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배액관 drainage 학습과제
본 내용은
"
배액관_drainage 학습과제
"
의 원문 자료에서 일부 인용된 것입니다.
2023.02.27
문서 내 토픽
-
1. 배액관의 목적배액관의 목적은 예방, 치료, 감압 등이 있다. 예방 목적으로는 수술 후 혈종이나 장액종 형성 예방, 오염된 수술이나 장문합 부위 누출 가능성 확인, 수술/시술 후 분비물 양상 관찰 등이 있다. 치료 목적으로는 세균 배출, 이물질/괴사조직 제거를 통한 염증 자극 제거가 있다. 감압 목적으로는 외상 환자의 수술 후 사용, 대표적으로 Chest tube drain이 있다.
-
2. 배액관의 종류배액관에는 Open drainage, Closed suction drain, Chest tube drain 등이 있다. Open drainage는 대기와 복강 내가 교통하는 상태로, Penrose drain과 Sump drain이 있다. Closed suction drain은 음압을 이용하여 상처/수술부위에 suction을 생성하여 불필요한 체액을 제거하는 Jackson-Pratt drain과 Hemovac이 있다. Chest tube drain은 흉부 질환(혈흉, 기흉, 농흉, 수흉 등)이 있는 경우 늑막강내 삼출물을 제거하여 폐 재팽창과 체강 내 음압 유지를 목적으로 한다.
-
3. 배액관 삽입 대상자 간호배액관 삽입 대상자 간호 시 주의사항은 다음과 같다. 배액관 관리 시 장갑을 끼거나 손을 깨끗이 한 후 접근한다. 배액관의 기능이 유지되고 있는지, 배액관 주변피부의 감염 및 염증여부, 배액량과 특성을 확인한다. Open drain은 삼출물이 많이 발생하므로 건조한 상태를 유지하고, 배액관이 탈락되지 않도록 잘 고정한다. Closed suction drain은 음압이 유지되는 것이 중요하며, 주머니가 팽창하지 않도록 분비물을 제거해준다. Chest tube drain은 활력징후 측정, 호흡곤란/청색증 유무 관찰, 필요 시 산소나 진통제 제공, Chest bottle을 항상 환자보다 낮은 위치에 두는 등의 관리가 필요하다.
-
4. 배액관 합병증배액관 사용 시 발생할 수 있는 합병증에는 주위 장기 손상, 배액관을 매개로 한 복강 내 감염, 배액절개부위 손상으로 인한 출혈이나 배액관을 통한 출혈, 배액절개부위를 통한 탈장 및 유착, 이에 따른 장폐색, 배액관의 복강 내 유실 등이 있다.
-
1. 배액관의 목적배액관은 수술 후 또는 상처 부위에 발생한 체액이나 혈액을 배출하여 감염을 예방하고 상처 치유를 돕는 중요한 역할을 합니다. 배액관은 수술 부위나 상처 부위에 축적된 체액이나 혈액을 배출함으로써 부종, 압박, 감염 등의 합병증을 예방하고 상처 치유를 촉진합니다. 또한 배액관은 수술 후 발생할 수 있는 혈종이나 림프액 등의 체액 축적을 방지하여 상처 치유를 돕습니다. 따라서 배액관은 수술 후 또는 상처 관리에 있어 필수적인 의료 기구라고 할 수 있습니다.
-
2. 배액관의 종류배액관에는 다양한 종류가 있습니다. 가장 대표적인 것은 폐쇄성 배액관과 개방성 배액관입니다. 폐쇄성 배액관은 배액된 체액이나 혈액이 배액 용기에 모이도록 하는 방식이며, 개방성 배액관은 배액된 체액이나 혈액이 직접 외부로 배출되는 방식입니다. 또한 재질에 따라 실리콘, 폴리우레탄, 고무 등 다양한 종류의 배액관이 있습니다. 배액관의 종류는 환자의 상태, 수술 부위, 배액 목적 등에 따라 선택됩니다. 따라서 의료진은 환자의 상황을 고려하여 가장 적절한 배액관을 선택해야 합니다.
