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유전학] transfection method와 T7E1
문서 내 토픽
-
1. Transfection 방법Transfection은 세포 내로 외부의 DNA나 RNA가 인위적으로 전달되는 과정을 의미한다. 핵산이 세포 내부로 들어가려면 세포막을 통과해야 하는데 이 방법에는 화학적, 생물학적, 물리학적 방법들이 이용된다. 대표적인 물리학적 방법으로는 Electroporation과 biolistics(유전자 총)이 있으며, 화학적 방법으로는 cationic lipid transfection이 있다. 각각의 방법들은 장단점이 있어 실험 목적과 이용하는 세포에 따라 선택하게 된다.
-
2. 새로운 Transfection 방법최근 mRNA 치료법이 주목받고 있는 가운데, 이 논문에서는 mRNA를 더 효율적으로 transfection할 수 있는 새로운 방법을 제시한다. 기존에 개별적으로 사용되었던 biopolymer(protamine)와 cationic lipid(DOTAP)를 조합하여 hybrid 나노입자를 만들었다. 이를 통해 mRNA의 안정성과 transfection 효율을 높일 수 있었다.
-
3. T7E1 assayT7E1은 endonuclease의 일종으로, CRISPR-Cas9 system 등에 의한 genome editing이 제대로 되었는지 확인하는 데 사용된다. T7E1은 DNA의 mismatch를 인식하고 절단할 수 있는데, 이를 이용하면 편집된 부위가 절단되어 전기영동 상에서 DNA 단편이 나타나게 된다. 따라서 T7E1 assay를 통해 genome editing 여부를 확인할 수 있다.
-
4. Wild type과 Transgenic 동물 구분CRISPR-Cas9 system을 통해 유전자가 편집된 transgenic 동물은 wild type과 다른 형질을 나타내게 된다. 이를 확인하는 방법으로는 1) 편집된 유전자로 인한 표현형 관찰, 2) 편집된 단백질의 발현 여부 확인, 3) T7E1 assay를 통한 genome editing 확인 등이 있다. T7E1 assay의 경우 wild type과 transgenic 동물의 genomic DNA를 추출하고 편집된 부위를 증폭한 뒤, T7E1 처리 후 전기영동하면 편집 여부를 확인할 수 있다.
-
1. Transfection 방법Transfection은 세포 내로 외래 DNA를 도입하는 기술로, 유전자 발현 연구, 단백질 생산, 유전자 치료 등 다양한 분야에서 활용되고 있습니다. 주요 Transfection 방법으로는 화학적 방법(리포펩타이드, 양이온 고분자 등), 물리적 방법(전기천공, 마이크로인젝션 등), 바이러스 매개 방법 등이 있습니다. 각 방법은 효율, 세포 독성, 적용 범위 등에서 장단점이 있어 연구 목적과 세포주에 따라 적절한 방법을 선택해야 합니다. 향후 더 안전하고 효율적인 Transfection 기술 개발이 필요할 것으로 보입니다.
-
2. 새로운 Transfection 방법최근 들어 기존 Transfection 방법의 한계를 극복하고자 다양한 새로운 기술들이 개발되고 있습니다. 예를 들어 나노입자, 엑소좀, CRISPR/Cas9 등을 이용한 방법들이 주목받고 있습니다. 이러한 기술들은 높은 효율, 낮은 세포 독성, 표적 지향성 등의 장점을 가지고 있어 유전자 치료, 백신 개발, 줄기세포 연구 등 다양한 분야에 활용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됩니다. 하지만 아직 안전성, 대량 생산, 비용 등의 문제가 해결되어야 할 과제가 있습니다. 향후 이러한 새로운 Transfection 기술들이 실용화되기 위해서는 지속적인 연구 개발과 함께 규제 당국의 승인 절차 등이 필요할 것으로 보입니다.
-
3. T7E1 assayT7E1 assay는 CRISPR/Cas9 시스템을 이용한 유전자 편집 효율을 확인하는 대표적인 방법입니다. 이 방법은 간단하고 비용 효율적이며, 다양한 유전자 편집 실험에 적용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습니다. T7E1 assay는 CRISPR/Cas9에 의해 유발된 돌연변이를 T7 endonuclease I 효소를 이용하여 검출하는 원리로 작동합니다. 이를 통해 유전자 편집 효율을 정량적으로 평가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T7E1 assay는 작은 삽입/결실 변이만 검출할 수 있다는 한계가 있어, 최근에는 차세대 염기서열 분석 기술 등 보다 정확한 분석 방법들이 개발되고 있습니다. 향후 CRISPR/Cas9 기술의 발전과 함께 T7E1 assay의 개선도 지속적으로 이루어질 것으로 기대됩니다.
