피부와 유방 용어 정리
본 내용은
"
간호용어 피부와 유방 용어 정리
"
의 원문 자료에서 일부 인용된 것입니다.
2024.02.19
문서 내 토픽
  • 1. 피부
    피부는 신체의 외면을 덮는 조직으로 자극을 전달하는 신경, 체온조절을 돕는 혈관 등이 복잡한 구조로 되어 있다. 몸 전체를 둘러싸고 있어 수분과 전해질 손실을 막고, 통각, 온도감각, 압각, 촉각 등을 감지하는 역할을 하며 표피, 진피, 피부밑 조직의 3층으로 나눌 수 있다. 부속기관으로는 모발, 기름, 땀샘, 손발톱 등이 있다.
  • 2. 피부 해부생리학적 용어
    표피는 각질층, 투명층, 과립층, 가시층, 지저층으로 구성되며, 진피는 콜라겐 섬유와 탄력섬유로 구성되고 혈관, 모낭, 신경, 한선 등이 존재한다. 피부밑조직에는 지방조직이 많으며 열의 격리, 충격 흡수, 영양 저장 등의 기능이 있다.
  • 3. 피부 증상용어
    탈모, 땀없음증, 땀과다증, 기미, 반흔, 멍, 출혈점, 자반, 홍반, 각화증, 비늘, 반점, 발진, 구진, 고름물집, 잔물집 등의 증상용어가 있다.
  • 4. 피부 진단용어
    여드름, 티눈, 굳은살, 백색증, 백색피부증, 화상, 욕창, 피부염, 습진, 건선, 두드러기, 단순포진, 대상포진, 농가진, 루푸스, 한센병, 백선, 켈로이드, 풍진, 홍역, 두창, 수두, 사마귀, 악성 흑색종 등의 진단용어가 있다.
  • 5. 피부 검사 및 치료용어
    박피술, 죽은조직제거술, 피부이식술, 결핵 만투 검사, 첩포검사 등의 검사 및 치료용어가 있다.
  • 6. 유방
    유방의 해부생리학적 용어로는 젖꽃판, 젖샘, 젖꼭지, 젖샘관 등이 있다. 유방 증상용어로는 유방통, 유방출혈, 여성형유방증이 있고, 진단용어로는 유방없음증, 유두균열, 유방고름집, 유방암이 있다. 검사 및 치료용어로는 유방촬영술, 유방성형술, 유방절제술 등이 있다.
Easy AI와 토픽 톺아보기
  • 1. 피부
    피부는 우리 몸을 보호하고 감싸는 가장 큰 기관입니다. 피부는 외부 환경으로부터 우리 몸을 보호하고, 체온 조절, 감각 기능, 면역 기능 등 다양한 역할을 합니다. 피부는 표피, 진피, 피하조직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각 층마다 고유한 기능을 수행합니다. 피부는 우리 몸의 건강과 미용에 매우 중요한 역할을 하므로, 피부 관리와 건강을 위해서는 피부의 구조와 기능에 대한 이해가 필요합니다. 또한 피부 질환의 예방과 치료를 위해서도 피부에 대한 이해가 필수적입니다.
  • 2. 피부 해부생리학적 용어
    피부 해부생리학적 용어는 피부의 구조와 기능을 이해하는 데 매우 중요합니다. 표피, 진피, 피하조직 등 피부의 각 층에 대한 이해와 각 층의 세포와 조직에 대한 지식은 피부 질환의 진단과 치료에 필수적입니다. 또한 각질화, 멜라닌 생성, 피지 분비 등 피부의 다양한 생리적 기능에 대한 이해도 중요합니다. 이러한 피부 해부생리학적 용어를 숙지하면 피부 건강 관리와 피부 질환 치료에 큰 도움이 될 것입니다.
  • 3. 피부 증상용어
    피부 증상용어는 피부 질환의 진단과 치료에 매우 중요합니다. 홍반, 구진, 반점, 수포 등 다양한 피부 병변의 형태와 특징을 정확히 파악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또한 가려움, 통증, 건조 등 피부 증상에 대한 이해도 필요합니다. 이러한 피부 증상용어를 숙지하면 피부 질환의 원인을 파악하고 적절한 치료 방법을 선택할 수 있습니다. 피부 증상용어에 대한 이해는 피부 건강 관리와 피부 질환 치료에 필수적입니다.
  • 4. 피부 진단용어
    피부 진단용어는 피부 질환의 정확한 진단을 위해 매우 중요합니다. 병력 청취, 피부 검사, 피부 생검 등 다양한 진단 방법을 통해 피부 질환의 원인과 특성을 파악할 수 있습니다. 이를 위해서는 홍반, 구진, 반점 등 피부 병변의 특징과 함께 피부 조직 검사, 피부 배양 검사, 알레르기 검사 등 다양한 진단 용어에 대한 이해가 필요합니다.
주제 연관 리포트도 확인해 보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