-
3. 배액관 삽입 대상자 간호배액관 삽입 대상자에 대한 간호는 매우 중요합니다. 우선 배액관 삽입 부위의 청결 유지가 필수적입니다. 삽입 부위를 정기적으로 소독하고 드레싱을 교환하여 감염을 예방해야 합니다. 또한 배액관의 기능을 유지하기 위해 배액량과 배액 상태를 주기적으로 확인해야 합니다. 배액량이 감소하거나 배액 상태가 좋지 않은 경우 의료진에게 보고하여 적절한 조치를 취해야 합니다. 배액관 삽입 대상자는 통증과 불편감을 호소할 수 있으므로, 이에 대한 적절한 중재와 관리도 필요합니다. 마지막으로 배액관 제거 시기와 방법에 대해서도 의료진과 충분히 상의하여 안전하게 제거할 수 있도록 해야 합니다.
-
4. 배액관 합병증배액관 삽입 시 발생할 수 있는 합병증에는 다양한 것들이 있습니다. 가장 대표적인 것은 감염입니다. 배액관 삽입 부위의 감염은 상처 치유 지연, 농양 형성, 전신 감염 등을 유발할 수 있습니다. 또한 배액관 막힘, 배액관 이동 또는 빠짐, 출혈, 피부 자극 등의 합병증도 발생할 수 있습니다. 이러한 합병증을 예방하기 위해서는 철저한 무균 술식, 정기적인 배액관 관리, 환자 교육 등이 필요합니다. 또한 합병증 발생 시 신속한 대처와 적절한 중재가 이루어져야 합니다. 따라서 배액관 삽입 및 관리에 있어서 의료진과 환자의 협력이 매우 중요합니다.
-
GS실습케이스 (prostate cancer) A+자료, 간호진단 3개, 간호과정 3개 5페이지
case studyprostate cancer A+자료입니다.2) 학습과제: 약물요법과 간호※ 실습 병동에서 주로 사용하는 약물에 대하여 아래 양식대로 정리하시오,※ 별지를 이용하여 작성하고, 아래 열거된 약물 이외의 약물은 추가하여 작성하시오.종류약명적응증, 약리작용용법, 용량주의사항 및 간호시 고려사항(부작용, 금기)항콜린성 제제Prozac우울증, 신경성 식욕과항진증 치료20mg PO주의사항 : 임부, 당뇨병 환자부작용 : 불안, 불면, 졸음, 식욕부진, 설사, 저나트륨혈증 등위산분비억제제Gaster위궤양, 십이지장궤양, 소화성...2022.03.13· 5페이지 -
CASE STUDY 뇌경색.hwp 26페이지
Cerebral infarctionⅠ서론-연구의 필요성…1Ⅱ본론-문헌고찰 : cerebral infarction1. 뇌…12. 뇌졸중…21) 병태생리…32) 종류와 원인…33) 뇌졸중의 임상증상…54) 진단검사…85) 치료…96) 두개내압 감시…113. 사례보고서…161) 입원상태 및 병력2) 정신적, 정서적 상태3) 건강과 관련된 정보4) 기동영역4. 진단검사…185. 약물…196. 간호과정…221) 간호진단 12) 간호진단 2Ⅲ 결론…24* 참고문헌…25Ⅰ 서론-연구의 필요성 및 목적뇌졸중이란 뇌혈관 질환에 의해 발생한 신경학적...2017.10.31· 26페이지 -
위암수술케이스 수술과 관련된 문헌고찰 및 수술과정 수술도구조사 및 고찰 23페이지
- 목차 -Ⅰ. 서론1. 연구의 필요성2. 연구대상 및 방법Ⅱ. 본론A. 문헌고찰1. 질병의 정의 및 원인2. 진단검사3. 증상4. 치료 및 간호Ⅲ. 수술과정1. 간호 기록지2. 수술 기구3. 수술 절차4. 약물Ⅳ. 간호사의 역할1. 소독 간호사(Scrub Nurse)의 역할2. 순환 간호사(Circulating Nurse)의 역할Ⅴ. 마취1. 국소 마취와 전신마취2. 수술에 사용된 마취Ⅵ. 결론 및 참고문헌Ⅰ. 서론1. 연구의 필요성위암은 국내 암 발생률 순위에서도 항상 상위권을 차지하고 있는 암이다. 건강보험심사평가원이 발표한 ...2018.06.15· 23페이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