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SDS-PAGE and Protein Analysis
문서 내 토픽
-
1. SDS의 역할 및 SDS-PAGE 원리SDS(Sodium Dodecyl Sulfate)는 계면활성제로서 친수성과 소수성 부분을 모두 지니고 있으며, 단백질을 변성할 수 있는 물질이다. SDS-PAGE는 이러한 SDS의 특성을 토대로 하여 단백질을 분자량에 따라 band 형태로 분리하는 실험이다. 단백질은 그 구조와 전하, 분자량이 모두 다르기 때문에 SDS를 통해 단백질의 구조와 전하를 모두 일정하게 한 뒤 분자량에 의해서만 분석을 진행한다.
-
2. Gel에 들어가는 시료의 역할Acrylamide와 N,N'-Methylene-bisacrylamide를 혼합한 용액을 제조하여 polymerization 된 acrylamide 사이를 cross-linking 하여 그물(net) 구조의 polyacrylamide gel을 형성한다. APS(Ammonium persulfate)는 free radical polymerization의 initiator로서 작용하며, TEMED(Tetramethylethylenediamine)가 free radical 형성의 catalyst로 서 작용하여 polyacrylamide gel 형성을 촉진한다. SDS는 단백질 변성 및 음전하화에 기여하고, Tris-HCl은 buffer로서 용액의 pH 변화를 막는다.
-
3. Resolving Gel과 Stacking Gel의 차이Stacking gel은 각 단백질이 gel에서 일렬로 정렬되도록 하고, resolving gel은 단백질의 분자량에 따른 이동 속도의 차이를 극대화한다. Stacking gel은 pH 6.8, 5% polyacrylamide 농도를 사용하고, resolving gel은 pH 8.8, 8% polyacrylamide 농도를 사용한다.
-
4. Coomassie BlueCoomassie blue는 SDS-PAGE 시 단백질을 staining 하기 위해 사용되는 용액으로, 0.5~40㎍의 적은 단백질도 감지할 수 있다. 본 실험에서는 Coomassie blue G-250을 이용하여 dye 하였으며, 이는 polyacrylamide gel을 가장 빠르고 편리하게 염색할 수 있도록 한다.
-
5. 실험 결과 분석실험 결과, NaCl의 농도가 높을수록 50~70kDa 범위의 band가 진해지는 것을 확인하였다. 이는 이론적으로 NaCl의 농도가 높을수록 AP가 더 많이 elution 되기 때문이다. 또한 정제 전보다 정제 후 AP의 순도가 높아졌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그러나 정제하고자 하는 단백질 외의 band도 존재하였는데, 이는 AP 외에도 DEAE+와 binding한 단백질이 함께 elution 되었기 때문으로 보인다.
-
1. SDS의 역할 및 SDS-PAGE 원리SDS(Sodium Dodecyl Sulfate)는 단백질 변성제로 사용되며, SDS-PAGE(Sodium Dodecyl Sulfate-Polyacrylamide Gel Electrophoresis)는 단백질 분자량 분석에 널리 사용되는 기법입니다. SDS는 단백질의 2차, 3차 구조를 파괴하여 단백질을 선형 구조로 만들고, 음전하를 부여합니다. 이를 통해 단백질의 고유한 전하량과 크기에 따라 분리되어 분자량을 확인할 수 있습니다. SDS-PAGE는 단백질 분리, 정제, 순도 확인 등 다양한 분야에서 활용되는 중요한 기술입니다.
-
2. Gel에 들어가는 시료의 역할Gel에 들어가는 시료는 SDS-PAGE 실험에서 매우 중요한 역할을 합니다. 시료에는 단백질 샘플, SDS, 환원제(예: β-mercaptoethanol), 글리세롤, 트래킹 염료 등이 포함됩니다. SDS는 단백질을 변성시켜 일정한 음전하를 부여하고, 환원제는 단백질의 이황화 결합을 끊어 선형 구조로 만듭니다. 글리세롤은 시료의 밀도를 높여 gel 내에서 침강되도록 하며, 트래킹 염료는 전기영동 과정을 모니터링할 수 있게 합니다. 이러한 시료 구성 요소들은 단백질의 효과적인 분리와 분석을 위해 필수적입니다.
