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공신장실 반영일지
본 내용은
"
인공신장실 반영일지
"
의 원문 자료에서 일부 인용된 것입니다.
2023.04.27
문서 내 토픽
  • 1. 혈액투석
    혈액투석은 만성신부전 환자들이 신장 기능이 악화되어 혈액 내에 노폐물이 많이 축적된 경우 혈액 내의 노폐물을 제거하기 위해 시행하는 것이다. 혈액투석을 하기 위해서는 동맥과 정맥을 연결한 동정맥루가 필요하며, 이는 수술적으로 만들어진다. 동정맥루에는 AVF(자가혈관)와 AVG(인조혈관)의 두 가지 종류가 있으며, 각각의 장단점이 있다. 혈액투석 시 혈액의 응고를 막기 위해 헤파린이 사용되며, 혈액응고장애가 있는 환자의 경우 생리식염수 세척 등 다른 방법을 사용할 수 있다.
  • 2. 투석 중 합병증
    혈액투석 중 또는 후에 나타날 수 있는 합병증으로는 저혈압, 피곤한 증상, 조절되지 않는 고혈압, 근육경련, 오심, 구토, 두통, 흉통, 요통 등이 있다. 이러한 증상들은 투석 중 수분 및 노폐물 제거량, 기저질환, 투석 방법 등에 따라 다양하게 나타날 수 있다. 따라서 이러한 증상이 지속되거나 심할 경우 의료진과 상의하여 원인을 찾고 적절한 처치를 받는 것이 중요하다.
  • 3. 수혈
    만성신부전 환자들은 신장에서 에리스로포이에틴 분비가 감소하여 빈혈이 발생하므로, 투석 중 조혈제 투여를 받는 경우가 많다. 또한 투석 중 출혈이 발생할 수 있어 수혈이 필요할 수 있다. 투석기를 통한 수혈은 일반적인 수혈과 달리 투석막을 통해 혈액이 한번 더 걸러지므로 최소 30분 만에 수혈이 가능하다. 수혈 시 주의해야 할 점으로는 혈액의 상태 확인, 환자 확인, 부작용 모니터링 등이 있다.
  • 4. 동정맥루 관리
    만성신부전 환자들은 혈액투석을 위해 동정맥루를 가지고 있다. 동정맥루는 수술적으로 만들어지며, AVF(자가혈관)와 AVG(인조혈관)의 두 가지 종류가 있다. 동정맥루 관리 시 주의해야 할 점으로는 혈관 벽이 얇아지지 않도록 동일한 부위에 반복적으로 바늘을 삽입하지 않기, 동정맥루가 있는 팔에 혈압계나 주사 등을 사용하지 않기, 동정맥루 부위를 보호하기 위해 장신구나 꽉 끼는 옷 착용 피하기 등이 있다.
  • 5. 복막투석
    복막투석은 복막을 이용하여 노폐물과 수분을 제거하는 방법이다. 복막투석 시 도관 관리가 중요한데, 도관 주변 피부 상태 확인, 소독, 연고 도포 등의 관리가 필요하다. 또한 복막염 예방을 위해 철저한 위생 관리가 중요하다.
  • 6. PERM 카테터
    PERM 카테터는 만성신부전 환자들의 혈액투석을 위해 사용되는 중심정맥 카테터이다. PERM 카테터는 쇄골하정맥에 삽입되어 상대정맥을 지나 우심방에 위치한다. PERM 카테터 관리 시 주기적인 혈액 흡인, 헤파린 주입 등이 필요하다.
  • 7. 접촉주의
    CRE(카바페넴 내성 장내세균)와 CPE(카바페넴 분해효소 생성 장내세균)는 의료기관 내에서 집단 발생의 위험이 높은 다제내성균이다. 이러한 환자에게는 접촉주의 지침에 따라 개인보호구 착용, 환자 배치, 환경 관리 등의 주의가 필요하다.
  • 8. 3way Foley 카테터
    3way Foley 카테터는 방광 내 혈괴나 농, 점액 등을 씻어내기 위해 사용된다. 3way 카테터에는 balloning용, 소변 배출용, 생리식염수 주입용 등 3개의 관이 있다.
  • 9. 동정맥루 혈류검사
    혈액투석 환자들은 정기적으로 동정맥루의 혈류를 검사한다. 이를 통해 혈관 협착이나 폐쇄 등을 조기에 발견하여 예방할 수 있다. 정상 혈류량은 forearm 600-2000ml/min, upper arm 800-2300ml/min 정도이다.
  • 10. 투석 환자 혈당관리
    투석 환자들은 인슐린 주입을 통해 혈당을 관리하는 경우가 많다. 이 때 infusion pump를 사용하며, 주기적인 혈당 측정과 pump 관리가 필요하다. 투석 환자의 정상 혈당 범위는 공복 시 100-125mg/dL, 식후 2시간 140-199mg/dL 정도이다.
