저혈량성 쇼크 사례보고서 간호과정 1개 A+ (간호과정 자세함)
본 내용은
"
저혈량성 쇼크 사례보고서 간호과정 1개 A+ (간호과정 자세함)
"
의 원문 자료에서 일부 인용된 것입니다.
2023.04.25
문서 내 토픽
  • 1. 저혈량성 쇼크
    58세 남성 김씨는 오전 11시경 직장 동료와 함께 구급차를 타고 응급실에 내원하였다. 직장동료의 말에 따르면 김씨는 공사장에서 일을 하던 중 4층 높이에서 떨어졌다고 하였다. 안전모를 착용하고 있었으나 안전장치가 없어 바닥으로 추락했다고 하였다. 김씨가 처음 응급실에 들어왔을 때 의식은 alert 하였지만 점점 drowsy한 양상을 보였으며 안색이 창백하고 피부가 차고 축축한 양상을 보였다. 김씨는 얕은 찰과상 외에 겉으로 보이는 출혈은 없으나 심한 복부통증을 호소하고 있었다. 위치는 갈비뼈 아래 왼쪽 복부로 NRS 10점이 측정되었다. 김씨는 갈증과 오한을 호소였으며 활력징후는 BP: 87/59mmHg, HR: 128회/분, RR: 33회/분으로 빠르고 얕은 호흡을 보이고 있고, BT: 37.1°C, SpO2: 94%로 측정되었다. 복부는 단단하고 장음이 소실되어 있었다. 입술은 말라있으나 갈라져있지 않고 점막은 건조해 보였다. 김씨는 중환자실로 옮겨져 EKG monitoring과 비강캐뉼라로 산소 2L/min으로 투여 중이다. 유치도뇨관을 삽입하여 시간당 소변량을 측정하고 있으며 소변량은 20cc/hr로 측정되었다.
Easy AI와 토픽 톺아보기
  • 1. 저혈량성 쇼크
    저혈량성 쇼크는 심각한 의학적 응급 상황으로, 신체에 필요한 혈액량이 부족하여 발생하는 상태입니다. 이는 출혈, 탈수, 심각한 화상 등 다양한 원인으로 인해 발생할 수 있습니다. 저혈량성 쇼크 환자는 혈압 저하, 빠른 맥박, 피부 창백 및 차가운 감촉, 의식 저하 등의 증상을 보입니다. 신속한 진단과 치료가 필요하며, 수액 공급, 지혈, 혈압 유지 등의 응급 처치가 중요합니다. 의료진의 신속한 대응과 환자의 적극적인 협조가 필요한 상황이라고 할 수 있습니다.
주제 연관 리포트도 확인해 보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