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간호학과 시험문제 답안]약리학1.1-총론, 중추신경계, 심혈관계
본 내용은
"
[간호학과 시험문제 답안]약리학1.1-총론, 중추신경계, 심혈관계
"
의 원문 자료에서 일부 인용된 것입니다.
2023.03.04
문서 내 토픽
-
1. 약리학 총론약물 작용이 치료하는 사람이나 치료를 받는 사람의 목적에 맞는 작용을 나타낼 때의 주 작용을 치료작용이라 한다. 최소 유효량과 최대 유효량 사이를 의미하며, 약 용량, 유효량, 상용량 이라고 하며,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용량은 치료량이다. 약물이 친화성을 가지고 결합하는 생체내의 특수 부위를 수용체라 하며, 수용체와 상호작용을 하여 어떤 반응을 나타내는 약물은 효능제, 자극제이라 하고, 수용체와 결합하여 어떤 약물의 작용을 나타내지 못하도록 하는 약물은 길항제, 차단제라고 한다. 투여된 약물이 신체에서 50%가 배설되는데 걸리는 시간을 반감기라 한다. 약동학(Pharmacokinetic Phase)은 약물 투여 후 체내에서 거치게 되는 전 과정으로 흡수, 분포, 대사, 배설이 포함된다.
-
2. 중추신경계 약물치료지수가 낮을수록 안전한 약물이 아니며, 저알부민혈증이면 혈장단백 결합율이 낮아져 약물 독성 위험성이 증가한다. Tetracycline은 뼈에 축적되어 영구치 갈색변화를 일으킨다. 모든 약물들이 BBB(Blood Brain Barrier)를 통과하는 것은 아니며, 상가작용(additive effect)은 함께 투여된 두 약물의 효과가 각 약물의 단독 투여에 의한 각 약물의 효과를 합한 것 보다 더 큰 경우이다.
-
3. 심혈관계 약물First pass effect(1차 통과 효과)는 흡수된 약물이 간을 통과한 후 전신 순환하는데 이 과정에서 약물이 문맥에서 간 통과 시 전신 순환혈액에 도달하기 전에 대사를 받는 것이다. 의사가 diazepam 15mg을 처방했고 약물의 용량 농도는 5mg/mL이므로 3mL를 투여해야 한다. 의사가 atropine 0.8mg을 처방하였고 약물표지에 1mL당 400mcg라고 적혀있으므로 2mL를 투여해야 한다.
-
4. Digoxin 독성78세 김씨는 심부전 치료를 위해 최근 digoxin을 투여하고 있다. 의사가 의무기록에 digoxin toxicity를 monitor 하라는 order를 냈다. 혈청 digoxin level이 2.3ng/mL로 측정되었으므로 독성이 예측되며, 심장, 위장관계, 신경계, 시각적 장애 등의 digitalis 중독 증상이 나타날 수 있다. 또한 환자의 potassium level이 3.0mEq/L로 저칼륨혈증이 확인되어 digitalis 독성이 증가할 것으로 예측된다.
-
5. 이뇨제고리이뇨제(loop diuretics) 또는 thiazide 계 이뇨제를 투여 받는 환자에서 가장 흔하게 발생할 수 있는 전해질 불균형은 저칼륨혈증이다.
-
6. ACE 억제제ACE 억제제의 대표적인 부작용은 bradykinin의 파괴를 막아서 bradykinin의 농도 증가로 인한 마른 기침이다.
-
7. NitrateNitroglycerine의 대표적인 부작용은 혈관 확장으로 인한 저혈압, 현기증, 실신, 혈액흐름 증가로 인한 두통, 반사성 빈맥 등이다.
-
8. ACE 억제제ACE 억제제는 강력한 혈관수축작용을 하는 angiotensin II의 생성을 막고, bradykinin의 파괴를 막아서 bradykinin의 농도 증가시켜 작용한다. 주요 적응증은 고혈압, 심부전 보조 치료이다.
-
9. 칼슘 통로 차단제칼슘 통로 차단제인 amlodipine은 심장에서 심근 수축력 감소, 동방결절과 방실결절의 전도속도 감소로 심박동수 감소, 혈관에서 말초동맥과 세동맥 확장으로 심근 부하 감소, 관상동맥 확장으로 관상동맥 혈류량 증가 등의 작용을 한다. 주요 적응증은 협심증이다.
