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Agarose gel 만들기 및 DNA electrophoresis 레포트
본 내용은
"
A+[일반생물학및실험] Agarose gel 만들기 및 DNA electrophoresis 레포트
"
의 원문 자료에서 일부 인용된 것입니다.
2023.03.25
문서 내 토픽
-
1. PCR(Polymerase Chain Reaction)PCR은 중합 효소 연쇄반응이라 불린다. 캐리 멀리스에 의하여 1985년에 개발된 중합 효소 연쇄반응(PCR)은 현재 유전물질을 조작하여 실험하는 거의 모든 과정에 사용하고 있는 검사법이다. PCR은 DNA의 원하는 부분을 복제 및 증폭시키는 분자생물학적 기술이다. 이 기술은 사람의 게놈과 같이 매우 복잡하고 양이 적은 DNA 용액에서 연구자가 원하는 특정 DNA 단편만을 선택적으로 증폭시킬 수 있다. Tm은 프라이머 용융 온도라고 한다. 모든 프라이머는 거의 동일한 온도에서 상보적인 DNA 서열에 어닐링 및 해리될 수 있는 유사한 용융 온도를 가져야 하며, 선택된 온도에서 각 증폭이 선행되도록 한다.
-
2. DNA 전기영동의 원리와 특성전하가 q인 이온이 그 크기가 E인 전기장에 놓일 경우, 이온이 받는 전기력의 크기는 F=gE 이다. 이온은 용액 내에서 전기력에 따른 가속 때문에 속력이 점차 증가하나, 주변 용액 때문에 전기력과 반대 방향으로 마찰을 받는다. DNA는 phosphate로 인해 음전하(-)를 띄게 된다. 이때 전기영동 장치에서 전류를 흘려주게 되면 DNA는 음전하를 띄기 때문에 음극에서 양극으로 이동할 수 있게 된다. 전기영동에서 사용되는 Agarose gel은 조밀한 그물 구조로 되어있다. 전류가 흐르면서 DNA는 양극으로 이동하게 되지만, 이때 크기가 작은 DNA 절편은 이 그물을 통과하기 쉽기 때문에 빨리 이동할 수 있게 되고, 크기가 큰 DNA 절편은 느리게 이동하게 된다.
-
3. loading dye의 역할loading dye에는 ficoll과 같은 고분자 물질이 들어있다. 이것들과 섞인 DNA는 젤 형태의 well 안으로 가라앉는다. 그리고 다음의 이유는 DNA의 이동 거리를 육안으로 확인하기 위함이다. DNA 자체는 눈에 안 보인다. 그래서 젤에 로딩하고 그냥 흘려보내면 DNA가 얼마나 이동했는지 잘 알 수가 없다. 하지만 loading dye와 섞어서 전개하면 dye의 이동에 따라 DNA가 얼마나 이동했는지 알 수 있다. Dye는 색의 종류에 따라 특정 크기의 DNA와 같은 속도로 이동한다.
-
4. EtBr의 역할과 독성EtBr은 실험실에서 많이 사용되는 대표적인 staining dye로써, 브로민화 에티듐 또는 브로모에탄의 약어로 쓰인다. 얇은 판 모양의 고리 화합물로, DNA 나선의 염기 사이에 들어가 결합하므로 강력한 발암물질이자 돌연변이원으로 알려져 있으며, UV에 노출되면 결합한 DNA를 통해 가시광선으로 변화시켜 발광된 band를 확인 할 수 있다. 또한, EtBr은 DNA의 이동속도를 10~15% 감소시키며, 취급 시 반드시 장갑과 마스크를 착용해야 하고 사용 후에는 정화시켜 폐기하여야 한다.
-
1. PCR(Polymerase Chain Reaction)PCR(Polymerase Chain Reaction)은 DNA 증폭 기술로, 극소량의 DNA 시료에서 수백만 개의 복사본을 만들어낼 수 있는 혁신적인 기술입니다. PCR은 유전자 분석, 질병 진단, 범죄 수사, 고고학 등 다양한 분야에서 널리 활용되고 있습니다. 이 기술은 DNA 복제 과정을 모방하여 효소와 프라이머, 온도 조절 등을 통해 DNA를 증폭시킵니다. PCR은 빠르고 정확하며 민감도가 높아 유전자 분석에 매우 유용합니다. 하지만 오염 가능성이 있어 실험 과정에 주의가 필요하며, 고가의 장비와 시약이 필요하다는 단점도 있습니다. 전반적으로 PCR은 생명과학 분야에서 매우 중요한 기술로 자리잡고 있습니다.
-
2. DNA 전기영동의 원리와 특성DNA 전기영동은 DNA 분자의 크기와 전하에 따라 전기장 내에서 이동하는 속도를 이용하여 DNA 단편을 분리하는 기술입니다. 이 기술의 원리는 DNA 분자가 음전하를 띠고 있어 양극으로 이동하는 성질을 이용하는 것입니다. 전기영동에 사용되는 겔은 주로 아가로스나 폴리아크릴아마이드로 만들어지며, 이 겔 내에서 DNA 단편들이 크기에 따라 분리됩니다. 전기영동은 DNA 단편의 크기 확인, 유전자 지문 분석, 유전자 클로닝 등 다양한 생명과학 실험에 활용됩니다. 이 기술은 빠르고 정확하며 비교적 저렴한 장비로 수행할 수 있어 널리 사용되고 있습니다. 다만 겔 제작과 전기영동 조건 설정 등에 주의가 필요하며, 염색 과정에서 DNA 손상이 발생할 수 있다는 단점이 있습니다.