  • 11. CPR
    코드 블루 상황 발생 시 의료진의 역할 분담과 CPR 순서가 중요하다. 의식 확인, 도움 요청, 가슴압박, 인공호흡, 제세동, 약물 투여 등의 단계로 진행되며, 각 의료진의 역할이 명확히 구분된다.
Easy AI와 토픽 톺아보기
  • 1. 혈액투석
    혈액투석은 말기 신부전 환자들에게 필수적인 치료법입니다. 이 과정을 통해 체내 노폐물과 수분을 제거하여 건강을 유지할 수 있습니다. 그러나 혈액투석은 환자에게 많은 부담을 줄 수 있습니다. 투석 과정에서 저혈압, 근경련, 두통 등의 부작용이 발생할 수 있으며, 장기적으로는 빈혈, 골 질환, 심혈관 질환 등의 합병증이 생길 수 있습니다. 따라서 의료진과 환자가 긴밀히 협력하여 부작용을 최소화하고 환자의 삶의 질을 높일 수 있는 방안을 모색해야 합니다. 또한 투석 외에도 신장 이식, 약물 치료 등 다양한 치료법을 고려하여 환자 개인의 상황에 맞는 최선의 치료법을 선택해야 할 것입니다.
  • 2. 투석 중 합병증
    투석 중 발생할 수 있는 합병증은 매우 다양하며, 이를 예방하고 관리하는 것이 매우 중요합니다. 저혈압, 근경련, 두통, 오한, 구토 등의 급성 합병증부터 빈혈, 골 질환, 심혈관 질환 등의 만성 합병증까지 다양한 문제가 발생할 수 있습니다. 이를 예방하기 위해서는 환자의 상태를 면밀히 모니터링하고, 투석 중 발생할 수 있는 문제를 신속히 발견하여 적절한 조치를 취해야 합니다. 또한 환자의 식단 관리, 운동 요법, 약물 치료 등 다각도의 접근이 필요할 것입니다. 의료진과 환자가 긴밀히 협력하여 투석 중 발생할 수 있는 합병증을 최소화하고, 환자의 건강과 삶의 질을 높일 수 있도록 노력해야 할 것입니다.
  • 3. 수혈
    투석 환자에게 수혈은 매우 중요한 치료법 중 하나입니다. 투석 과정에서 발생할 수 있는 빈혈을 치료하고, 수술이나 출혈 등의 상황에서 혈액 공급을 원활히 하기 위해 수혈이 필요합니다. 그러나 수혈에는 감염 위험, 면역 반응, 순환 과부하 등의 부작용이 발생할 수 있으므로 주의가 필요합니다. 따라서 의료진은 환자의 상태를 면밀히 모니터링하고, 수혈의 필요성과 부작용 위험을 종합적으로 고려하여 적절한 시기와 방법으로 수혈을 시행해야 합니다. 또한 환자 교육을 통해 수혈의 필요성과 부작용에 대한 이해를 높이고, 환자와 보호자의 동의를 구하는 등 안전한 수혈 과정을 거치는 것이 중요할 것입니다.
  • 4. 동정맥루 관리
    동정맥루는 혈액투석 환자에게 필수적인 혈관 접근로입니다. 동정맥루의 관리는 투석 치료의 성공과 직결되므로 매우 중요합니다. 동정맥루 관리에는 감염 예방, 혈류 유지, 혈전 예방 등이 포함됩니다. 의료진은 정기적인 검진을 통해 동정맥루의 상태를 모니터링하고, 필요 시 적절한 중재 조치를 취해야 합니다. 또한 환자 교육을 통해 동정맥루 관리의 중요성을 인식시키고, 환자 스스로 동정맥루 관리에 적극적으로 참여할 수 있도록 해야 합니다. 이를 통해 동정맥루 관련 합병증을 예방하고, 투석 치료의 효과를 극대화할 수 있을 것입니다.
  • 5. 복막투석
    복막투석은 혈액투석과 함께 말기 신부전 환자에게 중요한 치료법 중 하나입니다. 복막투석은 환자의 복막을 이용하여 노폐물과 수분을 제거하는 방식으로, 혈액투석에 비해 상대적으로 덜 침습적이며 환자의 삶의 질을 높일 수 있습니다. 그러나 복막염, 복막 섬유화, 탈수 등의 합병증이 발생할 수 있으므로 주의가 필요합니다. 의료진은 환자의 상태를 면밀히 모니터링하고, 합병증 예방을 위한 교육과 관리를 제공해야 합니다. 또한 환자 개인의 특성과 선호도를 고려하여 혈액투석과 복막투석 중 최적의 치료법을 선택할 수 있도록 해야 할 것입니다.