-
10. 질산염제제질산염제제인 nitroglycerine은 혈관에서 nitric oxide 생성을 촉진하여 정맥의 긴장도를 낮추고 관상동맥을 확장시켜 작용한다. 주요 적응증은 협심증이다.
-
11. HMG-CoA 환원효소 억제제HMG-CoA 환원효소 억제제인 atorvastatin은 간에서 콜레스테롤 합성 경로의 HMG-CoA 효소를 억제하여 콜레스테롤, LDL, 혈청 내 triglyceride 수치를 낮추는 작용을 한다. 주요 적응증은 고지혈증이다.
-
1. 약리학 총론약리학 총론은 약물의 작용 기전, 약물 동력학, 약물 동태학, 약물 상호작용 등 약물 전반에 대한 기본적인 이해를 제공합니다. 이를 통해 약물의 효과와 부작용을 예측하고 적절한 약물 사용을 할 수 있습니다. 약리학 총론은 의약품 개발, 처방, 투여 등 약물 관련 모든 분야에서 필수적인 지식이라고 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약리학 총론에 대한 깊이 있는 이해와 학습이 중요합니다.
-
2. 중추신경계 약물중추신경계 약물은 뇌와 척수에 작용하여 신경계 기능을 조절하는 약물입니다. 이 약물군에는 진통제, 마취제, 항경련제, 항우울제, 항불안제 등이 포함됩니다. 이러한 약물들은 중추신경계에 작용하여 통증 감소, 의식 수준 조절, 경련 억제, 기분 조절 등의 효과를 나타냅니다. 하지만 중추신경계에 직접적으로 작용하기 때문에 부작용 발생 위험이 높아 주의 깊은 투여와 모니터링이 필요합니다. 따라서 중추신경계 약물의 작용 기전, 적응증, 부작용 등에 대한 이해가 매우 중요합니다.
-
3. 심혈관계 약물심혈관계 약물은 심장과 혈관에 작용하여 혈압, 심박출량, 혈관 저항 등을 조절하는 약물입니다. 이 약물군에는 항고혈압제, 항부정맥제, 항협심증제, 항심부전제 등이 포함됩니다. 이러한 약물들은 심혈관계 질환 예방 및 치료에 매우 중요한 역할을 합니다. 하지만 심혈관계는 복잡한 기능을 가지고 있어 약물 투여 시 주의가 필요합니다. 따라서 심혈관계 약물의 작용 기전, 적응증, 부작용, 상호작용 등에 대한 깊이 있는 이해가 필요합니다.
-
4. Digoxin 독성Digoxin은 심부전 치료에 사용되는 심장 glycoside 계열 약물입니다. Digoxin은 심근 수축력을 증가시켜 심박출량을 높이는 효과가 있지만, 치료 범위가 좁아 독성 발생 위험이 높습니다. Digoxin 독성은 구토, 설사, 심부정맥, 저칼륨혈증 등의 증상을 유발할 수 있으며, 심각한 경우 사망에 이를 수 있습니다. 따라서 Digoxin 투여 시 혈중 농도 모니터링, 전해질 균형 유지, 상호작용 약물 확인 등 주의 깊은 관리가 필요합니다. Digoxin 독성에 대한 이해와 예방 대책 마련이 중요합니다.
-
5. 이뇨제이뇨제는 신장에 작용하여 소변량을 증가시키는 약물입니다. 이뇨제는 부종, 고혈압, 심부전 등의 치료에 사용됩니다. 이뇨제에는 loop 이뇨제, 티아지드계 이뇨제, 칼륨 보존 이뇨제 등 다양한 종류가 있으며, 각각의 작용 기전과 특성이 다릅니다. 이뇨제 사용 시 전해질 불균형, 탈수, 저혈압 등의 부작용이 발생할 수 있어 주의가 필요합니다. 따라서 이뇨제의 종류, 작용 기전, 적응증, 부작용 등에 대한 이해가 중요하며, 환자 상태에 따른 적절한 이뇨제 선택과 모니터링이 필요합니다.
