시공학 시험 요점정리(공정관리표 제외) 에이플 자료
본 내용은
"
시공학 시험 요점정리(공정관리표 제외) 에이플 자료
"
의 원문 자료에서 일부 인용된 것입니다.
2023.04.18
문서 내 토픽
  • 1. 토공사 준비작업
    토공사 준비작업에는 벌개제근, 배수, 연약지반 처리, 규준틀 및 표지판 설치, 시험성토 및 다짐, 선보상 후시공 원칙 준수 등이 포함됩니다. 벌개제근은 수목을 절취하기 전에 표토를 걷어내고 뿌리를 제거하여 지반 침하와 처짐을 방지합니다. 배수는 성토구간에 배수로를 설치하고 강우시 공사용 임시도로의 배수대책을 확보합니다. 연약지반 처리는 점토지반의 N값을 측정하여 지반개량대책을 수립합니다. 규준틀과 표지판은 토공의 위치, 경사, 폭 등을 표시하고 현장품질관리를 위해 설치합니다. 시험성토와 다짐은 적합한 장비와 방법을 결정하여 적용합니다. 선보상 후시공 원칙은 보상비를 초기에 집중 배정하여 공사에 지장이 없도록 합니다.
  • 2. 지반조사
    지반조사의 목적은 기존자료 조사, 개략조사(천공, 시료채취), 현장시험(표준관입시험, 베인전단시험), 실내시험(삼축압축시험, 직접전단시험) 등을 통해 지반의 특성을 파악하는 것입니다. 천공을 통해 지층구성, 강도, 변형량, 함수량, 혼합물 정보를 취득하고, 실내시험으로 액성한계, 소성한계, 수축한계, 소성지수, 압축지수 등을 구합니다. 이를 통해 지반의 연경도, 지지력, 압밀성 등을 평가하여 토공사 설계에 활용합니다.
  • 3. 노상재료
    노상은 포장체 밑에 위치하는 흙쌓기 또는 땅깎기의 최상부 100cm 부분으로, 포장체와 일체로 구성되어 표면에 재하되는 교통하중을 최종적으로 지지하는 층입니다. 노상은 균등한 지지력과 균일한 강성도를 갖도록 설계·시공해야 하며, 이를 위해 균일한 노상 재료를 선정하여 얇고 균일하게 포설하고 다져야 합니다. 또한 노상의 표면마무리면은 평탄하게 시공해야 합니다. Proof rolling은 노상 최종마무리 전에 다짐상태를 확인하는 방법이며, 필요시 추가다짐을 실시합니다. 노상의 안정처리를 위해 석회, 소석회 등의 첨가재를 혼합하는 방식을 적용할 수 있습니다.
  • 4. 비탈면 설계
    비탈면 붕괴의 원인은 잠재적 요인(지질, 토질 등)과 직접적 원인(강우, 지진, 땅깎기, 흙쌓기 등)으로 구분됩니다. 비탈면 설계 시 고려해야 할 사항으로는 흙쌓기 높이, 토질 특성, 연약지반 여부, 불안정한 지반 여부, 용수 유무, 침식 우려 등입니다. 비탈면 안정성 확보를 위해 소단 설치, 배수시설 설치, 첨가재 혼합, approach slab 설치 등의 대책이 필요합니다. 비탈면 붕괴 유형에는 탈락, 전도, 활동, 퍼짐, 유동 등이 있으며, 이에 대한 대책으로 깎기공법, 앵커공법, 말뚝공법, 옹벽공법, 배수공법, 식생공법 등이 있습니다.
  • 5. 암반 비탈면 붕괴 대책
    암반 비탈면 붕괴 대책으로는 비탈면 경사 절취공법, 록앵커(rock anchor), 록볼트(rock bolt), 다웰(dowel, 버팀못), 콘크리트 버팀벽, 수평배수공법, 녹생토공법 등이 있습니다. 비탈면 경사 절취공법은 활동하중을 경감시켜 안정을 도모하며, 록앵커는 고강도 강재에 prestressing을 가하여 활동에 저항합니다. 록볼트는 철봉을 암반에 정착하여 전단강도를 증가시키고, 다웰은 암괴를 절개면에 고정시킵니다. 콘크리트 버팀벽은 발파로 인한 빈 공간을 메워 지지력을 확보하며, 수평배수공법은 지하수를 배제하여 안정성을 높입니다. 녹생토공법은 인공토양층을 암반에 부착시켜 녹화를 유도합니다.
