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19년도 우리나라와 무역 교역량이 많은 나라 5개국 조사하기
본 내용은
"
2019년도 우리나라와 무역 교역량이 많은 나라 5개국 조사하기
"
의 원문 자료에서 일부 인용된 것입니다.
2023.02.28
문서 내 토픽
  • 1. 중국
    2019년도 중국의 화물 수출입 총액이 315,505억 위안으로 전년대비 3.4% 증가했는데 수출 규모는 172,342억 위안으로 5% 증가했고 수입 규모는 143,62억 위안으로 1.6% 증가했다. 무역수지는 2천8백9십7만3천불이다. 수출 방식이 경우 일반무역이 가공무역보다 높고 전자기기 수출이 전년대비 4.4% 증가한 100,631억 위안이다. 2019년 중국의 주요 수출 품목은 데이터 자동화 처리 설비, 의류, 스마트폰 및 관련기기, 방직류 순서이며 주요 수입 품목으로 집적회로와 원유, 철광석, 플라스틱, 자동차 순이다.
  • 2. 미국
    2019년은 한-미 FTA 발효 8년 차로 양국 간 교역은 1,352억 달러로 전년 대비 2.7% 증가했고 2019년 대세계 수출은 감소했지만 대미 수출은 733억 달러로 전년도와 유사한 수준이다. 2019년 대미 수입은 619억 달러로 전년대비 5.1% 증가했다. FTA 혜택품목의 수출은 6.3% 올랐고 FTA 혜택품목 대미 수입액 비중도 3.8%p으로 증가했다.
  • 3. 베트남
    2019년 대베트남 수출이 2,641.9억 달러, 수입은 2,530.7달러, 무역수지는 11억 달러 흑자를 기록하며 수출은 전년대비 8.4% 증가했고 수입은 전년대비 6.8% 증가했다. 수출로는 컴퓨터·전자제품 및 부품, 섬유·의류, 휴대폰 및 부품 등이 증가했고 수입은 컴퓨터·전자제품 및 부품, 기계 공구 및 부품 등이 증가했다.
  • 4. 홍콩
    한국의 홍콩 수출입 동향은 미중 무역전쟁과 홍콩시위 등으로 인해 2019년 대홍콩 무역액이 336.9억불로 전년대비 29.8% 감소했다. 수출의 경우 319.1억불로 전년과 비교해 30.6% 감소했고 수입은 17.8억불로 전년과 대비했을 때 11.1% 줄어들었다. 수출 주요 품목별로 전자기기류, 기계, 화장품류 등이 큰 폭의 감소세를 보였다.
  • 5. 일본
    2019년도 일본의 수출은 5.6% 감소한 76조9천278억엔, 수입은 5.0% 줄어든 78조5천716억엔으로, 수출 감소율이 수입 감소율을 0.6%포인트 웃돌았다. 일본의 대한국 수출이 전년보다 12.9% 감소한 5조441억엔, 수입은 9.1% 줄어든 3조2천287억엔을 기록했다. 특히 한국 소비자들의 일본산 맥주 외면, 일본 자동차 구매 기피 등으로 대한국 수출이 감소했다.
Easy AI와 토픽 톺아보기
  • 1. 중국
    중국은 세계 2위 경제 대국으로 부상했지만, 정치적 억압, 인권 침해, 환경 파괴 등의 문제를 안고 있습니다. 중국 정부는 강력한 권력을 바탕으로 국내외 정책을 주도하고 있지만, 이로 인해 많은 국가들과 갈등을 겪고 있습니다. 중국의 부상은 세계 질서에 큰 영향을 미치고 있으며, 앞으로 중국이 어떤 방향으로 나아갈지 주목해볼 필요가 있습니다.
  • 2. 미국
    미국은 세계 최강의 경제 및 군사 대국이지만, 최근 정치적 양극화, 인종차별, 총기 폭력 등의 문제에 직면해 있습니다. 트럼프 전 대통령 시기 동안 미국의 국제적 리더십이 약화되었고, 바이든 행정부 하에서도 여전히 국내외 문제들을 해결하는 데 어려움을 겪고 있습니다. 미국이 다시 국제 사회에서 신뢰받는 리더로 자리매김하기 위해서는 내부적인 문제들을 해결하고 동맹국들과의 협력을 강화해야 할 것입니다.
  • 3. 베트남
    베트남은 경제 성장과 더불어 정치적 안정을 유지하며 동남아시아에서 중요한 역할을 하고 있습니다. 하지만 여전히 인권 문제, 언론 자유 제한 등의 과제를 안고 있습니다. 베트남은 중국과 미국 사이에서 균형을 잡으며 자국의 이익을 극대화하려 노력하고 있습니다. 앞으로 베트남이 어떤 방향으로 나아갈지, 그리고 이웃 국가들과의 관계 설정이 어떻게 변화할지 주목해볼 필요가 있습니다.
  • 4. 홍콩
    홍콩은 중국의 특별행정구로서 '일국양제' 원칙에 따라 높은 자치권을 누려왔지만, 최근 중국 정부의 강력한 통제로 인해 홍콩의 자유와 민주주의가 위협받고 있습니다. 홍콩 시민들의 민주화 운동이 지속되고 있지만, 중국 정부의 강압적인 대응으로 인해 홍콩의 미래가 불확실한 상황입니다. 홍콩 문제는 중국과 서방 국가들 간의 갈등을 야기하고 있으며, 앞으로 홍콩의 정치적 지위와 시민의 자유가 어떻게 변화할지 주목해볼 필요가 있습니다.
  • 5. 일본
    일본은 경제적으로 선진국 반열에 올라섰지만, 인구 감소, 경기 침체, 자연재해 등의 문제에 직면해 있습니다. 또한 역사적 갈등으로 인해 주변국들과의 관계 개선에 어려움을 겪고 있습니다. 아베 전 총리 시절 일본의 우경화 경향이 두드러졌지만, 현 정부 하에서는 보다 균형 잡힌 외교 정책을 펼치고 있습니다. 일본이 어떤 방향으로 나아갈지, 그리고 주변국과의 관계 개선 노력이 어떤 성과를 거둘지 주목해볼 필요가 있습니다.
주제 연관 토픽을 확인해 보세요!
주제 연관 리포트도 확인해 보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