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피부 미생물의 동정(identification)
본 내용은
"
피부 미생물의 동정(identification)
"
의 원문 자료에서 일부 인용된 것입니다.
2023.04.18
문서 내 토픽
-
1. 미생물 순수 배양미생물의 순수 배양은 여러 종류의 미생물이 섞여 있는 경우 한 종류의 미생물만을 분리하여 배양하는 것을 의미한다. 섞여 있는 세균을 각각 하나의 개체로 분리하기 위해서는 미생물이 각각의 분리된 콜로니를 이루게 만들어 배양하여야 한다. 이러한 순수 배양은 먼저 고체 배양에서 하나의 콜로니를 얻고 액체배지에 접종하여 개체 수를 늘리는 방법으로 진행된다.
-
2. 미생물 동정동정은 분류학의 일부이다. 동정은 한 세균이 알려져 있는 분류군 안에서 어떤 종이나 속에 해당하는지 파악하여 적절히 지정하는 과정이다. 즉 미지의 균의 특성을 이미 확립한 데이터베이스 특성과 비교를 하여서 미지의 균을 적절하게 명명하기 위한 것이다. 미생물의 신속하고 정확한 동정은 분리 균주가 어떤 미생물인지를 결정하고 임상미생물에서는 항생제 결정과 감염관리에 영향을 준다.
-
3. 고체배지와 액체배지의 차이고체배지는 싱글콜로니를 얻을 수 있어 오염을 막아줄 수 있고 검출시간이 길었고 액체배지는 대량배양에 유용하다. 그러나 액체배지는 민감도가 높고 오염도가 높기 때문에 피부미생물을 접종해 다양한 콜로니를 관찰하기에는 고체배지가, 단일 콜로니의 배양을 위해서는 액체배지의 사용이 적절하다.
-
4. 피부 미생물 colony 관찰피부미생물을 접종한 NB 배지에서 자란 colony를 확인한 결과 코, 손가락, 팔꿈치 부위에서 다양한 크기와 색상의 colony가 관찰되었다. NB-1 배지에서는 작은 크기의 colony가 연속적으로 넓게 분포한 미생물을 볼 수 있었고, NB-2 배지에서는 검은색의 넓게 분포한 미생물과 작은 흰색 미생물이 확인되었다. NB-3 배지에서는 가지의 모양처럼 되어있고, 노란색과 흰색의 미생물 colony가 관찰되었다.
-
5. 순수 배양NB고체 배지에 배양했던 미생물 중 액체배지에 재접종할 colony 선택 조건에는 'colony의 단일화가 잘 되어있는가?', '다른 colont와 분리가 되어있는가?' 등이 있다. 최대한 단일 colony의 순수 배양을 목적으로 NB 배지에서 상대적으로 다른 colny와 겹치지않고 분리되어 있는 colony인 팔꿈치 피부 미생물 colony를 배양하기로 결정해 멸균한 피펫티븡로 액체배지에 재접종 과정을 거쳤으나, 1차 재접종 결과는 미생물 배양 실패로 나타났다.
-
1. 미생물 순수 배양미생물 순수 배양은 특정 미생물 종을 분리하여 순수한 상태로 배양하는 기술입니다. 이는 미생물 연구, 산업 응용, 의학적 진단 등 다양한 분야에서 매우 중요한 기술입니다. 순수 배양을 통해 특정 미생물의 특성을 정확히 파악할 수 있으며, 이를 바탕으로 다양한 응용 연구와 개발이 가능합니다. 또한 순수 배양은 오염된 미생물 샘플에서 목표 미생물을 분리하는 데 필수적입니다. 이를 통해 정확한 미생물 동정, 생리학적 특성 분석, 유전체 연구 등이 가능해집니다. 순수 배양 기술의 발전은 미생물 연구와 응용 분야의 발전에 큰 기여를 해왔으며, 앞으로도 지속적인 발전이 필요할 것으로 보입니다.
