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A+ 받을 수 있는 중앙대학교 전기회로설계실습 1.저항, 전압, 전류의 측정방법 설계 결과보고서
본 내용은
"
A+ 받을 수 있는 중앙대학교 전기회로설계실습 1.저항, 전압, 전류의 측정방법 설계 결과보고서
"
의 원문 자료에서 일부 인용된 것입니다.
2023.09.07
문서 내 토픽
-
1. 저항 측정30개의 저항을 측정한 결과 모든 저항이 5%의 오차 범위를 만족하였고 평균값은 9.82kΩ, 표준편차는 0.0308kΩ이었다. 저항을 병렬로 연결하면 표준편차가 32.4%로 작아짐을 확인하였다.
-
2. 전압 측정6V 건전지의 출력전압은 2.83V로 내부 저항이 매우 컸으며, DMM으로 측정한 전압에 대한 DC power supply에 표시된 전압의 오차는 유효숫자 내에서는 0.0978%이었다.
-
3. 전류 측정측정된 값을 사용하여 분석한 결과 KVL, KCL의 오차는 유효숫자 내에서 각각 0%, 0.509%였다. 오차의 원인은 브레드보드의 저항과 DMM과 연결된 전선의 저항으로 인한 측정 전압 강하와 DMM자체의 큰 저항에 의해 손실되는 저항으로 인해 발생된다.
-
4. 2-wire 및 4-wire 측정법10 cm 전선의 저항을 측정한 결과 2w 측정법은 저항값이 작을 때 4w 측정법에 비해 오차가 더욱 큰 것을 확인하였다. 4-wire 측정법은 접촉 저항과 리드선의 저항을 제거해주기 때문에 2-wire 측정법보다 더 정확한 측정이 가능하다.
-
1. 저항 측정저항 측정은 전기 회로 분석에 매우 중요한 기술입니다. 옴의 법칙을 이용하여 전압과 전류를 측정하면 저항 값을 쉽게 계산할 수 있습니다. 그러나 실제 측정에서는 다양한 요인들로 인해 오차가 발생할 수 있습니다. 예를 들어 측정 프로브와 회로 간의 접촉 저항, 측정 기기의 내부 저항, 온도 변화 등이 영향을 미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정확한 저항 측정을 위해서는 이러한 요인들을 고려하고 보정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또한 2-wire 및 4-wire 측정법을 적절히 활용하여 측정 정확도를 높일 수 있습니다.
-
2. 전압 측정전압 측정은 전기 회로 분석에 필수적인 기술입니다. 전압은 회로의 동작 상태를 파악하고 문제를 진단하는 데 중요한 정보를 제공합니다. 전압 측정 시 주의해야 할 점은 측정 프로브와 회로 간의 접촉 저항, 측정 기기의 내부 저항, 그리고 측정 대상 회로에 미치는 부하 영향 등입니다. 이러한 요인들로 인해 측정값에 오차가 발생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정확한 전압 측정을 위해서는 이러한 요인들을 고려하고 보정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또한 2-wire 및 4-wire 측정법을 적절히 활용하여 측정 정확도를 높일 수 있습니다.
-
3. 전류 측정전류 측정은 전기 회로 분석에 매우 중요한 기술입니다. 전류는 회로의 동작 상태를 파악하고 문제를 진단하는 데 필수적인 정보를 제공합니다. 전류 측정 시 주의해야 할 점은 측정 프로브와 회로 간의 접촉 저항, 측정 기기의 내부 저항, 그리고 측정 대상 회로에 미치는 부하 영향 등입니다. 이러한 요인들로 인해 측정값에 오차가 발생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정확한 전류 측정을 위해서는 이러한 요인들을 고려하고 보정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또한 2-wire 및 4-wire 측정법을 적절히 활용하여 측정 정확도를 높일 수 있습니다.
-
4. 2-wire 및 4-wire 측정법2-wire 및 4-wire 측정법은 전기 회로 분석에서 매우 중요한 기술입니다. 2-wire 측정법은 간단하지만 측정 프로브와 회로 간의 접촉 저항으로 인해 오차가 발생할 수 있습니다. 반면 4-wire 측정법은 별도의 전류 공급선과 전압 측정선을 사용하여 접촉 저항의 영향을 최소화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정확한 저항, 전압, 전류 측정을 위해서는 상황에 따라 2-wire 또는 4-wire 측정법을 적절히 선택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이를 통해 측정 정확도를 높이고 회로 분석의 신뢰성을 확보할 수 있습니다.
