소화기계암환자를 위한 항암요법
본 내용은
"
소화기계암환자를 위한 항암요법
"
의 원문 자료에서 일부 인용된 것입니다.
2023.02.25
문서 내 토픽
  • 1. 위암
    위암 환자를 위한 항암요법에는 수술 후 보조요법(adjuvant)과 고식적 요법(palliative)이 있습니다. 수술 후 보조요법으로는 tegafur+gimeracil+oteracil(TS-1) 또는 capecitabine+oxaliplatin이 사용됩니다. 고식적 요법으로는 paclitaxel, docetaxel, fluorouracil 등 다양한 약물 조합이 사용됩니다. HER2 과발현 전이성 위암의 경우 trastuzumab 병용 요법이 권장됩니다.
  • 2. 식도암
    식도암 치료에는 선행화학요법(neoadjuvant)과 고식적 요법(palliative)이 있습니다. 선행화학요법으로는 capecitabine+cisplatin, paclitaxel+cisplatin 등이 사용되며, 고식적 요법으로는 docetaxel, fluorouracil 등의 약물 조합이 사용됩니다.
  • 3. 간암
    간암 치료에는 고식적 요법(palliative)이 주로 사용됩니다. 1차 요법으로는 sorafenib, lenvatinib, atezolizumab+bevacizumab 등이 사용되며, 2차 요법으로는 regorafenib, cabozantinib, nivolumab 등이 사용됩니다.
  • 4. 담도암
    담도암 치료에는 고식적 요법(palliative)이 주로 사용됩니다. 1차 요법으로는 gemcitabine+cisplatin, fluorouracil+cisplatin, fluorouracil+leucovorin 등이 사용됩니다.
  • 5. 췌장암
    췌장암 치료에는 수술 후 보조요법(adjuvant)과 고식적 요법(palliative)이 있습니다. 수술 후 보조요법으로는 gemcitabine, gemcitabine+capecitabine, FOLFIRINOX 등이 사용됩니다. 고식적 요법으로는 FOLFIRINOX, gemcitabine+nab-paclitaxel, gemcitabine 등이 사용됩니다.
  • 6. 직결장암
    직결장암 치료에는 선행 방사선화학요법(neoadjuvant), 수술 후 보조요법(adjuvant), 고식적 요법(palliative)이 있습니다. 선행 방사선화학요법으로는 fluorouracil+leucovorin+RT, capecitabine+RT가 사용됩니다. 수술 후 보조요법으로는 FOLFOX, capecitabine, oxaliplatin+capecitabine 등이 사용됩니다. 고식적 요법으로는 FOLFIRI, FOLFOX, capecitabine 등의 약물 조합이 사용됩니다.
Easy AI와 토픽 톺아보기
  • 1. 위암
    위암은 위장관 계통에서 발생하는 가장 흔한 암 중 하나입니다. 위암의 주요 원인으로는 헬리코박터 파일로리 감염, 만성 위염, 식습관, 유전적 요인 등이 알려져 있습니다. 위암은 초기에는 증상이 뚜렷하지 않아 진단이 어려운 경우가 많지만, 정기적인 검진을 통해 조기에 발견하면 치료 성공률이 높습니다. 수술, 항암 치료, 방사선 치료 등 다양한 치료법이 있으며, 환자의 상태와 암 진행 정도에 따라 적절한 치료법을 선택해야 합니다. 또한 건강한 식습관과 생활습관 개선, 금연 등의 예방 노력도 중요합니다.
  • 2. 식도암
    식도암은 식도에 발생하는 악성 종양으로, 주요 원인으로는 만성 위식도 역류, 흡연, 과도한 음주, 비만 등이 알려져 있습니다. 식도암은 초기에는 증상이 뚜렷하지 않아 진단이 어려운 경우가 많지만, 지속적인 연하 곤란, 체중 감소, 흉통 등의 증상이 나타나면 빠른 검진이 필요합니다. 식도암의 치료법으로는 수술, 항암 화학 요법, 방사선 치료 등이 있으며, 병기와 환자의 상태에 따라 적절한 치료법을 선택해야 합니다. 또한 금연, 건강한 식습관, 규칙적인 운동 등의 예방 노력도 중요합니다.
  • 3. 간암
    간암은 간 세포에서 발생하는 악성 종양으로, 주요 원인으로는 B형 및 C형 간염 바이러스 감염, 알코올 섭취, 지방간 등이 알려져 있습니다. 간암은 초기에는 증상이 뚜렷하지 않아 진단이 어려운 경우가 많지만, 복부 불편감, 체중 감소, 황달 등의 증상이 나타나면 빠른 검진이 필요합니다. 간암의 치료법으로는 수술, 간 이식, 항암 화학 요법, 방사선 치료, 표적 치료제 등이 있으며, 병기와 환자의 상태에 따라 적절한 치료법을 선택해야 합니다. 또한 B형 및 C형 간염 예방 백신 접종, 금연, 건강한 식습관, 규칙적인 운동 등의 예방 노력도 중요합니다.
  • 4. 담도암
    담도암은 담도 계통에서 발생하는 악성 종양으로, 주요 원인으로는 담석증, 만성 담도염, 원발성 담도 경화증, 간흡충 감염 등이 알려져 있습니다. 담도암은 초기에는 증상이 뚜렷하지 않아 진단이 어려운 경우가 많지만, 황달, 복부 통증, 체중 감소 등의 증상이 나타나면 빠른 검진이 필요합니다. 담도암의 치료법으로는 수술, 항암 화학 요법, 방사선 치료, 표적 치료제 등이 있으며, 병기와 환자의 상태에 따라 적절한 치료법을 선택해야 합니다. 또한 담석증 예방, 금연, 건강한 식습관, 규칙적인 운동 등의 예방 노력도 중요합니다.
  • 5. 췌장암
    췌장암은 췌장 세포에서 발생하는 악성 종양으로, 주요 원인으로는 흡연, 만성 췌장염, 당뇨병, 비만 등이 알려져 있습니다. 췌장암은 초기에는 증상이 뚜렷하지 않아 진단이 어려운 경우가 많지만, 복부 통증, 체중 감소, 황달 등의 증상이 나타나면 빠른 검진이 필요합니다. 췌장암의 치료법으로는 수술, 항암 화학 요법, 방사선 치료, 표적 치료제 등이 있으며, 병기와 환자의 상태에 따라 적절한 치료법을 선택해야 합니다. 또한 금연, 건강한 식습관, 규칙적인 운동 등의 예방 노력도 중요합니다.
  • 6. 직결장암
    직결장암은 대장의 직장 부분과 결장 부분에서 발생하는 악성 종양으로, 주요 원인으로는 유전적 요인, 만성 염증성 장질환, 고지방 식단, 비만 등이 알려져 있습니다. 직결장암은 초기에는 증상이 뚜렷하지 않아 진단이 어려운 경우가 많지만, 배변 습관 변화, 혈변, 복부 통증 등의 증상이 나타나면 빠른 검진이 필요합니다. 직결장암의 치료법으로는 수술, 항암 화학 요법, 방사선 치료 등이 있으며, 병기와 환자의 상태에 따라 적절한 치료법을 선택해야 합니다. 또한 건강한 식습관, 규칙적인 운동, 금연 등의 예방 노력도 중요합니다.
주제 연관 토픽을 확인해 보세요!
주제 연관 리포트도 확인해 보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