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나득강 연보
본 내용은
"
나득강 연보
"
의 원문 자료에서 일부 인용된 것입니다.
2023.04.18
문서 내 토픽
-
1. 나득강나득강(羅得康)은 조선 시대 전기 문신으로, 이조좌랑, 예조정랑, 의금부지사, 이조판서 등을 역임했다. 그는 고려 시대 충신 낙천와 나중우의 셋째 아들로, 어려서부터 총명하고 똑똑했다고 한다. 나득강은 효자였으며, 부친상에서 3년 상복을 입었고 모친상으로 3년 시묘를 했다. 그는 조선 전기 최초의 나주인으로 과거 시험 기록에 명기되었으며, 이후 후손들이 대대로 나주를 관향으로 삼아 살고 있다. 세종이 극진히 아끼던 이조판서 나득강이 향리에서 별세하자, 세종은 그의 장례를 왕과 왕비, 태상왕과 태상왕비, 왕세자와 왕세자빈, 왕세손과 왕세손빈에만 한정해 치르는 국장(國葬)이었던 예장(禮葬)으로 치르도록 하명했다고 한다.
-
2. 나중우나득강의 부친 나중우는 고려 시대 충신으로, 공민왕 때 진사시 문과에 과거 급제하여 전교시령, 춘추관편수관, 예문관지제고, 교관 등을 역임했다. 조선 태조 이성계가 나중우를 우의정에 3번이나 제수했을 만큼 높이 평가했던 인물이었다. 나중우는 조선 태조 이성계의 제의를 '충신은 불사이군'이라는 말로 고사했다고 하며, 1392년 고려가 멸망하던 해에 사망했다.
-
3. 나주 나씨나득강은 조선 전기 문신으로, 나주 나씨 금양군파 출신이다. 나득강이 과거 시험 기록에 최초로 나주인으로 명기한 이후, 전남 나주는 나주 나씨의 관향으로 통용되었다. 또한 나득강의 후손들이 대대로 나주를 관향으로 삼아 살고 있다.
-
4. 김제 지역나득강의 실제 출신 지역은 전북 김제였다. 나득강의 부친 나중우와 함께 전북 김제 지역을 대표하는 유학자로 알려져 있다. 나득강의 묘지가 위치한 전북 김제군 백산면 북조산(北造山)은 본래 평지였으나, 후손들이 산을 쌓고 못을 파서 묘역을 조성했다고 한다.
-
5. 세종의 예장세종이 극진히 아끼던 이조판서 나득강이 향리에서 별세하자, 세종은 그의 장례를 왕과 왕비, 태상왕과 태상왕비, 왕세자와 왕세자빈, 왕세손과 왕세손빈에만 한정해 치르는 국장(國葬)이었던 예장(禮葬)으로 치르도록 하명했다고 한다.
-
1. 나득강나득강은 조선 후기 문신이자 학자로, 특히 성리학에 정통했던 인물입니다. 그는 당시 사회적 혼란 속에서 유교적 가치관을 바탕으로 한 정치 개혁을 주장했습니다. 그의 저서인 『성학집요』는 성리학의 핵심 이론을 체계적으로 정리한 것으로 평가받고 있습니다. 나득강의 사상과 활동은 조선 후기 성리학 발전에 중요한 기여를 했다고 볼 수 있습니다. 그의 학문적 업적과 정치적 견해는 당시 사회에 큰 영향을 미쳤으며, 오늘날에도 여전히 연구와 논의의 대상이 되고 있습니다.
-
2. 나중우나중우는 조선 후기 문신이자 학자로, 특히 성리학에 정통했던 인물입니다. 그는 당시 사회적 혼란 속에서 유교적 가치관을 바탕으로 한 정치 개혁을 주장했습니다. 그의 저서인 『성학집요』는 성리학의 핵심 이론을 체계적으로 정리한 것으로 평가받고 있습니다. 나중우의 사상과 활동은 조선 후기 성리학 발전에 중요한 기여를 했다고 볼 수 있습니다. 그의 학문적 업적과 정치적 견해는 당시 사회에 큰 영향을 미쳤으며, 오늘날에도 여전히 연구와 논의의 대상이 되고 있습니다.
-
3. 나주 나씨나주 나씨는 조선 시대 유명한 성씨 중 하나입니다. 이들은 나주 지역을 중심으로 세력을 형성했으며, 많은 문신과 학자를 배출했습니다. 특히 나중우, 나득강 등의 인물은 조선 후기 성리학 발전에 큰 기여를 했습니다. 나주 나씨는 유교 이념을 바탕으로 한 정치 활동과 학문 활동을 통해 당시 사회에 큰 영향을 미쳤습니다. 이들의 역사와 업적은 조선 시대 지방 사족 세력의 중요성을 보여주는 사례라고 할 수 있습니다.
-
4. 김제 지역김제 지역은 전라북도에 위치한 지역으로, 오랜 역사와 문화를 가지고 있습니다. 이 지역은 예로부터 농업이 발달했으며, 특히 벼농사와 채소 재배가 유명합니다. 또한 많은 문화재와 역사적 유적이 있어 관광 자원으로도 주목받고 있습니다. 최근에는 친환경 농업과 지역 특산물 개발 등을 통해 지역 경제 활성화에 힘쓰고 있습니다. 김제 지역의 풍부한 역사와 문화, 그리고 농업 중심의 지역 특성은 앞으로도 이 지역의 발전 가능성을 보여주고 있습니다.
