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ilatometer 실험 사전&결과보고서
본 내용은
"
[A+신소재공학과 실험]dilatometer 실험 사전&결과보고서
"
의 원문 자료에서 일부 인용된 것입니다.
2023.04.22
문서 내 토픽
  • 1. 열분석
    열분석은 물질(재료)의 가열 또는 냉각 과정에서 볼 수 있는 성질인 불연속적인 변화를 이용하여 상변화를 일으키는 온도를 결정하는 것으로 온도를 일정한 프로그램에 따라 변화시키면서 물질(재료)의 물리적 성질을 온도나 시간의 함수로 측정하는 방법이다. 열분석으로 측정 가능한 반응은 상전이, 용융점 측정, 열분해, 유리전이 온도, 산화 및 환원 등으로 다양하다. 또한 열분석은 크게 열량변화, 질량변화, 길이변화를 측정하는 3가지 방법으로 나눌 수 있다. 그 중, 본 Dilatometer 실험은 열에 따른 길이 변화를 측정하는 것이다.
  • 2. Dilatometer 측정 원리
    딜라토미터(Dilatometer)는 가해지는 하중이 거의 없는 상태에서의 온도함수에 따른 재료의 면적 변화를 측정하는 방법이다. 즉, 샘플이 T1에서 T2까지 가열될 때 나타나는 길이의 차이를 측정하는 것이다. Dilatometer의 기본적인 원리는 변위측정자기센서(LVDT)를 사용하여 길이변화를 측정하는 것이다. 대부분 수평방향으로 샘플을 석영관(튜브)에 올려두고 관상로에 넣은 후, Pushrod를 샘플에 접촉시켜둔다. Pushrod 반대쪽은 LVDT가 연결되어 있어서 샘플의 부피가 팽창하면 Pushrod의 이동거리를 LVDT에서 측정하게 된다.
  • 3. Thermocouple(열전대)
    두 종류의 금속을 접속했을 때 접점 온도가 다르면 기전력이 생겨 회로에 전류가 흐른다. 이 기전력(열기전력)의 크기를 이용하여 온도를 측정하는 온도센서를 Thermocouple(열전대)라고 한다. 도체인 서로 다른 두 종류의 금속이 서로 다른 열 특성(열용량, 열전도 등)을 가짐으로써 둘의 차이를 통해 온도를 알아낸다. 열전대 종류는 열전대를 구성하는 금속 별 타입을 말하며 캘리브레이션(교정) 타입이라고도 한다.
  • 4. 열팽창 계수
    온도가 1°C 상승함에 따라 증가하는 길이의 변화를 선팽창계수, 부피의 변화를 체팽창계수라고 하며 이들을 열팽창 계수라고 한다. 모든 물체는 열을 받으면 온도가 증가하고 이에 비례하여 체적이 늘어난다. 그리고 반대로 외부로 열을 방출하게 되면 온도가 감소하고 그에 따라 체적이 감소한다. 등방성 재료는 방향별(x,y,z)로 열팽창 계수가 동일한 값을 가지지만 이방성 재료의 경우 방향별(x,y,z)로 열팽창 계수가 서로 다른 값을 가진다.
  • 5. 페라이트(alpha -ferrite)
    900°C 이하에서 안정한 체심입방결정(bcc)의 철에 합금원소나 불순물이 녹아서 된 alpha 철을 바탕으로 한 고용체이다. 현미경으로 보면 단상으로 탄소가 조금 녹아 있는 페라이트의 흰 부분과 펄라이트의 검은 부분으로 섞여 나타나있는 것을 볼 수 있다.
  • 6. 펄라이트(delta -펄라이트)
    페라이트와 시멘타이트가 층을 이루는 조직으로 탄소 0.76%의 강을 약 750°C 이상의 온도에서 서서히 냉각시키면 650~600°C에서 변태를 일으켜 나타나는 조직이다. 0.76% 이하, 상온에서의 조직은 펄라이트와 페라이트이고 탄소 0.76%이상에서는 펄라이트와 시멘타이트로 구성된다.
  • 7. 실험 결과 분석
    Dilatometer 실험을 통해 나온 결과값으로 A 강종의 가열 및 냉각곡선을 얻어 상변태(변태온도), 선팽창계수, 상분율, 조직량 등을 알아보았다. A 강종은 가열하였을 때, 변위가 증가하다 갑자기 감소하는 구간이 발생하였는데 이는 BCC인 페라이트가 FCC인 오스테나이트로 변태함으로 인해 수축이 발생하였기 때문이다. 냉각에서도 변위가 감소하다 갑자기 증가하는 구간이 발생하였는데 이는 FCC인 오스테나이트가 BCC인 페라이트로 변태함으로 인해 팽창이 발생하였기 때문이다.
