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일반혈액검사결과 정상치, 임상적의의
본 내용은
"
일반혈액검사결과 정상치, 임상적의의
"
의 원문 자료에서 일부 인용된 것입니다.
2023.04.03
문서 내 토픽
-
1. 백혈구(WBC)백혈구 수치가 증가하는 경우에는 백혈병, 세균 감염, 염증, 스트레스 등이 원인이 될 수 있으며, 감소하는 경우에는 재생불량성 빈혈, agranulocytosis, 면역계 질병, 악성 빈혈, 비장 기능 항진, AIDS 등이 원인이 될 수 있다.
-
2. 호중구(Neutrophil)호중구 수치가 증가하는 경우에는 임신, 신생아, 세균 감염, 염증성 질환, 조직 괴사(심근경색, 화상), 급성 스트레스 반응, 폐렴, 편도선염, 신우신염, 뇌출혈, 악성 종양 등이 원인이 될 수 있으며, 감소하는 경우에는 독소적 항원, 호르몬 질병, 혈액 질환, 골수 저하, 바이러스 감염, 약물(화학요법, 항생제, 항정신약) 등이 원인이 될 수 있다.
-
3. 림프구(Lymphocyte)림프구 수치가 증가하는 경우에는 급성 감염증, 세균성 상기도 감염, 바이러스 감염, 호르몬 질환, 결핵, 림프성 백혈병, 급성 중독증의 회복기 등이 원인이 될 수 있으며, 감소하는 경우에는 감염 질환, 백혈병, 패혈증, 면역결핍질환, SLE 등이 원인이 될 수 있다.
-
4. 단핵구(Monocyte)단핵구 수치가 증가하는 경우에는 활동성 결핵, 단핵구성 백혈병 등이 원인이 될 수 있으며, 감소하는 경우에는 재생불량성 빈혈, 털세포 백혈병, 코르티코스테로이드의 장기 투여 등이 원인이 될 수 있다.
-
5. 호산구(Eosinophil)호산구 수치가 증가하는 경우에는 알러지, 기생충 감염, 성홍열, 피부질환(천포창, 다형 홍반), 호산구 과다 증후군, 악성 빈혈 등이 원인이 될 수 있으며, 감소하는 경우에는 글루티코코르티코이드, 아드레날린 치료 등이 원인이 될 수 있다.
-
6. 호염기구(Basophil)호염기구 수치가 증가하는 경우에는 알러지, 과민반응, 독감, 천연두, 수두, 류마티스관절염, 궤양대장염, 만성신부전, 점액부종, 당뇨, 결핵, 방사선 치료 등이 원인이 될 수 있으며, 감소하는 경우에는 급성 감염, 급격한 스트레스, 갑상샘 과다증, 부신 글루티코코르티코이드 치료 등이 원인이 될 수 있다.
-
7. 적혈구(RBC)적혈구 수치가 증가하는 경우에는 설사, polycythemia, 탈수, Shock, 부신부전증, 심폐질환 등이 원인이 될 수 있으며, 감소하는 경우에는 빈혈, 출혈, 백혈병, 골수 장애, 영양실조 등이 원인이 될 수 있다.
-
8. 혈색소(Hb)혈색소 수치가 증가하는 경우에는 만성 일산화탄소중독증, 심장질환, 혈색소 농축, 화상, 탈수 등이 원인이 될 수 있으며, 감소하는 경우에는 빈혈, 백혈병, 관절염, 만성질환, 출혈, 용혈, 임신, 갑상선 기능항진증 등이 원인이 될 수 있다.
-
9. 헤마토크릿(Hct)헤마토크릿 수치가 증가하는 경우에는 다혈구혈증, 황달, 선천성 심질환, 고산병, 폐기종 등이 원인이 될 수 있으며, 감소하는 경우에는 빈혈, 간경변증, 출혈, 임신 등이 원인이 될 수 있다.
-
10. 혈소판(Platelet)혈소판 수치가 증가하는 경우에는 골수증식성 질환, 원발성 혈소판 증가증, 진성 다혈구증, 만성 과립구성 백혈병 등이 원인이 될 수 있으며, 감소하는 경우에는 골수에서 생산 저하(재생불량성 빈혈), 백혈병, 암 전이, 자가면역질환, 다발성 골수종, 골수섬유종, 알코올, 거대적아구성 빈혈 등이 원인이 될 수 있다.
-
1. 백혈구(WBC)백혈구는 우리 몸의 면역 체계를 지키는 중요한 역할을 합니다. 백혈구는 감염이나 질병에 대한 방어 기능을 수행하며, 다양한 종류의 세포로 구성되어 있습니다. 백혈구 수치의 변화는 건강 상태를 나타내는 중요한 지표가 될 수 있습니다. 따라서 백혈구 수치를 정기적으로 확인하고 관리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백혈구 수치가 비정상적으로 높거나 낮은 경우, 의사와 상담하여 원인을 파악하고 적절한 치료를 받는 것이 필요합니다.