  • 6. PERM 카테터
    PERM 카테터는 말기 신부전 환자에게 혈액투석을 위한 혈관 접근로를 제공하는 중요한 의료기기입니다. PERM 카테터는 동정맥루 형성이 어려운 경우나 응급 상황에서 신속한 혈관 접근이 필요한 경우에 사용됩니다. 그러나 PERM 카테터 사용 시 감염, 혈전, 출혈 등의 합병증이 발생할 수 있으므로 주의가 필요합니다. 의료진은 PERM 카테터 삽입 및 관리에 대한 전문성을 갖추고, 환자의 상태를 면밀히 모니터링하여 합병증을 예방하고 신속히 대응해야 합니다. 또한 환자 교육을 통해 PERM 카테터 관리의 중요성을 인식시키고, 환자 스스로 관리에 참여할 수 있도록 해야 할 것입니다.
  • 7. 접촉주의
    투석 환자는 감염에 취약하므로 의료기관에서 접촉주의 지침을 준수하는 것이 매우 중요합니다. 접촉주의에는 손 위생, 개인보호구 착용, 환경 관리 등이 포함됩니다. 의료진은 이러한 지침을 철저히 준수하여 투석 환자의 감염 위험을 최소화해야 합니다. 또한 환자와 보호자에게 접촉주의의 중요성을 교육하고, 환자 스스로도 이를 실천할 수 있도록 해야 합니다. 이를 통해 투석 환자의 안전을 보장하고, 감염 관련 합병증을 예방할 수 있을 것입니다.
  • 8. 3way Foley 카테터
    3way Foley 카테터는 방광 배뇨 장애 환자의 치료에 사용되는 의료기기입니다. 이 카테터는 방광 세척, 약물 주입, 배뇨 등 다양한 기능을 수행할 수 있어 편리하지만, 감염 위험이 높다는 단점이 있습니다. 따라서 의료진은 3way Foley 카테터 삽입 및 관리 시 철저한 무균 술기를 준수해야 하며, 정기적인 모니터링을 통해 감염 징후를 조기에 발견하고 신속히 대응해야 합니다. 또한 환자 교육을 통해 카테터 관리의 중요성을 인식시키고, 환자 스스로도 관리에 참여할 수 있도록 해야 할 것입니다. 이를 통해 3way Foley 카테터 관련 감염 합병증을 예방하고, 환자의 안전과 건강을 보장할 수 있을 것입니다.
  • 9. 동정맥루 혈류검사
    동정맥루는 혈액투석 환자에게 필수적인 혈관 접근로이므로, 동정맥루의 혈류 상태를 정기적으로 모니터링하는 것이 매우 중요합니다. 동정맥루 혈류검사를 통해 혈전 형성, 협착, 감염 등의 문제를 조기에 발견하고 적절한 중재 조치를 취할 수 있습니다. 의료진은 환자의 상태와 동정맥루 특성을 고려하여 적절한 검사 방법과 주기를 결정해야 합니다. 또한 환자 교육을 통해 동정맥루 혈류검사의 중요성을 인식시키고, 검사 결과에 대한 이해를 높여 환자 스스로도 동정맥루 관리에 적극적으로 참여할 수 있도록 해야 할 것입니다.
  • 10. 투석 환자 혈당관리
    투석 환자의 혈당 관리는 매우 중요합니다. 투석 환자는 신장 기능 저하로 인해 혈당 조절이 어려울 수 있으며, 고혈당이나 저혈당 등의 문제가 발생할 경우 심각한 합병증으로 이어질 수 있습니다. 따라서 의료진은 투석 환자의 혈당을 정기적으로 모니터링하고, 약물 치료, 식단 관리, 운동 요법 등 다각도의 접근을 통해 혈당을 적절히 조절해야 합니다. 또한 환자 교육을 통해 혈당 관리의 중요성을 인식시키고, 환자 스스로도 혈당 측정과 관리에 적극적으로 참여할 수 있도록 해야 할 것입니다. 이를 통해 투석 환자의 건강과 삶의 질을 높일 수 있을 것입니다.
  • 11. CPR
    투석 환자에게 심폐소생술(CPR)은 매우 중요한 응급 처치 방법입니다. 투석 환자는 심혈관 질환, 전해질 불균형, 저혈압 등의 문제로 인해 심정지 위험이 높기 때문입니다. 따라서 의료진은 투석 환자의 특성을 고려하여 CPR 술기를 숙련되게 수행할 수 있어야 합니다. 또한 투석 환자와 보호자에게 CPR의 중요성과 응급 상황 대처법을 교육하여, 환자 스스로와 보호자도 필요 시 신속히 대응할 수 있도록 해야 합니다. 이를 통해 투석 환자의 생명을 구하고, 응급 상황에 효과적으로 대처할 수 있을 것입니다.
주제 연관 리포트도 확인해 보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