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통큰쿠폰이벤트-통합
일반혈액검사결과 정상치, 임상적의의
본 내용은
"
일반혈액검사결과 정상치, 임상적의의
"
의 원문 자료에서 일부 인용된 것입니다.
2023.04.03
문서 내 토픽
  • 1. 백혈구(WBC)
    백혈구 수치가 증가하는 경우에는 백혈병, 세균 감염, 염증, 스트레스 등이 원인이 될 수 있으며, 감소하는 경우에는 재생불량성 빈혈, agranulocytosis, 면역계 질병, 악성 빈혈, 비장 기능 항진, AIDS 등이 원인이 될 수 있다.
  • 2. 호중구(Neutrophil)
    호중구 수치가 증가하는 경우에는 임신, 신생아, 세균 감염, 염증성 질환, 조직 괴사(심근경색, 화상), 급성 스트레스 반응, 폐렴, 편도선염, 신우신염, 뇌출혈, 악성 종양 등이 원인이 될 수 있으며, 감소하는 경우에는 독소적 항원, 호르몬 질병, 혈액 질환, 골수 저하, 바이러스 감염, 약물(화학요법, 항생제, 항정신약) 등이 원인이 될 수 있다.
  • 3. 림프구(Lymphocyte)
    림프구 수치가 증가하는 경우에는 급성 감염증, 세균성 상기도 감염, 바이러스 감염, 호르몬 질환, 결핵, 림프성 백혈병, 급성 중독증의 회복기 등이 원인이 될 수 있으며, 감소하는 경우에는 감염 질환, 백혈병, 패혈증, 면역결핍질환, SLE 등이 원인이 될 수 있다.
  • 4. 단핵구(Monocyte)
    단핵구 수치가 증가하는 경우에는 활동성 결핵, 단핵구성 백혈병 등이 원인이 될 수 있으며, 감소하는 경우에는 재생불량성 빈혈, 털세포 백혈병, 코르티코스테로이드의 장기 투여 등이 원인이 될 수 있다.
  • 5. 호산구(Eosinophil)
    호산구 수치가 증가하는 경우에는 알러지, 기생충 감염, 성홍열, 피부질환(천포창, 다형 홍반), 호산구 과다 증후군, 악성 빈혈 등이 원인이 될 수 있으며, 감소하는 경우에는 글루티코코르티코이드, 아드레날린 치료 등이 원인이 될 수 있다.
  • 6. 호염기구(Basophil)
    호염기구 수치가 증가하는 경우에는 알러지, 과민반응, 독감, 천연두, 수두, 류마티스관절염, 궤양대장염, 만성신부전, 점액부종, 당뇨, 결핵, 방사선 치료 등이 원인이 될 수 있으며, 감소하는 경우에는 급성 감염, 급격한 스트레스, 갑상샘 과다증, 부신 글루티코코르티코이드 치료 등이 원인이 될 수 있다.
  • 7. 적혈구(RBC)
    적혈구 수치가 증가하는 경우에는 설사, polycythemia, 탈수, Shock, 부신부전증, 심폐질환 등이 원인이 될 수 있으며, 감소하는 경우에는 빈혈, 출혈, 백혈병, 골수 장애, 영양실조 등이 원인이 될 수 있다.
  • 8. 혈색소(Hb)
    혈색소 수치가 증가하는 경우에는 만성 일산화탄소중독증, 심장질환, 혈색소 농축, 화상, 탈수 등이 원인이 될 수 있으며, 감소하는 경우에는 빈혈, 백혈병, 관절염, 만성질환, 출혈, 용혈, 임신, 갑상선 기능항진증 등이 원인이 될 수 있다.
  • 9. 헤마토크릿(Hct)
    헤마토크릿 수치가 증가하는 경우에는 다혈구혈증, 황달, 선천성 심질환, 고산병, 폐기종 등이 원인이 될 수 있으며, 감소하는 경우에는 빈혈, 간경변증, 출혈, 임신 등이 원인이 될 수 있다.
  • 10. 혈소판(Platelet)
    혈소판 수치가 증가하는 경우에는 골수증식성 질환, 원발성 혈소판 증가증, 진성 다혈구증, 만성 과립구성 백혈병 등이 원인이 될 수 있으며, 감소하는 경우에는 골수에서 생산 저하(재생불량성 빈혈), 백혈병, 암 전이, 자가면역질환, 다발성 골수종, 골수섬유종, 알코올, 거대적아구성 빈혈 등이 원인이 될 수 있다.
Easy AI와 토픽 톺아보기
  • 1. 백혈구(WBC)
    백혈구는 우리 몸의 면역 체계를 지키는 중요한 역할을 합니다. 백혈구는 감염이나 질병에 대한 방어 기능을 수행하며, 다양한 종류의 세포로 구성되어 있습니다. 백혈구 수치의 변화는 건강 상태를 나타내는 중요한 지표가 될 수 있습니다. 따라서 백혈구 수치를 정기적으로 확인하고 관리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백혈구 수치가 비정상적으로 높거나 낮은 경우, 의사와 상담하여 원인을 파악하고 적절한 치료를 받는 것이 필요합니다.