-
3. loading dye의 역할Loading dye는 DNA 전기영동 실험에서 DNA 시료를 겔에 로딩할 때 사용되는 염료입니다. Loading dye의 주요 역할은 다음과 같습니다. 첫째, 시료의 밀도를 높여 겔에 잘 침강되도록 합니다. 둘째, 시료의 이동 경로를 육안으로 확인할 수 있게 해줍니다. 셋째, DNA 단편의 이동 속도를 늦추어 분리도를 높입니다. 넷째, DNA 단편을 염색하여 가시화할 수 있게 합니다. 주로 사용되는 loading dye에는 브로모페놀 블루, 자일렌 시아놀, 글리세롤 등이 있습니다. 이들 dye는 DNA와 결합하여 DNA 단편의 이동을 추적할 수 있게 해줍니다. Loading dye의 사용은 DNA 전기영동 실험에서 필수적이며, 실험 결과의 정확성과 재현성을 높이는 데 기여합니다.
-
4. EtBr의 역할과 독성EtBr(Ethidium Bromide)은 DNA 전기영동 실험에서 DNA 단편을 가시화하는 데 널리 사용되는 염료입니다. EtBr은 DNA 분자 사이에 삽입되어 UV 조사 시 형광을 발생시키므로, DNA 단편의 위치와 크기를 확인할 수 있습니다. EtBr은 민감도가 높고 사용이 간편하여 DNA 분석에 매우 유용합니다. 그러나 EtBr은 발암성 및 돌연변이 유발 물질로 알려져 있어 취급에 주의가 필요합니다. 실험 시 장갑과 실험복을 착용하고, 폐기물 처리 시 특별한 주의를 기울여야 합니다. 최근에는 EtBr을 대체할 수 있는 안전한 염료들이 개발되고 있지만, 여전히 EtBr이 가장 널리 사용되고 있습니다. 생명과학 연구에서 DNA 분석은 필수적이므로, EtBr의 독성에 대한 주의와 함께 안전한 대체 염료 개발이 중요할 것으로 보입니다.
-
[동국대] A Agarose gel 만들기 및 DNA electrophoresis 레포트 5페이지
1. Title : Agarose gel 만들기 및 DNA electrophoresis2. Date :3. Name :4. Purpose : 전기영동의 의미를 이해하고 DNA의 크기 및 구조에 따른 결과차이를 이해한다. Agarose gel에 DNA와 loading dye를 넣고 전기를 걸어주면 DNA는 인산기 때문에 매질을 타고 양전하 방향으로 움직이게 된다. 이때 움직이는 속도는 DNA의 크기에 다라 다르므로 매질 내에서 종류에 따라 분리하게 되며 전기영동은 DNA의 크기에 따른 분리를 한다.5. Materials : PCR p...2021.05.27· 5페이지 -
대학생물학및실험1 Agarose gel 만들기 및 DNA electrophoresis(전기영동) 실험 레포트 9페이지
결과 레포트Agarose gel 만들기 및 DNA electrophoresis- 10주차 -대학생물학및실험1교수님조교학번이름대학생물학 및 실험 1Ⅰ. Title : Agarose gel 만들기 및 DNA electrophoresisⅡ. Date : 2022/05/09Ⅲ. Name :Ⅳ. Purpose : 전기영동의 의미를 이해하고 DNA의 크기 및 구조에 따른 결과차이를 이해한다. Agarose gel에 DNA와 loading dye를 넣고 전기를 걸어주면 DNA는 인산기 때문에 매질을 타고 양전하 방향으로 움직이게 된다. 이때 움...2023.12.24· 9페이지 -
Agarose gel 만들기 및 DNA electrophoresis A+레포트 8페이지
< Agarose gel 만들기 및 DNA electrophoresis >Ⅰ. 제목Agarose gel 만들기 및 DNA electrophoresisⅡ. 날짜Ⅲ. 이름Ⅳ. 실험목적전기영동의 의미를 이해하고 DNA의 크기 및 구조에 따른 결과 차이를 이해한다.Agarose gel에 DNA와 loading dye를 넣고 전기를 걸어주면 DNA는 인산기 때문에매질을 타고 양전하 방향으로 움직이게 된다. 이때 움직이는 속도는 DNA의 크기에 따라 다르므로 매질 내에서 종류에 따라 분리하게 되며 전기영동은 DNA의 크기에 따른 분리를 한다....2020.10.14· 8페이지 -
[미생물생태학실험] PCR, electrophoresis 실험 6페이지
미생물생태학 실험 실습 레포트학과: 학번: 이름: 분반:Ⅰ. ThemePCR(15주차)Ⅱ. Purpose1. PCR의 개념 및 원리와 실험방법을 학습한다.2. Primer 디자인 하는 방법을 학습한다.3. Bacteria의 세포벽 구조 및 유전자 추출 방법을 학습한다.Ⅲ. Method1. primer 제작 방법① 증폭하고자 하는 유전자의 서열을 찾는다② 증폭하고자 하는 서열과 상보서열이 되도록 염기서열 20mer 정도 적는다.③ 프로그램을 통해 앞에서 적은 염기서열의 결합 온도를 확인한다.④ 온도에 따라 primer를 수정한다.2....2025.07.08· 6페이지 -
현대생물학실험4 Tobacco infiltration full report 17페이지
AbstractAgrobacterium-mediated transformation을 이용해 담배잎 내로 목적 유전자를 도입하여 식물 형질전환을 유도하고 세포 내 목적 단백질의 발현을 관찰해보며 목적 단백질의 활성으로 생성된 TAG를 TLC를 통해 분리해내고자 한다. A.tumafaciens의 한 strain인 GV3101로 목적 유전자(DGAT1, WRI1, MAGL4, MAGL10)와 reporter gene(eYFP)가 fusion된 Plasmid를 도입하고 이러한 GV3101을 이용해 담배잎 식물 세포의 형질전환을 유도할 수 ...2024.11.02· 17페이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