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국의 사회복지발달사에 관하여 설명하시오
본 내용은
"
미국의 사회복지발달사에 관하여 설명하시오
"
의 원문 자료에서 일부 인용된 것입니다.
2023.03.12
문서 내 토픽
  • 1. 초기 빈민구제 제도
    미국은 식민지시대의 사회복지 제도는 영국의 구빈행정을 계승하여 구빈원을 세우고 구빈활동을 전개하였다. 그 대상으로는 노동능력이 없는 빈민을 중심으로 하였으나 흑인은 제외시켰으며, 서비스수준은 열등처우의 성격을 띠고 있었다. 초기 미국인들은 근면과 절약을 생활양식으로 생각하여 나태와 무지로 인한 무능력자와 부랑자들을 멸시하였다. 미국인은 자유방임주의의 이념 하에 빈곤은 개인의 책임이라고 생각하였다.
  • 2. 민간사회사업과 조직화와 과학화
    19세기 말경 공공부문 또는 민간부문의 사회복지시설 및 기관이 증가함에 따른 전문사회사업가가 급속하게 증가하게 되고, 전문교육기관도 등장하기 시작하였다. 20세기 전후로 뉴욕의 자선조직협회의 사회사업훈련 프로그램이 개최되었고, 1903년에 시카고에 시민박애학교(현재 시카고 대학교), 1904년에 뉴욕 박애학교(현재 콜럼비아 대학교)가 설립되었다.
  • 3. 경제대공황과 사회보장법
    1929년 뉴욕증권거래소에서 시작된 세계적인 대공황으로 인해 실업자가 286만 명에서 500만 명에 이르고, 수많은 공장과 기업들이 문을 닫게 되고, 은행들도 도산하게 되었다. 이에 따라 1932년 제32대 대통령에 취임한 루즈벨트 대통령 때 실업자는 1,500만 명에 이르러 구제, 부흥 및 개혁을 골자로 하는 뉴딜(New Deal)정책을 선포하기에 이른다. 그 결과 국민생활안정을 위한 '사회보장법'(Social Security Act, 1935)이 제정되었다.
  • 4. 신보수주의와 복지축소정책
    1970년대 후반부터 경제 불황, 높은 실업률, 사회보장비의 확대에 의한 연방정부의 재정적자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개혁조치의 필요성을 갖게 되었다. 1980년대 레이건과 부시 정부는 인방정부 지원의 사회복지제도는 수급자들을 생산적으로 만들기보다는 정부에 의존적으로 만든다는 의식을 가지고 있었다. 이에 따라 빈곤층이 증가하고, 빈부의 격차가 심화되었으며, 실직한 노숙자가 급증하고, 가족해체에 따른 편부모가족이 증가하는 새로운 사회문제가 발생되는 심각한 상황을 초래하게 되었다.
Easy AI와 토픽 톺아보기
  • 1. 초기 빈민구제 제도
    초기 빈민구제 제도는 근대 사회복지의 기초를 마련한 중요한 발전이었습니다. 당시 사회적 약자들에 대한 구제와 지원이 필요했지만, 이는 주로 자선적 성격이 강했고 체계적이지 못했습니다. 하지만 이러한 초기 제도들은 이후 발전을 위한 토대가 되었다고 볼 수 있습니다. 특히 빈민구제 활동이 점차 민간에서 정부 차원으로 확대되어 가는 과정은 주목할 만합니다. 이를 통해 사회복지가 점차 공공의 책임으로 인식되기 시작했다고 할 수 있습니다.
  • 2. 민간사회사업과 조직화와 과학화
    민간사회사업의 조직화와 과학화는 사회복지 발전에 있어 중요한 전환점이었습니다. 과거 자선적이고 임시적이었던 빈민구제 활동이 체계화되고 전문화되면서, 사회복지가 보다 체계적이고 효과적으로 이루어질 수 있게 되었습니다. 특히 사회사업의 조직화를 통해 서비스 전달체계가 구축되었고, 과학화를 통해 사회복지 실천의 전문성이 향상되었습니다. 이는 사회복지가 단순한 시혜가 아닌 권리로 인식되는 데 기여했다고 볼 수 있습니다. 이러한 발전은 현대 사회복지 체계의 기반이 되었다고 평가할 수 있습니다.
  • 3. 경제대공황과 사회보장법
    경제대공황은 사회복지 발전에 있어 중요한 계기가 되었습니다. 대공황으로 인한 대량 실업과 빈곤 문제가 심각해지면서, 정부의 적극적인 개입과 사회보장제도 마련의 필요성이 대두되었습니다. 이에 따라 뉴딜정책의 일환으로 사회보장법이 제정되었고, 실업보험, 노령연금 등 다양한 사회보장제도가 도입되었습니다. 이는 사회복지가 단순한 자선이 아닌 국가의 책임이자 국민의 권리로 인식되는 계기가 되었습니다. 경제대공황은 사회복지 발전에 있어 중요한 전환점이 되었다고 평가할 수 있습니다.
  • 4. 신보수주의와 복지축소정책
    신보수주의와 복지축소정책은 사회복지 발전에 있어 중요한 도전과제였습니다. 1970년대 이후 등장한 신보수주의는 복지국가의 팽창을 비판하며 복지 축소를 주장했습니다. 이에 따라 많은 국가에서 복지 예산 삭감, 사회보장제도 축소 등의 정책이 시행되었습니다. 이는 사회복지가 국가의 책임이라는 인식을 약화시키고, 개인의 자립과 시장 중심의 접근을 강조하는 결과를 초래했습니다. 하지만 이러한 정책은 사회적 약자에 대한 보호를 약화시켜 형평성과 사회통합을 저해할 수 있다는 비판을 받았습니다. 따라서 신보수주의와 복지축소정책은 사회복지 발전에 있어 중요한 도전과제로 평가할 수 있습니다.
주제 연관 토픽을 확인해 보세요!
주제 연관 리포트도 확인해 보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