-
3. Resolving Gel과 Stacking Gel의 차이SDS-PAGE에서 Resolving Gel과 Stacking Gel은 서로 다른 역할을 합니다. Resolving Gel은 실제 단백질 분리가 일어나는 부분으로, 높은 농도의 acrylamide를 포함하고 있어 단백질 분자량에 따른 분리가 잘 이루어집니다. 반면 Stacking Gel은 낮은 농도의 acrylamide로 구성되어 있어, 시료가 모여 좁은 띠를 형성하도록 합니다. 이를 통해 시료가 Resolving Gel로 균일하게 진입할 수 있어 분리 효율이 높아집니다. Resolving Gel과 Stacking Gel의 조성 및 pH 차이로 인해 단백질이 효과적으로 분리될 수 있습니다.
-
4. Coomassie BlueCoomassie Blue는 SDS-PAGE에서 단백질을 염색하는 데 널리 사용되는 염료입니다. Coomassie Blue는 단백질과 결합하여 푸른색을 띠게 되며, 이를 통해 gel 상에서 단백질 밴드를 확인할 수 있습니다. Coomassie Blue는 비교적 저렴하고 민감도가 높아 단백질 분석에 유용합니다. 또한 Coomassie Blue 염색 후 탈색 과정을 거치면 단백질 밴드의 농도를 정량적으로 분석할 수 있습니다. 이러한 특성으로 인해 Coomassie Blue는 SDS-PAGE에서 가장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단백질 염색 방법 중 하나입니다.
-
5. 실험 결과 분석SDS-PAGE 실험 결과 분석은 단백질 연구에서 매우 중요한 단계입니다. 실험 결과를 통해 단백질의 분자량, 순도, 발현 정도 등을 확인할 수 있습니다. 단백질 밴드의 위치와 강도를 분석하여 목표 단백질의 존재 여부와 양을 확인할 수 있습니다. 또한 예상되는 단백질 크기와 실제 관찰된 크기를 비교하여 단백질의 변형 여부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이러한 분석을 통해 단백질 정제, 발현 최적화, 구조 변화 등 후속 실험을 계획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SDS-PAGE 실험 결과에 대한 체계적이고 심도 있는 분석은 단백질 연구에서 필수적입니다.
[이화여대 생명과학실험1 분반1등 A+ 레포트] SDS-PAGE and Protein Analysis
본 내용은 원문 자료의 일부 인용된 것입니다.
2024.09.03
-
Protein Regulation1. Auxin-induced degron system Auxin-induced degron system은 특정 target protein을 원하는 상황에서 제거하기 위해 사용되는 방식으로, AID가 결합된 protein과 OsTir1이 같이 존재할 경우에 IAA(auxin)가 존재하지 않을 경우에는 정상적으로 protein이 존재할 수 있지만, IAA가 ...2025.01.18 · 자연과학
-
Western Blotting 레포트1. Western Blotting Western Blotting은 단백질을 감지하고 양을 확인하여 분자량을 측정할 수 있는 방법입니다. 단백질을 polyacrylamide gel에서 전기영동으로 분리하고, nitrocellulose membrane에 옮긴 후, 찾고자 하는 단백질의 primary antibody와 secondary antibody를 이용하...2025.01.21 · 의학/약학
-
Cell harvest and protein assay1. Cell harvest 세포 배양 시 adherent cell과 suspension cell로 구분할 수 있으며, adherent cell을 harvest하는 방법에는 화학적 방법(trypsin, accutase 사용)과 물리적 방법(scraper 사용)이 있다. 이번 실험에서는 물리적 방법인 scraper를 사용하여 adherent cell을 har...2025.01.23 · 의학/약학
-
Western Blotting1. Western Blotting Western blotting은 sample 내 특정 단백질의 존재 여부나 크기, 양 등을 확인하는 실험법으로, 해당 단백질과 결합하는 antibody를 이용하여 단백질을 찾아내는 방식을 이용한다. 이 실험을 통해 western blotting의 과정과 원리를 이해할 수 있다. 2. SDS-PAGE SDS-PAGE는 SD...2025.01.21 · 의학/약학
-
[생화학실험] Western blot Analysis 완충용액 제조와 시약 제조 시 유의사항1. Western Blot Analysis Western Blot은 전기영동을 통해 분리된 단백질 중 항원-항체 반응을 이용하여 특정 단백질의 존재를 확인하는 방법입니다. 실험 과정 중 과도한 pH 변화를 안정화시키기 위해 완충용액(Buffer)를 사용하는데, Western Blot Analysis에 필요한 완충용액은 Tris-Buffered Saline...2025.01.29 · 자연과학