-
5. 세종의 예장세종의 예장은 조선 시대 왕실의 장례 의식 중 하나로, 왕의 시신을 관에 모시는 의식을 말합니다. 이 의식은 유교적 가치관에 기반한 것으로, 왕의 존엄성과 권위를 상징적으로 드러내는 역할을 했습니다. 세종대왕은 이러한 예장 의식을 정비하고 체계화하는 데 큰 공헌을 했습니다. 그의 노력으로 왕실 장례 의식이 보다 엄숙하고 격식 있게 진행될 수 있었습니다. 이는 조선 왕조의 위엄과 전통을 보여주는 중요한 사례라고 할 수 있습니다.
-
남북사통속연의 第八十五回 據湘州陳宗殉國 撫嶺表85회 상주에 근거한 진종이 나라에 순국하고 영을 어루만지는 표로 승씨 부인은 남만을 평정하다.hwp 25페이지
第八十五回 據湘州陳宗殉國 撫嶺表?氏平蠻제팔십오회 거상주진종순국 무영표승씨평만?(성 승; ?-총8획; xia?n)남북사통속연의 85회 상주에 근거한 진종이 나라에 순국하고 영을 어루만지는 표로 승씨 부인은 남만을 평정하다.却說晉王廣系念張麗華, 馳詣建康, 途中聞高?違命, 竟把麗華殺死, 不由的驚憤道:“古云無德不報, 我必有以報高公。”각설진왕광계념장여화 치예건강 도중문고경위명 경파여화살사 불유적경분도 고운무덕불보 아필유이보고공시에서 말하기를 無言不?(무언불수) : ‘말로 해서는 원수되지 않는 것이 없고 無德不報(무덕불보) : 덕으로 해서는 ...2020.03.20· 25페이지 -
월인천강지곡의 해석과 의의 8페이지
월인천강지곡의 해석과 의의1. 등장 배경조선 제4대 임금인 세종이 지은 노래이다. 세종 28년에 정비인 소헌왕후가 세상을 떠나게 되자 명복을 빌기 위해 둘째 아들인 수양대군에게 명하여 석가의 일대기를 노래로 짓게 하였다. 이에 수양대군은 도선(道宣)과 승우(僧祐)의 석가문불연보(迦文佛年譜)를 합하고, 다듬은 다음 정음청에서 창재 반포한 우리말로 번역할 것을 신료들에게 명하여 세종에게 받친 것이 석보상절이다. 이 석보상절을 세종이 보고 크게 기뻐하여 자신 또한 우리말로 노래를 지었는데 그것이 월인천강지곡이다. 이 월인천강지곡은 세종 ...2017.12.27· 8페이지 -
채동번의 5대사 역사소설 오대사통속연의 자서自序 1회 25페이지
自序자서讀史至五季之世, 輒爲之太息曰:“甚矣哉中國之亂, 未有逾於五季者也!”독사지오계지세 첩위지태식왈 심의재중국지란 미유유어오계자야오대사 세상까지 읽으면 문득 큰 한숨을 쉰다. “심하구나, 중국의 혼란이 5계보다 더한 적이 없다!”天地閉, 賢人隱, 王者不作而亂賊盈天下.천지폐 현인은 왕자부작이난적영천하하늘과 땅이 닫히고 현인이 숨고 왕은 일어나지 않고 반란 도적이 천하를 채웠다.其狡且?者, 挾詐力以欺凌人世, 一或得志, 卽肆意妄行, 君不君, 臣不臣, 父不父, 子不子.기교차힐자 협사력이기능인세 일혹득지 즉사의망행 군불군 신불신 부불부 자불자...2017.01.22· 25페이지 -
이백의 생애와 작품분석 4페이지
이백의 생애와 작품분석1. 이백의 생애중국 시인들 가운데 이백은 두보와 더불어 가장 빛나는 시인일 뿐만 아니라 중국을 대표하는 세계적인 시인이다. 이백이 태어날 때 그의 어머니가 태백성을 품에 안았다고 하여 이름을 백(白)이라 하고 자를 태백이라 불렀다. 하지만 그가 태어난 고장과 가계는 분명치 않다. 다만 부친은 서역무역을 경영하는 이객이라 불리는 대상인이었다.이백은 어릴 때부터 책을 즐겨 읽고 문학적 재능에 뛰어났을 뿐만 아니라 검술을 즐기기도 했다. 협객들과 사귀어 칼을 차고 다니며 무사 행세를 하고 다녔다. 이렇게 독서, 문...2016.12.09· 4페이지 -
채동번의 중국 청나라 역사소설 청사통속연의 47회 한문 및 한글번역 26페이지
第四十七回 聞警回?下詔罪己 護喪嗣統邊報驚心제사십칠회 문경회란하조죄기 호상사통변보경심罪己 [zuij?] ① 죄를 자신에게 돌리다 ② 자기를 책망하다 ③ 자책하다청사통속연의 47회 놀라운 보고를 듣고 어가를 돌려 조서를 내리며 자기에게 죄를 돌리며 장례를 보호하여 적통을 이었다가 변경 보고에 마음이 놀라다.却說?徒中彈墜下, 放彈的人, 是皇次子綿寧。각설교도중탄추하 방탄적인 시황차자금녕각설하고 교도는 탄환을 쏘아 추락해 떨어지니 탄환을 쏜 사람은 황제 차남 금녕이었다.皇次子時在上書房, 忽聞外面喊聲緊急, 忙問何事?황차자시재상서방 홀문외면함성...2016.02.25· 26페이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