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기본간호/요약집/약물투여/주사/수혈/약력학/약동학/핵심정리
본 내용은
"
기본간호/요약집/약물투여/주사/수혈/약력학/약동학/핵심정리
"
의 원문 자료에서 일부 인용된 것입니다.
2023.04.14
문서 내 토픽
-
1. 경구투여의 금기연하곤란이 있는 경우, 입으로 아무것도 먹을 수 없는 경우(수술, 손상, 화상, NPO), 의식이 불분명한 경우, vomiting이 있는 경우, 위장관 흡인을 하는 경우에는 금식(Nothing by mouth; NPO) 처방 상태가 된다.
-
2. 경구투여 약물 준비와 투약 절차약물 투여 시 흡인 예방을 위해 좌위 또는 우측 측위에서 투여한다. 라벨을 읽을 수 없거나 라벨이 없는 약병은 약국에 반송한다. 준비한 약물은 다시 약병에 붓지 않으며, 약병을 다른 약병으로 옮겨 담지 않는다. 침전물이나 변색된 약은 사용하지 않는다. 정제나 캡슐을 꺼낼 때는 필요한 만큼만 병 뚜껑에 덜어 담는다. 약물 투여 전 알레르기 여부를 확인하고, 약물 투여 목적과 약리작용을 대상자에게 설명한다. 투약 후 30분 동안 대상자 상태를 관찰하며, 투약하지 못한 경우 이유를 기록한다. 물약의 경우 약을 담기 전 약간 따라내고, 모든 뚜껑은 뒤집어 놓는다.
-
3. 소아 약물 투여 시 고려사항소아에게 약물을 투여할 때는 좌위 또는 비스듬히 앉은 자세에서 점적기를 사용한다. 점적기 투여 시 구개반사가 일어나지 않게 잇몸과 뺨 사이로 투여한다. 약을 삼킬 수 없을 때는 정제를 부수거나 캡슐을 열어 부드러운 음식에 섞어준다(장용제피 제외). 약물을 섞을 때 제일 좋아하는 음식이나 우유에 타서 주는 것은 금지한다. 맛이 고약한 약을 투여할 때는 이해할 수 있는 아이에게 충분한 설명을 한다. 약을 잘 삼킨 후에는 칭찬한다.
-
4. 노인 약물 투여 시 고려사항노인에게 약물을 투여할 때는 시간적 여유를 갖고 투여한다(연하반응 bradycardia, Aspiration 주의). 삼킬 때 후두나 턱 아래의 돌출부위를 마사지하면 쉽게 삼킬 수 있다. 용량은 신장, 체중, 연령을 고려하여 결정한다.
-
1. 경구투여의 금기경구투여는 가장 일반적이고 편리한 약물 투여 경로이지만, 특정 상황에서는 금기될 수 있습니다. 예를 들어 의식이 없거나 삼킬 수 없는 환자, 심각한 구토나 설사로 인해 약물이 흡수되지 않는 경우, 장폐색이나 장관 협착 등 위장관 통과 장애가 있는 경우, 그리고 약물의 특성상 경구 투여가 적절하지 않은 경우 등입니다. 이러한 경우에는 주사, 점안, 흡입 등 다른 투여 경로를 고려해야 합니다. 의료진은 환자의 상태와 약물의 특성을 종합적으로 평가하여 가장 적절한 투여 경로를 선택해야 합니다.
-
2. 경구투여 약물 준비와 투약 절차경구투여 약물 준비와 투약 절차는 환자의 안전과 치료 효과를 위해 매우 중요합니다. 우선 약물의 특성, 용량, 투여 시간 등을 확인하고 환자의 상태를 고려하여 적절한 제형(정제, 캡슐, 액제 등)을 선택해야 합니다. 약물을 준비할 때는 오염 방지, 정확한 용량 측정, 적절한 투여 방법 등을 주의해야 합니다. 투약 시에는 환자의 이해와 협조를 구하고, 삼킬 수 있는지, 부작용은 없는지 등을 확인해야 합니다. 또한 투약 기록을 남기고 투약 후 모니터링을 통해 치료 효과와 부작용을 지속적으로 관찰해야 합니다. 이러한 체계적인 절차를 통해 경구투여 약물 사용의 안전성과 효과성을 높일 수 있습니다.
-
3. 소아 약물 투여 시 고려사항소아 환자에게 약물을 투여할 때는 특별한 주의가 필요합니다. 소아는 성인과 달리 체중, 체표면적, 생리적 기능 등이 다르기 때문에 약물의 용량, 제형, 투여 경로 등을 성인과 다르게 결정해야 합니다. 또한 소아는 약물에 대한 반응이 다를 수 있으므로 부작용 발생에 더 주의해야 합니다. 투약 시에는 소아의 발달 단계, 선호도, 순응도 등을 고려하여 투여 방법을 선택해야 하며, 투약 후에도 면밀한 모니터링이 필요합니다. 소아 약물 투여 시 의료진은 약물 사용의 안전성과 효과성을 최우선으로 고려하여 환자 개인별 특성에 맞는 최적의 치료법을 선택해야 합니다.
-
4. 노인 약물 투여 시 고려사항노인 환자에게 약물을 투여할 때는 특별한 주의가 필요합니다. 노인은 생리적 기능 저하, 다약물 복용, 약물 상호작용 등의 문제가 있어 약물 부작용 발생 위험이 높기 때문입니다. 따라서 노인 환자에게 약물을 투여할 때는 약물의 용량, 제형, 투여 경로 등을 신중하게 결정해야 합니다. 또한 약물 상호작용과 부작용을 면밀히 모니터링하고, 필요시 약물 조정 등의 조치를 취해야 합니다. 이를 위해 의료진은 노인 환자의 전반적인 건강 상태와 약물 사용 내역을 종합적으로 평가하여 최적의 약물 치료 계획을 수립해야 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