-
생명과학실험1 Western Blot1. Western Blot Western Blot은 gel 전기영동을 통해 단백질을 분리하고, 특정 단백질의 존재 여부를 확인하는 실험이다. 이 실험에서는 SDS-PAGE를 이용하여 단백질을 크기별로 분류하고, 분류된 단백질을 membrane으로 옮긴 후에 항원-항체 상보적 결합을 이용하여 단백질의 존재 여부를 시각화하여 결과를 확인한다. 2. SDS-P...2025.01.17 · 자연과학
-
분자유전학실험레포트(A+) Protein extraction and Quantitative analysis and SDS-PAGE. 단백질 정량을 통한 단백질 sample의 농도 추정 및 SDS-PAGE의 staining결과 패턴 분석(BSA 희석배수에 따른 O.D.값과 단백질 농도 그래프有, staining한 사진有). protein 염색법. 12페이지
Ⅰ. Abstract본 실험은 단백질 정량을 통하여 단백질 sample의 농도를 추정하고 SDS-PAGE의 running 후 staining결과를 해석하는 목적으로 진행하였다. 1/2, 1/4, 1/8, 1/16, 1/64배로 희석한 단백질 sample의 595nm에서의 O.D값을 측정하고 단백질 희석배수와 비교하여 standard curve를 작성한 후 각 조의 sample 농도를 추정하였다. SDS-PAGE loading에 이용할 시료는 단백질의 양을 10μg으로 정량하고, sample buffer와 extraction buff...2021.03.24· 12페이지 -
[생화학실험] Western blot Analysis 완충용액 제조와 시약 제조 시 유의사항 3페이지
Western Blot Analysis 완충용액 제조와 시약 제조 시 유의 사항 *******과 ******** *** *조 2023.09.12. Abstract 시약 제조는 알맞은 실험 결과를 도출해 내기 위한 중요한 과정으로 실험 초기 과정에 해당한다. 본 실험에선, Western Blot Analysis에 사용되는 완충용액인 Tris-Buffered Saline(TBS), Tris-Glycine(SDS-Running Buffer), Transfer Buffer를 제조하였다. 제조가 완료된 시약은 Autoclave된 시약병에 옮...2024.12.23· 3페이지 -
분자생명공학 기초실험 레포트(SDS-PAGE & Western Blot Analysis) 2페이지
1. Title : SDS-PAGE & Western Blot Analysis2. ObjectiveSDS-PAGE 와 Western Blot의 원리를 이해하기3. Experimental BackgroundsSDS-PAGE에서 SDS는 sodium dodecyl sulfate의 약자로 protein을 denature시키고 negative charge를 걸어주어 protein이 크기에 의해서만 분리될 수 있도록 해준다. PAGE는 polyacrylamide gel electrophoresis의 약자로 protein을 크기별로 걸러줄 수...2021.01.17· 2페이지 -
유전자 변형 식품 (GMO, Genetically modified Organism) 에 대한 문헌 조사 7페이지
Research Review Project OutlineNameIntroductionAs genetic engineers have developed “genetic modification technology”, new genetically modified(GM) crops have been out into the world. The major GM crops include soybean, corn, cotton and rapeseed. Soybean accounts for 50% of the area of cultivation of...2022.03.20· 7페이지 -
경희대학교 생리유전학실험 - 미생물유전학 실험 최종 보고서(A+보고서) 38페이지
미생물유전학 실험 리포트장소기간교수명담당 조교명제출자차례1. Introduction: molecular analysis of active domains in the Ferritin of Deinococcus geothermalis2. Plasmid isolation & PCR (polymerase chain reaction)3.DNA purification, Restriction enzyme digestion & Transformation4. LB/LA 배지 제조 & Streaking(1, 2차)5. Protein induction...2022.07.12· 38페이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