-
2. 미생물 동정미생물 동정은 미생물 샘플에서 분리된 균주의 정확한 종 또는 속을 확인하는 과정입니다. 이는 미생물 연구, 산업 응용, 의학적 진단 등 다양한 분야에서 매우 중요한 기술입니다. 정확한 미생물 동정을 통해 해당 균주의 특성, 생리학적 기능, 유전적 특성 등을 파악할 수 있으며, 이를 바탕으로 다양한 응용 연구와 개발이 가능합니다. 또한 미생물 동정은 감염성 질병 진단, 식품 안전성 검사, 환경 모니터링 등에 필수적입니다. 최근에는 유전체 분석 기술의 발전으로 보다 정확하고 신속한 미생물 동정이 가능해졌습니다. 앞으로도 미생물 동정 기술의 발전은 다양한 분야에서 중요한 역할을 할 것으로 기대됩니다.
-
3. 고체배지와 액체배지의 차이고체배지와 액체배지는 미생물 배양에 사용되는 두 가지 주요 배양 방법입니다. 고체배지는 한천 등의 겔화제를 첨가하여 고체 상태로 만든 배지로, 미생물 집락의 형태와 특성을 관찰하는 데 유용합니다. 반면 액체배지는 균일한 액체 상태로, 미생물의 생장 속도와 생리학적 특성을 분석하는 데 적합합니다. 고체배지에서는 미생물 간의 상호작용, 집락 형태, 색상 등을 관찰할 수 있지만, 액체배지에서는 균일한 환경에서 미생물의 생장 곡선, 대사 산물 생산 등을 정량적으로 분석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연구 목적에 따라 고체배지와 액체배지를 적절히 활용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최근에는 이 두 가지 배양 방법을 결합한 다양한 기술들이 개발되고 있어, 미생물 연구와 응용에 더욱 유용할 것으로 기대됩니다.
-
4. 피부 미생물 colony 관찰피부 미생물 colony 관찰은 인체 피부에 서식하는 다양한 미생물들의 특성을 이해하는 데 매우 중요한 연구 분야입니다. 피부 표면에는 다양한 세균, 진균, 바이러스 등이 공존하며, 이들은 피부 건강과 질병 발생에 중요한 역할을 합니다. 피부 미생물 colony 관찰을 통해 이들의 종류, 분포, 상호작용 등을 파악할 수 있으며, 이는 피부 질환 진단, 치료, 예방 등에 활용될 수 있습니다. 또한 피부 미생물 연구는 인체 마이크로바이옴 연구의 핵심 분야로, 건강한 피부 미생물 군집 유지의 중요성이 부각되고 있습니다. 앞으로 피부 미생물 colony 관찰 기술의 발전과 함께 이를 활용한 다양한 응용 연구가 이루어질 것으로 기대됩니다.
-
5. 순수 배양순수 배양은 특정 미생물 종을 분리하여 단일 균주로 배양하는 기술입니다. 이는 미생물 연구, 산업 응용, 의학적 진단 등 다양한 분야에서 매우 중요한 기술입니다. 순수 배양을 통해 특정 미생물의 특성을 정확히 파악할 수 있으며, 이를 바탕으로 다양한 응용 연구와 개발이 가능합니다. 또한 순수 배양은 오염된 미생물 샘플에서 목표 미생물을 분리하는 데 필수적입니다. 이를 통해 정확한 미생물 동정, 생리학적 특성 분석, 유전체 연구 등이 가능해집니다. 순수 배양 기술의 발전은 미생물 연구와 응용 분야의 발전에 큰 기여를 해왔으며, 앞으로도 지속적인 발전이 필요할 것으로 보입니다.