  • 6. 토공사 용어
    토공사 관련 용어로는 비탈면, 비탈기슭, 비탈경사, 둑마루, 턱 등이 있습니다. 비탈면은 땅깎기·흙쌓기의 사면을 말하며, 비탈기슭은 비탈 하단부, 비탈경사는 수직높이 대비 수평길이로 표시됩니다. 둑마루는 제방의 정단, 턱은 비탈 중간에 만든 소단을 의미합니다. 이 외에도 토석류, 애추지, 지반붕괴지역 등의 용어가 있습니다.
  • 7. Approach slab
    Approach slab은 구조물(암거)과 흙쌓기 접속부에서 발생하는 부등침하를 방지하기 위해 구조물에 접근하여 성토부에 설치하는 철근콘크리트판입니다. 구조물 기초의 지지력과 원지반 침하량의 차이, 지표수 침투, 편토압 등으로 인해 부등침하가 발생할 수 있으므로, Approach slab 설치를 통해 이를 방지합니다.
  • 8. 토공사 준비작업 - 연약지반 처리
    연약지반 처리는 토공사 준비작업의 중요한 부분입니다. 점토지반에서 측정된 N값은 점토의 굳기와 전단강도를 개략적으로 추정할 수 있습니다. 점토지반에서 굳기가 중간정도인 경우에도 상부하중의 크기에 따라 안정성과 침하문제가 발생될 수 있으므로, 지반개량대책이 필요합니다. 이를 위해 적절한 지반개량 방법을 선정하고 시험시공을 거쳐 적용해야 합니다.
  • 9. 토공사 준비작업 - 시험성토 및 다짐
    토공사 준비작업에서 시험성토와 다짐은 중요한 단계입니다. 시험성토를 통해 적합한 다짐장비와 다짐방법을 결정하고, 본 공사에 적용할 장비를 사용합니다. 이를 통해 균일한 다짐상태를 확보하여 향후 침하와 변형을 방지할 수 있습니다. 또한 Proof rolling을 통해 다짐상태를 최종적으로 확인하고, 필요시 추가다짐을 실시합니다.
  • 10. 토공사 준비작업 - 선보상 후시공 원칙
    토공사 준비작업에서 선보상 후시공 원칙은 중요합니다. 이는 공사에 지장이 없도록 보상비를 사업분야별 총액으로 편성하고 초기에 집중 배정하는 것을 의미합니다. 이를 통해 보상 문제로 인한 공사 지연을 방지할 수 있습니다. 공기업이나 민간업체의 보상전문기관에 보상 업무를 위탁하는 것도 효과적인 방법입니다.
  • 11. 토공사 준비작업 - 규준틀 및 표지판 설치
    토공사 준비작업에서 규준틀과 표지판 설치는 중요합니다. 규준틀은 토공의 위치, 경사, 폭 등을 표시하는 기준이 되는 틀이며, 표지판은 토공 취약구간에 대한 효과적인 현장품질관리를 위해 설치됩니다. 이를 통해 토공사의 정확성과 품질을 확보할 수 있습니다.
Easy AI와 토픽 톺아보기
  • 1. 토공사 준비작업
    토공사 준비작업은 토공사 수행에 있어 매우 중요한 단계입니다. 토공사 전 단계에서 이루어지는 준비작업은 토공사의 성공적인 수행을 위한 기반이 됩니다. 토공사 준비작업에는 현장 조사, 지반 조사, 토질 분석, 장비 및 자재 준비, 안전 대책 수립 등이 포함됩니다. 이러한 준비작업을 통해 토공사 수행 시 발생할 수 있는 문제를 사전에 파악하고 대응할 수 있습니다. 또한 토공사 준비작업은 공사 기간 및 비용 산정, 공사 계획 수립 등에도 중요한 역할을 합니다. 따라서 토공사 준비작업은 토공사의 성공적인 수행을 위해 반드시 필요한 단계라고 볼 수 있습니다.