-
2. 호중구(Neutrophil)호중구는 백혈구의 가장 큰 부분을 차지하며, 세균 감염이나 염증 반응에 신속하게 반응하는 중요한 역할을 합니다. 호중구 수치가 낮은 경우 감염에 취약해질 수 있으며, 높은 경우 염증성 질환이나 암 등의 징조일 수 있습니다. 따라서 호중구 수치를 정기적으로 확인하고 관리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또한 호중구 수치 변화의 원인을 파악하고 적절한 치료를 받는 것이 필요합니다.
-
3. 림프구(Lymphocyte)림프구는 면역 체계의 핵심 세포로, 감염이나 질병에 대한 방어 기능을 수행합니다. 림프구에는 T 림프구와 B 림프구가 있으며, 각각 다른 역할을 합니다. 림프구 수치가 낮은 경우 면역력이 저하될 수 있으며, 높은 경우 감염이나 암 등의 징조일 수 있습니다. 따라서 림프구 수치를 정기적으로 확인하고 관리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또한 림프구 수치 변화의 원인을 파악하고 적절한 치료를 받는 것이 필요합니다.
-
4. 단핵구(Monocyte)단핵구는 백혈구의 일종으로, 감염이나 염증 반응에 대한 방어 기능을 수행합니다. 단핵구는 조직 내로 이동하여 대식세포로 분화하며, 병원체를 제거하고 조직 손상을 복구하는 역할을 합니다. 단핵구 수치가 높은 경우 감염, 염증, 암 등의 징조일 수 있습니다. 따라서 단핵구 수치를 정기적으로 확인하고 관리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또한 단핵구 수치 변화의 원인을 파악하고 적절한 치료를 받는 것이 필요합니다.
-
5. 호산구(Eosinophil)호산구는 백혈구의 일종으로, 알레르기 반응이나 기생충 감염에 대한 방어 기능을 수행합니다. 호산구 수치가 높은 경우 알레르기, 천식, 기생충 감염 등의 징조일 수 있습니다. 따라서 호산구 수치를 정기적으로 확인하고 관리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또한 호산구 수치 변화의 원인을 파악하고 적절한 치료를 받는 것이 필요합니다.
-
6. 호염기구(Basophil)호염기구는 백혈구의 일종으로, 알레르기 반응이나 염증 반응에 관여합니다. 호염기구 수치가 높은 경우 알레르기, 천식, 염증성 질환 등의 징조일 수 있습니다. 따라서 호염기구 수치를 정기적으로 확인하고 관리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또한 호염기구 수치 변화의 원인을 파악하고 적절한 치료를 받는 것이 필요합니다.
-
7. 적혈구(RBC)적혈구는 우리 몸에서 가장 많은 혈액 세포로, 산소와 이산화탄소를 운반하는 중요한 역할을 합니다. 적혈구 수치가 낮은 경우 빈혈이 발생할 수 있으며, 높은 경우 폐질환이나 심장 질환 등의 징조일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적혈구 수치를 정기적으로 확인하고 관리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또한 적혈구 수치 변화의 원인을 파악하고 적절한 치료를 받는 것이 필요합니다.
-
8. 혈색소(Hb)혈색소는 적혈구 내에 존재하는 단백질로, 산소를 운반하는 역할을 합니다. 혈색소 수치가 낮은 경우 빈혈이 발생할 수 있으며, 높은 경우 폐질환이나 심장 질환 등의 징조일 수 있습니다. 따라서 혈색소 수치를 정기적으로 확인하고 관리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또한 혈색소 수치 변화의 원인을 파악하고 적절한 치료를 받는 것이 필요합니다.
-
9. 헤마토크릿(Hct)헤마토크릿은 전체 혈액 중 적혈구가 차지하는 비율을 나타내는 지표입니다. 헤마토크릿 수치가 낮은 경우 빈혈이 발생할 수 있으며, 높은 경우 폐질환이나 심장 질환 등의 징조일 수 있습니다. 따라서 헤마토크릿 수치를 정기적으로 확인하고 관리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또한 헤마토크릿 수치 변화의 원인을 파악하고 적절한 치료를 받는 것이 필요합니다.
-
10. 혈소판(Platelet)혈소판은 출혈을 막는 데 중요한 역할을 합니다. 혈소판 수치가 낮은 경우 출혈이 발생할 수 있으며, 높은 경우 혈전 형성 등의 위험이 있습니다. 따라서 혈소판 수치를 정기적으로 확인하고 관리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또한 혈소판 수치 변화의 원인을 파악하고 적절한 치료를 받는 것이 필요합니다.