  • 2. 호중구(Neutrophil)
    호중구는 백혈구의 가장 큰 부분을 차지하며, 세균 감염이나 염증 반응에 신속하게 반응하는 중요한 역할을 합니다. 호중구 수치가 낮은 경우 감염에 취약해질 수 있으며, 높은 경우 염증성 질환이나 암 등의 징조일 수 있습니다. 따라서 호중구 수치를 정기적으로 확인하고 관리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또한 호중구 수치 변화의 원인을 파악하고 적절한 치료를 받는 것이 필요합니다.
  • 3. 림프구(Lymphocyte)
    림프구는 면역 체계의 핵심 세포로, 감염이나 질병에 대한 방어 기능을 수행합니다. 림프구에는 T 림프구와 B 림프구가 있으며, 각각 다른 역할을 합니다. 림프구 수치가 낮은 경우 면역력이 저하될 수 있으며, 높은 경우 감염이나 암 등의 징조일 수 있습니다. 따라서 림프구 수치를 정기적으로 확인하고 관리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또한 림프구 수치 변화의 원인을 파악하고 적절한 치료를 받는 것이 필요합니다.
  • 4. 단핵구(Monocyte)
    단핵구는 백혈구의 일종으로, 감염이나 염증 반응에 대한 방어 기능을 수행합니다. 단핵구는 조직 내로 이동하여 대식세포로 분화하며, 병원체를 제거하고 조직 손상을 복구하는 역할을 합니다. 단핵구 수치가 높은 경우 감염, 염증, 암 등의 징조일 수 있습니다. 따라서 단핵구 수치를 정기적으로 확인하고 관리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또한 단핵구 수치 변화의 원인을 파악하고 적절한 치료를 받는 것이 필요합니다.
  • 5. 호산구(Eosinophil)
    호산구는 백혈구의 일종으로, 알레르기 반응이나 기생충 감염에 대한 방어 기능을 수행합니다. 호산구 수치가 높은 경우 알레르기, 천식, 기생충 감염 등의 징조일 수 있습니다. 따라서 호산구 수치를 정기적으로 확인하고 관리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또한 호산구 수치 변화의 원인을 파악하고 적절한 치료를 받는 것이 필요합니다.
  • 6. 호염기구(Basophil)
    호염기구는 백혈구의 일종으로, 알레르기 반응이나 염증 반응에 관여합니다. 호염기구 수치가 높은 경우 알레르기, 천식, 염증성 질환 등의 징조일 수 있습니다. 따라서 호염기구 수치를 정기적으로 확인하고 관리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또한 호염기구 수치 변화의 원인을 파악하고 적절한 치료를 받는 것이 필요합니다.
  • 7. 적혈구(RBC)
    적혈구는 우리 몸에서 가장 많은 혈액 세포로, 산소와 이산화탄소를 운반하는 중요한 역할을 합니다. 적혈구 수치가 낮은 경우 빈혈이 발생할 수 있으며, 높은 경우 폐질환이나 심장 질환 등의 징조일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적혈구 수치를 정기적으로 확인하고 관리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또한 적혈구 수치 변화의 원인을 파악하고 적절한 치료를 받는 것이 필요합니다.
  • 8. 혈색소(Hb)
    혈색소는 적혈구 내에 존재하는 단백질로, 산소를 운반하는 역할을 합니다. 혈색소 수치가 낮은 경우 빈혈이 발생할 수 있으며, 높은 경우 폐질환이나 심장 질환 등의 징조일 수 있습니다. 따라서 혈색소 수치를 정기적으로 확인하고 관리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또한 혈색소 수치 변화의 원인을 파악하고 적절한 치료를 받는 것이 필요합니다.
  • 9. 헤마토크릿(Hct)
    헤마토크릿은 전체 혈액 중 적혈구가 차지하는 비율을 나타내는 지표입니다. 헤마토크릿 수치가 낮은 경우 빈혈이 발생할 수 있으며, 높은 경우 폐질환이나 심장 질환 등의 징조일 수 있습니다. 따라서 헤마토크릿 수치를 정기적으로 확인하고 관리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또한 헤마토크릿 수치 변화의 원인을 파악하고 적절한 치료를 받는 것이 필요합니다.
  • 10. 혈소판(Platelet)
    혈소판은 출혈을 막는 데 중요한 역할을 합니다. 혈소판 수치가 낮은 경우 출혈이 발생할 수 있으며, 높은 경우 혈전 형성 등의 위험이 있습니다. 따라서 혈소판 수치를 정기적으로 확인하고 관리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또한 혈소판 수치 변화의 원인을 파악하고 적절한 치료를 받는 것이 필요합니다.
주제 연관 리포트도 확인해 보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