  • 2. 지반조사
    지반조사는 토공사 수행에 있어 매우 중요한 단계입니다. 지반조사를 통해 토질 특성, 지하수 상태, 지반 강도 등을 파악할 수 있으며, 이를 바탕으로 적절한 토공사 방법을 선택할 수 있습니다. 지반조사 결과는 토공사 설계, 시공 계획, 안전성 검토 등에 활용됩니다. 따라서 정확하고 충분한 지반조사가 선행되어야 합니다. 지반조사 방법에는 시추조사, 현장시험, 실내시험 등이 있으며, 현장 여건과 토공사 규모에 따라 적절한 방법을 선택해야 합니다. 또한 지반조사 결과에 대한 정확한 분석과 해석이 필요합니다. 이를 통해 토공사 수행 시 발생할 수 있는 문제를 사전에 예방하고 안전성을 확보할 수 있습니다.
  • 3. 노상재료
    노상재료는 토공사에서 매우 중요한 역할을 합니다. 노상재료는 노면을 지지하고 하중을 전달하는 기능을 하므로, 적절한 재료 선택과 시공이 필요합니다. 노상재료는 입도분포, 다짐특성, 강도, 침하 특성 등을 고려하여 선정해야 합니다. 일반적으로 모래, 자갈, 쇄석 등이 노상재료로 사용됩니다. 이러한 재료는 지반 조건, 교통 하중, 기후 등에 따라 달리 적용됩니다. 또한 노상재료의 시공 시 다짐 작업이 중요하며, 이를 통해 노상의 지지력과 내구성을 확보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노상재료 선정과 시공은 토공사의 성공적인 수행을 위해 매우 중요한 요소라고 할 수 있습니다.
  • 4. 비탈면 설계
    비탈면 설계는 토공사에서 매우 중요한 부분입니다. 비탈면은 토공사 수행 시 발생하는 절토 및 성토 구간에서 형성되며, 이의 안정성은 토공사 전체의 안전성에 직접적인 영향을 미칩니다. 비탈면 설계 시에는 지반 조건, 토질 특성, 지하수 상태, 외부 하중 등을 종합적으로 고려해야 합니다. 또한 비탈면의 경사, 높이, 보강 방법 등을 적절히 선정해야 합니다. 이를 통해 비탈면의 안정성을 확보하고, 토공사 수행 중 발생할 수 있는 붕괴, 침하, 유실 등의 문제를 예방할 수 있습니다. 비탈면 설계는 토공사의 안전성과 경제성 확보를 위해 매우 중요한 요소라고 할 수 있습니다.
  • 5. 암반 비탈면 붕괴 대책
    암반 비탈면 붕괴는 토공사 수행 시 발생할 수 있는 매우 위험한 상황입니다. 암반 비탈면 붕괴는 지반 조건, 균열 발생, 지하수 유출 등 다양한 요인에 의해 발생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암반 비탈면 붕괴에 대한 사전 대책 마련이 필요합니다. 암반 비탈면 붕괴 대책에는 지반 조사, 안정성 분석, 보강 공법 적용 등이 포함됩니다. 지반 조사를 통해 암반 상태와 불연속면 등을 파악하고, 이를 바탕으로 안정성 분석을 수행해야 합니다. 그리고 필요 시 록볼트, 숏크리트, 앵커 등의 보강 공법을 적용하여 암반 비탈면의 안정성을 확보해야 합니다. 이러한 대책을 통해 토공사 수행 중 발생할 수 있는 암반 비탈면 붕괴 사고를 예방할 수 있습니다.
  • 6. 토공사 용어
    토공사 용어는 토공사 관련 분야에서 사용되는 전문적인 용어들을 의미합니다. 이러한 용어들은 토공사 계획, 설계, 시공, 관리 등 토공사 전반에 걸쳐 사용됩니다. 토공사 용어의 이해는 토공사 관련 업무를 수행하는 데 있어 매우 중요합니다. 토공사 용어를 정확히 이해하지 못하면 의사소통 및 업무 수행에 어려움이 발생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토공사 관련 종사자들은 토공사 용어에 대한 충분한 이해가 필요합니다. 토공사 용어에는 지반 조사, 토질 분류, 토공 공법, 장비 등 다양한 분야의 전문 용어가 포함됩니다. 이러한 용어들을 숙지하고 정확히 사용할 수 있어야 토공사 관련 업무를 효과적으로 수행할 수 있습니다.