-
4. Wild type과 Transgenic 동물 구분Wild type 동물과 Transgenic 동물을 구분하는 것은 유전자 기능 연구, 질병 모델 개발, 안전성 평가 등 다양한 분야에서 중요합니다. 일반적으로 유전자 분석, 단백질 발현 분석, 표현형 관찰 등을 통해 두 집단을 구분할 수 있습니다. 유전자 분석의 경우 PCR, Southern blot, 염기서열 분석 등을 이용하여 도입된 유전자의 존재 여부를 확인할 수 있습니다. 단백질 발현 분석에서는 Western blot, ELISA 등을 통해 Transgenic 동물에서의 목표 단백질 발현을 확인할 수 있습니다. 또한 표현형 관찰을 통해 Transgenic 동물의 특이적인 표현형을 관찰할 수 있습니다. 이러한 다양한 분석 방법을 통해 Wild type과 Transgenic 동물을 정확하게 구분할 수 있으며, 이는 유전자 기능 연구와 질병 모델 개발에 필수적입니다.
[유전학] transfection method와 T7E1
본 내용은 원문 자료의 일부 인용된 것입니다.
2023.03.17
-
(동국대 의생명공학과 / 생명공학 / 생물학과 / 생명과학과) Transformation 및 Transfection report 5페이지
1. 제목 : 세포 형질 전환2. 이름 :3. 실험 목적Plasmid DNA 증식을 위해 E.coli에 transformation 후, 293t cell에 transfection을 시킴으로써 Plasmid DNA를 진핵세포에 도입하기 위한 실험이다.4. 실험 방법4-1. transformation1) competent cell(20㎕)에 plasmid GFP DNA(1/10, 2㎕) 넣고 ice에서 5분2) 42℃, 45초3) ice에서 식히기4) 100㎕ LB liquid 배지(S.O.C) 추가하기5) amp + LB 배지에 sp...2022.07.14· 5페이지 -
[일반생물학실험]DNA work 11페이지
DNA work1. 실험 목적가. 세균의 세포벽을 파괴하고 plasmid DNA를 분리한다. 분리한 plasmid DNA를 형질전환을 시키고 배지에서 키운다. 배지에서 키운후 제한효소를 이용해 잘라낸뒤 전기영동을 시켜서 관찰한다.2. 실험 이론 및 원리가. 실험 요약미생물학 실험을 수행하는 데 있어서 가장 기본이 되는 재료가 DNA이므로 많은 양의 DNA를 확보하는 것이 무엇보다 중요하다. 이를 수행하기 위해 외부 DNA를 숙주 세포 내로 도입시키는 방법인 형질전환(Transformation)을 이용하는데 이 방법은 박테리아 세포에...2015.11.21· 11페이지 -
confocal microscopy 6페이지
Abstract이번 실험은 animal cell(293T HEK cell)을 transfection 시켜서293T-EGFP transfection cell을 Confocal Microscopy를 이용해 관찰하고, confocal microscopy의 원리를 알아보는 실험이었다. 실험은 293T HEK cell4x105개를 counting 해서 T-flask에 분주하고 incubation 한 후 ① incubation 한 cell+fransfection mix(EGFP가 들어있는 것), ②incubation 한 cell+control...2009.08.05· 6페이지 -
gene cloning 9페이지
< Gene Cloning Report >1. subject- gene cloning2. object- 원하는 gene을 pcr machine으로 증폭시키고, 이 증폭시킨 gene을 vector에 ligation 하여 마지막에는 이것을 competent cell에 transformation하여 clone을 만든다.3. Introduction- primer design① DNA 의 변성(denaturation) :- 한쌍의 primer(증폭할 부분을 잡는 짧은 염기서열), dNTP(유전자를 합성하는 재료가 되는 각 뉴클레오티드 염기)...2009.08.21· 9페이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