-
6. ACE 억제제ACE(Angiotensin Converting Enzyme) 억제제는 레닌-안지오텐신-알도스테론 시스템을 억제하여 혈압을 낮추는 약물입니다. ACE 억제제는 고혈압, 심부전, 신장 질환 등의 치료에 사용됩니다. ACE 억제제는 일반적으로 내약성이 좋지만, 기침, 저혈압, 고칼륨혈증 등의 부작용이 발생할 수 있습니다. 또한 임신부, 신장 기능 저하 환자 등에서는 주의가 필요합니다. 따라서 ACE 억제제의 작용 기전, 적응증, 부작용, 금기 사항 등에 대한 이해가 중요하며, 환자 상태에 따른 적절한 약물 선택과 모니터링이 필요합니다.
-
7. NitrateNitrate는 혈관을 확장시켜 혈압을 낮추고 심근 산소 요구량을 감소시키는 약물입니다. Nitrate는 협심증, 심부전 등의 치료에 사용됩니다. Nitrate에는 단시간 작용 Nitrate와 장시간 작용 Nitrate가 있으며, 각각의 특성에 따라 적절히 사용되어야 합니다. Nitrate 사용 시 두통, 어지러움, 저혈압 등의 부작용이 발생할 수 있으며, 내성 발생 가능성도 있습니다. 따라서 Nitrate의 작용 기전, 적응증, 부작용, 내성 등에 대한 이해가 필요하며, 환자 상태에 따른 적절한 Nitrate 선택과 투여 방법이 중요합니다.
-
8. ACE 억제제ACE(Angiotensin Converting Enzyme) 억제제는 레닌-안지오텐신-알도스테론 시스템을 억제하여 혈압을 낮추는 약물입니다. ACE 억제제는 고혈압, 심부전, 신장 질환 등의 치료에 사용됩니다. ACE 억제제는 일반적으로 내약성이 좋지만, 기침, 저혈압, 고칼륨혈증 등의 부작용이 발생할 수 있습니다. 또한 임신부, 신장 기능 저하 환자 등에서는 주의가 필요합니다. 따라서 ACE 억제제의 작용 기전, 적응증, 부작용, 금기 사항 등에 대한 이해가 중요하며, 환자 상태에 따른 적절한 약물 선택과 모니터링이 필요합니다.
-
9. 칼슘 통로 차단제칼슘 통로 차단제는 혈관 평활근 세포의 칼슘 유입을 억제하여 혈관을 확장시키고 혈압을 낮추는 약물입니다. 칼슘 통로 차단제는 고혈압, 협심증, 심근경색 등의 치료에 사용됩니다. 칼슘 통로 차단제에는 dihydropyridine, phenylalkylamine, benzothiazepine 계열 등 다양한 종류가 있으며, 각각의 특성이 다릅니다. 칼슘 통로 차단제 사용 시 부작용으로 두통, 부종, 변비 등이 발생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칼슘 통로 차단제의 작용 기전, 종류, 적응증, 부작용 등에 대한 이해가 필요하며, 환자 상태에 따른 적절한 약물 선택과 모니터링이 중요합니다.
-
10. 질산염제제질산염제제는 혈관을 확장시켜 혈압을 낮추고 심근 산소 요구량을 감소시키는 약물입니다. 질산염제제는 협심증, 심부전 등의 치료에 사용됩니다. 질산염제제에는 단시간 작용 질산염과 장시간 작용 질산염이 있으며, 각각의 특성에 따라 적절히 사용되어야 합니다. 질산염제제 사용 시 두통, 어지러움, 저혈압 등의 부작용이 발생할 수 있으며, 내성 발생 가능성도 있습니다. 따라서 질산염제제의 작용 기전, 적응증, 부작용, 내성 등에 대한 이해가 필요하며, 환자 상태에 따른 적절한 질산염제제 선택과 투여 방법이 중요합니다.
-
11. HMG-CoA 환원효소 억제제HMG-CoA 환원효소 억제제(스타틴)은 콜레스테롤 생합성 과정의 핵심 효소인 HMG-CoA 환원효소를 억제하여 혈중 콜레스테롤 농도를 낮추는 약물입니다. 스타틴은 심혈관 질환 예방 및 치료에 매우 중요한 약물로, 고지혈증, 관상동맥 질환, 뇌졸중 등의 치료에 사용됩니다. 스타틴은 일반적으로 내약성이 좋지만, 근육병증, 간 독성, 당뇨병 등의 부작용이 발생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스타틴의 작용 기전, 적응증, 부작용, 약물 상호작용 등에 대한 이해가 필요하며, 환자 상태에 따른 적절한 스타틴 선택과 모니터링이 중요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