  • 7. Approach slab
    Approach slab은 토공사에서 매우 중요한 구조물입니다. Approach slab은 교량과 접하는 부분에 설치되는 콘크리트 슬래브로, 교량과 접속부의 안정성을 확보하는 역할을 합니다. Approach slab은 교량 접속부의 침하, 균열, 파손 등을 방지하여 교통 안전성을 높이는 데 기여합니다. 또한 Approach slab은 교량과 접속부 사이의 단차를 완화하여 차량의 원활한 통행을 보장합니다. Approach slab의 설계와 시공 시에는 지반 조건, 교통 하중, 온도 변화 등 다양한 요인을 고려해야 합니다. 이를 통해 Approach slab의 장기적인 안정성과 내구성을 확보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Approach slab은 토공사에서 매우 중요한 구조물이라고 할 수 있습니다.
  • 8. 토공사 준비작업 - 연약지반 처리
    토공사 준비작업에서 연약지반 처리는 매우 중요한 부분입니다. 연약지반은 토공사 수행 시 침하, 파괴, 붕괴 등의 문제를 야기할 수 있기 때문입니다. 따라서 연약지반 처리를 통해 이러한 문제를 사전에 예방하고 토공사의 안전성을 확보해야 합니다. 연약지반 처리 방법에는 배수, 압밀, 보강 등이 있습니다. 배수를 통해 지반 내 과잉간극수압을 제거하고, 압밀을 통해 지반의 강도를 높일 수 있습니다. 또한 보강재 설치, 성토 등의 방법으로 연약지반을 보강할 수 있습니다. 이러한 연약지반 처리 방법은 지반 조건에 따라 적절히 선택되어야 합니다. 연약지반 처리를 통해 토공사 수행 중 발생할 수 있는 문제를 예방하고, 안전하고 안정적인 토공사를 수행할 수 있습니다.
  • 9. 토공사 준비작업 - 시험성토 및 다짐
    토공사 준비작업에서 시험성토 및 다짐은 매우 중요한 단계입니다. 시험성토 및 다짐을 통해 지반의 특성을 파악하고, 적절한 다짐 방법과 다짐 기준을 설정할 수 있습니다. 이는 토공사 수행 시 발생할 수 있는 침하, 파괴, 붕괴 등의 문제를 예방하는 데 도움이 됩니다. 시험성토 및 다짐 작업에는 현장 밀도 시험, 다짐 시험, 침하 관찰 등이 포함됩니다. 이를 통해 지반의 강도, 다짐도, 침하량 등을 확인할 수 있습니다. 그리고 이 결과를 토대로 적절한 다짐 장비와 다짐 기준을 선정할 수 있습니다. 시험성토 및 다짐 작업은 토공사의 안전성과 품질을 확보하는 데 필수적인 단계라고 할 수 있습니다.
  • 10. 토공사 준비작업 - 선보상 후시공 원칙
    토공사 준비작업에서 선보상 후시공 원칙은 매우 중요합니다. 이 원칙에 따르면 토지 보상 및 이주 등의 선행 작업이 완료된 후에 토공사를 시행해야 합니다. 이는 토공사 수행 중 발생할 수 있는 민원 및 분쟁을 사전에 예방하기 위한 것입니다. 선보상 후시공 원칙을 준수하면 토공사 수행 과정에서 토지 소유권 및 점유권 문제로 인한 지연, 중단 등의 상황을 방지할 수 있습니다. 또한 토지 보상 및 이주 작업이 선행되면 토공사 수행 시 필요한 부지 확보가 용이해집니다. 이를 통해 토공사 일정 및 공정 관리가 효과적으로 이루어질 수 있습니다. 따라서 토공사 준비작업에서 선보상 후시공 원칙을 준수하는 것은 토공사의 성공적인 수행을 위해 매우 중요합니다.
  • 11. 토공사 준비작업 - 규준틀 및 표지판 설치
    토공사 준비작업에서 규준틀 및 표지판 설치는 매우 중요한 부분입니다. 규준틀은 토공사 시공 시 기준이 되는 선형, 높이 등을 표시하는 역할을 하며, 표지판은 현장 내 안전 관리와 공정 관리를 위해 설치됩니다. 규준틀 설치를 통해 토공사 시공 과정에서 정확한 시공 기준을 확보할 수 있습니다. 이는 토공사 품질 확보와 안전성 확보에 필수적입니다. 또한 표지판 설치를 통해 현장 내 안전 수칙, 공정 정보, 작업 구역 등을 명확히 표시할 수 있습니다. 이를 통해 토공사 수행 중 발생할 수 있는 안전사고 예방과 공정 관리 효율성 향상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