-
중앙대 전자회로 설계 실습 결과보고서4_MOSFET 소자 특성 측정1. MOSFET 회로 제작 및 측정 설계실습 4 결과보고서. MOSFET 소자 특성 측정4. 설계실습 내용 및 분석 (결과 report 작성 내용)$ 4.1 MOSFET 회로의 제작 및 측정(A) 그림 1의 회로를 제작하여라. 이때, =1MΩ으로 설정한다. 또한, DC Power Supply를 회로에 연결 전에 =0V, =5V로 조정 후 Outp 후에 u...2025.01.11 · 공학/기술
-
[A+] 중앙대학교 전기회로 설계실습 결과보고서 1. 저항, 전압, 전류의 측정방법 설계1. 저항 측정 실험을 통해 단일 고정 저항과 병렬 연결된 합성 저항의 측정값을 확인하였다. 단일 저항의 경우 오차율이 0.7% ~ 2.1% 이내로 나타났고, 병렬 연결 저항의 경우 오차율이 더 작아졌다. 이를 통해 저항 측정 시 허용오차 범위 내에 있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2. 가변 저항 측정 가변 저항의 경우 가운데 단자와 양쪽 단자 사이의 저항값을 ...2025.04.29 · 공학/기술
-
A+ 받을 수 있는 중앙대학교 전기회로설계실습 설계실습 1. 저항, 전압, 전류의 측정방법 설계 예비보고서1. 저항 측정 DMM을 사용하여 저항(10 kΩ, 1/4, W, 5%, 30 개)을 측정하는 방법을 설명하였다. 평균값과 오차 분포도, 표준편차를 구하는 방법을 제시하였다. 또한 병렬 연결된 저항의 표준편차가 감소하는 이유를 설명하였다. 2. 가변저항 가변저항의 구조와 단자 사이의 저항 변화 특성을 설명하였다. 3. 4-wire 저항 측정 4-wire 저...2025.05.12 · 공학/기술
-
[중앙대학교 전기회로설계실습] A+ 결과보고서 1. 저항, 전압, 전류의 측정방법 설계 결과 보고서1. 저항 값 분포 실험 결과, 대부분의 저항값이 9.8kΩ에 있으며 정확히 10kΩ이거나 10kΩ를 초과하는 저항은 없었다. 최대 오차율은 2.3%로 허용 오차범위인 5%내에 모두 측정되었다. 저항 값의 분포는 9.7kΩ에 26.6%인 8개, 9.8kΩ에 70%인 21개, 9.9kΩ에 3.33%인 1개로 나타났다. 2. 전압 및 전류 측정 이 부분에 대한...2025.05.03 · 공학/기술
-
A+ 받을 수 있는 중앙대학교 전기회로설계실습 설계실습 2. 전원의 출력저항, DMM의 입력저항 측정회로 설계1. 전기회로설계실습 배터리의 내부저항을 구해보았으며 그 값은 약 이 나오게 되었다 이 값은 무시할만한 정도이다. DC Power supply의 최대 출력 전류를 50mA나 0.1A로 바꾸면서 CC모드나 CV모드를 바꾸는 것을 체험하면서 기기에 대한 이해를 넓혔다. 또한 DC Power supply의 설정 전압은 -단자에서 +단자 사이의 전위차만을 얘기함을...2025.05.15 · 공학/기술
-
[A+] 중앙대학교 전기회로 설계실습 예비보고서 1. 저항, 전압, 전류의 측정방법 설계1. 저항 측정 DMM을 사용하여 고정저항을 측정하는 방법을 설명하였다. DMM의 측정 단위를 Ω으로 변경하고, 측정 범위를 자동으로 조절하는 DMM을 사용하여 저항의 양단에 도입선을 연결하여 측정한다. 또한 30개의 저항에 대한 오차 분포도를 작성하고, 표준편차를 계산하였다. 두 개의 저항을 병렬로 연결하면 표준편차가 작아질 것이라고 설명하였다. 가변저항...2025.04.29 · 공학/기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