-
식품위생실험 예비레포트(위생지표세균, 선택배지, 미생물 동정, 손소독제 에탄올, 식품기준규격법) 7페이지
2021년도 2학기 식품위생.안전성과학실험 예비레포트 양식학번이름작성 방법- 각 문항 별로 본 양식 내에서 A4 용지 1페이지 내로 작성할 것(1페이지를 초과할 수 없음. 즉, 한 문항에 대하여 2페이지 이상 작성할 경우 감점처리)- 그림 삽입이나 표 삽입 등은 제한 없으며, 글씨만 아래 세부 양식에 따라 작성함.- 세부 양식*폰트: 제한 없음(mac 기반 OS를 사용하는 경우도 있으므로 특정 폰트로 제한하지 않음)*글자 크기: 11 pt - 현재 양식의 글자 크기를 그대로 사용하므로 별도로 조정할 필요 없음*자간: 0% - 현재 ...2022.01.26· 7페이지 -
[A+약대][미생물학]CSI-LasVegas S15-E3과 미생물학 리포트 2페이지
약품미생물학 리포트- CSI-Las Vegas S15-E3을 보고 범인을 검거하게 된 방법에 대하여학번: 201XXXXXXX 이름: XXX1. CSI S15-E3에 등장하는 병원체 Ibare virusIbare virus는 실제 볼리비아 출혈열(Bolivian hemorrhagic fever)의 원인 바이러스인 마추포 바이러스(Machupo virus)를 모티브로 한 바이러스이다. 이 바이러스는 양쪽성 RNA 유전체를 지니는 아레나 바이러스 종류로, 영화상에서 Ibare virus의 ‘Ibare’는 볼리비아 땅에 흐르는 큰 강으로 ...2020.12.19· 2페이지 -
[A+ 레포트] 미생물학 관련 단어 정리 레포 8페이지
REPORT미생물학 관련 단어 및 설명 정리1. aseptic technique 무균술: 감염관리를 통해 병원성 미생물을 최소화함으로써 침습적 시술 동안 환자를 보호하는 기술▶ 무균술은 잠재적인 병원균이 없는 상태를 유지하는 방법으로서 의료관련감염을 예방하기 위하여 의료기관의 다양한 수술이나 시술 등에 적용되는 개념이다. 무균술은 흔히 내과적 무균술과 외과적 무균술로 분류된다. 내과적 무균술은 미생물의 전파예방과 오염 최소화라는 개념이 적용되는 방법이므로 격리의 표준주의의 개념을 상당부분 포함한다. 외과적 무균술은 병원균 및 아포를...2023.03.06· 8페이지 -
[미생물학실험] 생리적 특성- 포도상 구균, 분리와 동정(Isolation and Identification of the Staphylocci) 7페이지
1. Title : 생리적 특성- 포도상 구균, 분리와 동정(Isolation and Identification of the Staphylocci)2. Date :3. Name :4. Purpose : 포도상구균의 특징을 이해하고 우리의 피부로부터 포도상구균을 직접 분리, 동정하여 본다.5. Introduction :Staphylococcaceae과에는 5개의 속이 있는데 그중 가장 중요한 속은 포도상구균속(Staphylococcus)이다. 포도상구균은 조검부혐기성으로 운동성이 없으며 그람양성 구균이고, 지름이 0.5~15㎛이다. ...2017.11.16· 7페이지 -
황색포도상구균 분리 및 동정 실험 6페이지
황색포도상구균 분리, 동정1.TitleIsolation and identification of Staphylococcus aureus2. Date3. Group4. Theory1) Staphylococcus spp.포도상구균종은 그람 양성, 비운동성, 구면세균으로 피부의 정상적인 인간 마이크로바이오로 발견되는 경우가 많다. 응고효소 양성 균주는 다양한 독소를 생산하여 잠재적으로 병원성이 있으며 식중독을 일으킬 수 있다.현미경으로 보면 구형 (구균)으로 보이며 포도 모양의 클러스터로 형성되며 통성 혐기성 유기체이다.Staphyloco...2022.02.16· 6페이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