Easy AI와 토픽 톺아보기
  • 1. 열분석
    열분석은 물질의 열적 특성을 연구하는 중요한 분석 기법입니다. 이를 통해 물질의 상변화, 열분해, 산화 및 환원 반응 등을 관찰할 수 있습니다. 열분석 기법은 재료 과학, 화학, 생명 과학 등 다양한 분야에서 널리 활용되고 있습니다. 열분석 데이터를 정확하게 해석하고 분석하는 것은 물질의 구조와 특성을 이해하는 데 매우 중요합니다. 따라서 열분석 기법에 대한 깊이 있는 이해와 전문성이 필요합니다.
  • 2. Dilatometer 측정 원리
    Dilatometer는 물질의 열팽창 특성을 측정하는 장비입니다. 이 장비는 온도 변화에 따른 시료의 길이 변화를 정밀하게 측정할 수 있습니다. Dilatometer 측정 원리는 시료의 길이 변화를 감지하는 변위 센서와 온도 센서를 이용하여 온도 변화에 따른 길이 변화를 실시간으로 기록하는 것입니다. 이를 통해 물질의 열팽창 계수, 상변화 온도 등의 정보를 얻을 수 있습니다. Dilatometer 측정은 재료 특성 평가, 상변화 분석, 열처리 공정 최적화 등 다양한 분야에서 활용됩니다.
  • 3. Thermocouple(열전대)
    Thermocouple(열전대)은 온도 측정을 위한 가장 널리 사용되는 센서 중 하나입니다. 열전대는 두 종류의 금속 도선을 접합하여 만든 것으로, 온도 변화에 따라 발생하는 열기전력을 측정하여 온도를 감지합니다. 열전대는 구조가 간단하고 내구성이 뛰어나며, 다양한 온도 범위에서 사용할 수 있는 장점이 있습니다. 또한 열전대는 실험실 연구, 산업 공정 모니터링, 가전제품 등 광범위한 분야에서 활용되고 있습니다. 열전대 선택 및 교정, 측정 오차 관리 등에 대한 이해가 필요합니다.
  • 4. 열팽창 계수
    열팽창 계수는 물질의 온도 변화에 따른 체적 또는 길이 변화를 나타내는 중요한 물성입니다. 열팽창 계수는 재료 선택, 설계, 공정 제어 등 다양한 분야에서 활용됩니다. 예를 들어 건축 자재의 열팽창 계수는 온도 변화에 따른 구조물의 변형을 예측하는 데 중요합니다. 또한 전자 부품의 열팽창 계수 차이로 인한 응력 발생은 신뢰성 문제를 야기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재료의 열팽창 특성을 정확히 이해하고 측정하는 것은 매우 중요합니다.
  • 5. 페라이트(alpha -ferrite)
    페라이트(alpha-ferrite)는 철 기반 합금에서 가장 기본적인 결정 구조 중 하나입니다. 페라이트는 체심 입방 결정 구조를 가지며, 상온에서 가장 안정한 철 상태입니다. 페라이트는 연성이 좋고 자기적 특성이 우수하여 전기강판, 변압기 코어 등 다양한 산업 분야에 활용됩니다. 페라이트의 결정 구조, 상변태 특성, 기계적/자기적 특성에 대한 이해는 철강 재료 개발 및 공정 최적화에 매우 중요합니다. 따라서 페라이트에 대한 심도 있는 연구가 지속되고 있습니다.
  • 6. 펄라이트(delta -펄라이트)
    펄라이트(delta-펄라이트)는 철-탄소 합금에서 발견되는 미세조직 중 하나입니다. 펄라이트는 페라이트와 세멘타이트가 층상 구조로 배열된 조직으로, 강도와 경도가 높은 특성을 가집니다. 펄라이트는 주로 열처리 공정을 통해 형성되며, 이 과정에서 탄소 농도, 냉각 속도 등 다양한 요인이 영향을 미칩니다. 펄라이트의 미세조직 및 상변태 거동에 대한 이해는 철강 재료의 기계적 특성 제어에 매우 중요합니다. 따라서 펄라이트 조직 형성 메커니즘과 이에 영향을 미치는 인자들에 대한 연구가 활발히 진행되고 있습니다.
  • 7. 실험 결과 분석
    실험 결과 분석은 실험을 통해 얻은 데이터를 체계적으로 해석하고 의미 있는 결론을 도출하는 과정입니다. 이를 위해서는 실험 목적, 실험 방법, 측정 데이터의 특성 등을 종합적으로 고려해야 합니다. 실험 결과 분석 시 데이터의 정확성, 재현성, 통계적 유의성 등을 면밀히 검토해야 합니다. 또한 실험 결과를 이론적 배경, 기존 연구 결과와 비교 분석하여 새로운 발견이나 시사점을 도출할 수 있습니다. 실험 결과 분석 능력은 연구 수행 및 논문 작성에 필수적이며, 이를 위해서는 실험 설계, 데이터 분석, 결과 해석 등에 대한 종합적인 이해가 필요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