 유입시키는 음경을 포함 (1) 외생식기 발생 4주기부터 머리부분에 생식기결정] 발생 9주기부터 남아의 경우 음경을 형성, 여아의 경우 음핵이 되고 소음순이 된다 (2) 내생식기[은하수] 남녀 모두가 존제! 2. 생식기의 구조와 기능[은하수] (1) 외생식기 a. 치구 치골결합(public symphysis) 앞면을 덮고 있는 곳, 지방조직과 결합조직. 성관계 시 치골결합을 보호하는 역할(풍부한 혈관, 지방샘, 땀샘...2025.05.11· 8페이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