-
임상검사 양식 (전혈구, 혈액화학, 혈액가스, 혈액응고, 심근경색, 소변검사)의 임상적 의의1. 전혈구 검사 전혈구 검사(CBC test)의 임상치와 정상치, 그리고 각 항목의 임상적 의의를 설명하고 있습니다. 백혈구, 적혈구, 혈소판 등의 수치와 지표들이 감염, 빈혈, 출혈 등의 질환에서 어떤 변화를 보이는지 자세히 기술되어 있습니다. 2. 일반화학 검사 일반화학 검사(Chemistry test)의 임상치와 정상치, 그리고 각 항목의 임상적 의...2025.01.06 · 의학/약학
-
영양판정및실습 기말고사 정리 // 지용성 비타민, 수용성 비타민, 임상조사, 영양판정의 활용1. 지용성 비타민 영양상태판정 비타민A 결핍 -경계수준의 결핍 -적절- 과다- 중독 생화학적 검사 – 혈액, 유즙, 간의 비타민A함량 측정 기능성 검사 – 암적응 검사, 결막상피세포 조사, 투여반응시험혈청 비타민 A 비타민A의 영양상태판정에 가장 많이 사용저장이 잘되며 체내 항상성 조절, 체내에서 완전히 고갈되었거나 초과시 변화 정상범위 45~55ug/d...2025.01.14 · 의학/약학
-
혈액검사 임상검사 결과, 정상수치, 의의 7페이지
..FILE:mimetypeapplication/hwp+zip..FILE:version.xml..FILE:Contents/header.xml^1.^2.^3)^4)(^5)(^6)^7^8..FILE:Contents/section0.xml임상검사 결과 및 의의(정상치는 병원/병동/환자별로 다를 수 있음)1) Rountine Hematology검사명결과치정상치검사결과 및 의의0/00/0WBC3-9.3 K/uL▲증가: 염증, 급성괴사▼감소: 재생불량성 빈혈, 약물 복용 부작용, 중증 바이러스감염, 혈액질환RBC3.6-4.9M/uL▼감소: 빈...2024.06.27· 7페이지 -
case study 간호실습에 도움되는 검사수치 3페이지
UA검사항목정상치(단위포함)검사결과3/25임상적의의GlucoseNEGATIVENEGATIVE증가 : 당뇨병, 요독증, 갑상선기능항진증, 비만, 임신, 간질환감소 : 간장애, 인슐린 과잉증BilirubinNEGATIVE1T증가 : Hepatitis, Acidosis, Liver dysfunction, Hapatocellular diseaseKetoneNEGATIVE1T증가 : Preoperative patient, pregnancy, DM, AcidosisSpecific gravity1.010~1.0301.029증가 : 당뇨병, 신증...2023.08.28· 3페이지 -
혈액검사정상수치, LBA결과, 검사결과 정리 12페이지
1. 혈액검사 CBC(complete blood count)- 혈액의 세포학적 및 이학적인 성질과 상태를 검사하는 것- 채혈하여 적혈구수, 혈색소량, 적혈구 용적과 이들에서 계산되는 계수와 백혈구수, 혈소판수, 망상 적혈구수 등을 검사- 혈액 한 방울을 슬라이드 글라스에 얇게 바른 것을 염색하여 백혈구의 종류, 각종 혈구의 질적 변화를 조사- 출혈시간, 응고시간, 모세혈관 저항 등을 검사해서 출혈경향, 혈액질환, 감염증 등의 진단과 각종 질환의 경과와 예후 판정.- 염증상태나 빈혈, 출혈상태, 혈액응고이상 등 혈액검사 중 가장 기본...2022.07.07· 12페이지 -
성인간호학실습 임상검사 정상치 및 의미(전혈구검사, 혈액응고검사, 일반화학검사) 19페이지
성인 간호학실습보고서- 임상검사 정상치 및 의미(전혈구검사, 혈액응고검사, 일반화학검사) -1. 임상검사정의환자로부터 채취한 혈액, 소변, 체액 등의 검체를 이용하여 질병의 진단과 경과 관찰, 치료 관찰, 치료 및 예후 판정 등에 관련된 검사를 시행하고 다시 얻어진 검사 결과를 토대로 환자의 질병 진단이나 치료방침 등에 도움을 줄 수 있도록 객관적이고 전문적인 검사 결과를 제공한다.→ 질병의 진단 및 치료를 위해 실시하는 검사1. 진단 : 임상적으로 진단을 확정, 부인하는 데 사용2. 치료감시 : 치료에 대한 질병의 반응을 알아보는...2023.01.22· 19페이지 -
ABGA, CBC, 전해질, 당뇨, 종양표지자 Lab 정상 수치 및 임상적 의의 7페이지
일반 혈액검사검사참고치임상적의의WBC4,000~10,000/㎕▲세균감염, 백혈병▼재생불량성 빈혈, 바이러스성감염 조혈성 질환수치가 내려갈시 골수의 질환을 의심할 수 있으며 높을 경우 염증을 일으키는 질환들을 생각해 볼수 있으며 수십만 정도의 수치를 보인다면 백혈병을 생각해 볼 수 있다.N-Seq(호중구)40~72%백혈구 중에서 가장 많은 비중을 차지하고 있는 것으로서 세균이 침입했을 때에 이를 제거하는 역할로 생체방어기능을 한다.Lymphocytes(림프구)20~48%▲급성감염, 다발성 골수증, 백혈병▼백혈병, 패혈증, 면역결핍질환...2023.03.22· 7페이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