하나투어의 재무제표 분석
본 내용은
"
분석대상기업을 개별적으로 선정한 후, 분석대상 기업의 재무제표를 수집·활용하여 학습교재
"
의 원문 자료에서 일부 인용된 것입니다.
2024.02.19
문서 내 토픽
  • 1. 유동성 비율
    하나투어의 2021년 유동비율과 당좌비율을 분석한 결과, 2020년에 비해 단기적 지급능력이 향상된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유동비율은 106%로 전년 대비 증가했고, 당좌비율도 120%로 상승했습니다. 이는 기업의 단기적 채무 대응 능력이 개선되었음을 보여줍니다.
  • 2. 자본 구조 비율
    하나투어의 부채비율과 부채-자기자본비율을 분석한 결과, 2020년에 비해 2021년에 기업의 재무구조가 개선된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부채비율은 43%로 전년 대비 감소했고, 부채-자기자본비율도 78%로 낮아졌습니다. 이는 기업의 총자산에서 차지하는 부채 비중이 줄어들고 자기자본 비중이 높아졌음을 의미합니다.
  • 3. 효율성 비율
    하나투어의 총자산회전율을 분석한 결과, 2020년과 2021년 모두 순손실을 기록했지만 2021년에는 2020년에 비해 경영 효율성이 다소 개선된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총자산회전율이 -18%로 전년 -28%에 비해 개선되었습니다.
  • 4. 수익성 비율
    하나투어의 총자산이익률(ROA)을 분석한 결과, 2021년과 2020년 모두 순손실을 기록했으나 2020년에 비해 2021년의 수익성이 더 악화된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ROA가 -45%로 전년 -21%에 비해 크게 하락했습니다.
  • 5. 성장성 비율
    하나투어의 총자산증가율과 자기자본증가율을 분석한 결과, 2020년과 2021년 모두 전년 대비 감소하며 역성장을 경험한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총자산증가율은 -38%, 자기자본증가율은 -24%로 기업의 성장성이 악화되었습니다.
Easy AI와 토픽 톺아보기
  • 1. 유동성 비율
    유동성 비율은 기업의 단기 지급 능력을 나타내는 지표로, 기업이 단기 채무를 상환할 수 있는 능력을 평가하는 데 사용됩니다. 이 비율은 기업의 재무 건전성을 판단하는 데 중요한 역할을 합니다. 유동성 비율이 높을수록 기업이 단기 채무를 상환할 수 있는 능력이 높다고 볼 수 있습니다. 하지만 지나치게 높은 유동성 비율은 자금 운용의 비효율성을 나타낼 수 있으므로, 적정 수준의 유동성 비율을 유지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기업은 유동성 비율을 지속적으로 모니터링하고, 필요에 따라 유동성을 조절하여 재무 건전성을 유지해야 합니다.
  • 2. 자본 구조 비율
    자본 구조 비율은 기업의 자본 조달 방식을 나타내는 지표로, 부채와 자기자본의 비율을 의미합니다. 이 비율은 기업의 재무 위험을 평가하는 데 사용됩니다. 일반적으로 부채 비율이 높을수록 재무 위험이 높다고 볼 수 있습니다. 하지만 적절한 수준의 부채 활용은 기업의 성장과 수익성 향상에 도움이 될 수 있습니다. 따라서 기업은 자본 구조 비율을 적정 수준으로 유지하여 재무 건전성과 수익성을 균형있게 관리해야 합니다. 이를 위해 기업은 자본 조달 방식을 지속적으로 모니터링하고, 필요에 따라 조정해야 합니다.
  • 3. 효율성 비율
    효율성 비율은 기업의 자산 및 자본 활용 능력을 나타내는 지표로, 기업의 운영 효율성을 평가하는 데 사용됩니다. 대표적인 효율성 비율로는 총자산회전율, 자기자본회전율, 재고자산회전율 등이 있습니다. 이러한 비율이 높을수록 기업이 자산과 자본을 효율적으로 활용하고 있다고 볼 수 있습니다. 효율성 비율은 기업의 생산성과 수익성에 직접적인 영향을 미치므로, 기업은 이를 지속적으로 모니터링하고 개선해야 합니다. 특히 기업의 핵심 역량과 관련된 자산 및 자본 활용 효율성을 높이는 것이 중요합니다.
  • 4. 수익성 비율
    수익성 비율은 기업의 수익 창출 능력을 나타내는 지표로, 기업의 경영 성과를 평가하는 데 사용됩니다
주제 연관 리포트도 확인해 보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