심방중격결손(ASD) 케이스스터디 간호과정
본 내용은
"
아동간호학실습 A+) ASD(심방중격결손) 케이스스터디 간호과정 3개
"
의 원문 자료에서 일부 인용된 것입니다.
2023.03.11
문서 내 토픽
  • 1. 심방중격결손(ASD)
    심방중격결손(atrial septal defect, ASD)은 우심방과 좌심방 사이의 중간 벽(심방중격)에 한 개 혹은 여러 개의 구멍이 있는 비교적 흔한 선천성 심장 질환 중의 하나입니다. 구멍의 크기가 작거나 중간 크기일 때는 증상이 나타나지 않기 때문에 아동이 성장한 이후 발견될 수 있습니다. 아동은 놀 때 쉽게 지치고, 땀을 많이 흘리며, 호흡곤란, 잦은 호흡기 감염이 동반될 수 있습니다. 치료는 구멍이 작고 증상이 없을 경우 치료가 필요하지 않을 수 있지만, 구멍이 커지거나 우심실이 비대해지는 등 증상이 나빠지면 결손을 닫기 위한 수술이 필요합니다. 수술 외에도 심도자법을 통해 카테터를 넣어 구멍을 막는 기구를 삽입할 수 있습니다.
Easy AI와 토픽 톺아보기
  • 1. 심방중격결손(ASD)
    심방중격결손(ASD)은 심장 내 중격에 구멍이 생기는 선천성 심장 질환입니다. 이로 인해 혈액이 심방 사이로 흐르게 되어 심장 기능에 문제가 발생할 수 있습니다. 이 질환은 증상이 없거나 경미한 경우가 많아 발견되지 않고 지나치는 경우가 많습니다. 하지만 심각한 경우 호흡곤란, 피로감, 심부전 등의 증상이 나타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정기적인 검진을 통해 조기에 발견하고 적절한 치료를 받는 것이 중요합니다. 약물 치료나 수술적 치료 등 다양한 방법으로 치료할 수 있으며, 치료 시기와 방법은 환자의 상태에 따라 달라집니다. 심방중격결손은 완치가 가능한 질환이므로 전문의와 상담하여 적절한 치료를 받는 것이 중요합니다.
주제 연관 리포트도 확인해 보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