수혈 부작용의 원인, 증상, 간호중재
본 내용은
"
수혈 부작용의 원인, 증상, 간호중재
"
의 원문 자료에서 일부 인용된 것입니다.
2023.02.24
문서 내 토픽
  • 1. 용혈 반응
    가장 심각한 급성 합병증(생명위협)은 ABO 부적합 수혈과 Rh 부적합 수혈입니다. 대상자의 혈액과 공여자의 혈액이 부적합할 때 오한, 발열, 빈맥, 저혈압, 두통, 핍뇨, 황달, 청색증, 호흡곤란, 흉통 등의 증상이 나타납니다. 수혈을 즉시 중단하고 새 수액세트를 사용하여 생리식염수로 혈관을 유지합니다. 의사에게 즉시 보고하고 저혈압 치료를 위한 약물을 투여하며, 활력징후와 I/O를 확인하여 신기능 상태를 파악합니다. 교질성 용액을 투여하고 이뇨제를 투여하여 혈압을 유지하고 소변량을 확보합니다. 혈액과 소변 검체물을 채취하여 검사를 의뢰합니다.
  • 2. 발열 반응
    공여된 혈액의 백혈구, 혈소판, 혈장단백질에 대한 과민 반응(알레르기 반응)으로 인해 갑작스러운 발열, 오한, 권태감, 두통, 불안, 근육통, 청색증, 빈맥, 저혈압이 나타납니다. 즉시 수혈을 중지하고 의사에게 알리며, 생리식염수로 정맥의 개방성을 유지하고 처방된 해열제를 투여합니다(혈소판감소증일 시 아스피린 금지). 예방을 위해 백혈구제거혈액을 사용합니다.
  • 3. 알레르기 반응
    혈액 내 단백질, 수혈자의 항원에 대한 항체 반응으로 인해 두드러기, 천식(천명음), 관절통, 전신 가려움, 기관지 경련 등의 증상이 나타납니다. 증상이 경하고 일시적이면 수혈 속도를 늦추고, 심한 반응 시 수혈을 중단하고 의사에게 알리며 항히스타민제를 투여합니다. 아나필락시스 반응을 관찰하며, 예방을 위해 수혈 10~15분 전 미리 항히스타민제를 투여합니다.
  • 4. 순환과잉
    순환능력을 초과할 정도로 빠른 혈액 주입으로 인해 기침, 호흡곤란, 폐수종, 두통, 고혈압, 빈맥, 경정맥 울혈, 정맥압 증가, 순환허탈 등의 증상이 나타납니다. 앉은 자세를 취해주고 수혈을 중지하거나 속도를 늦추며, 의사에게 알리고 처방에 따라 이뇨제나 모르핀을 투여하고 산소를 공급합니다. 필요시 정맥절개술 or 순환지혈대를 적용하여 심장으로 가는 혈량 부담을 감소시킵니다.
  • 5. 패혈증
    박테리아에 감염된 혈액제제 or 수혈기구 사용(오염된 혈액 투여 시) 갑작스러운 고열과 오한, 구토, 설사, 심한 저혈압, 쇼크, 기침, 호흡곤란, 수포음, 빈맥 등의 증상이 나타납니다. 수혈을 중지하고 생리식염수로 정맥을 유지하며, 처방에 따라 항생제, 수액요법, 혈관수축제 등을 투여합니다. 혈액검체물을 채취하고 남은 혈액이 담긴 혈액백과 튜브는 추후 검사를 위해 혈액은행으로 보냅니다. 예방을 위해 수혈 전 혈액은 냉장보관하고 혈액제제를 관찰하며, 전혈이나 농축 적혈구 수혈 시 4시간 이내에 끝마치도록 합니다.
Easy AI와 토픽 톺아보기
  • 1. 용혈 반응
    용혈 반응은 적혈구가 파괴되어 혈액 내 헤모글로빈이 유리되는 현상을 말합니다. 이는 다양한 원인에 의해 발생할 수 있는데, 대표적으로 자가면역질환, 약물 부작용, 감염 등이 있습니다. 용혈 반응은 빈혈, 황달, 신장 손상 등의 증상을 동반할 수 있어 신속한 진단과 치료가 필요합니다. 의료진은 환자의 병력, 검사 결과 등을 종합적으로 고려하여 원인을 파악하고 적절한 치료법을 선택해야 합니다. 또한 환자는 의료진의 지시에 따라 치료에 적극적으로 참여해야 합니다. 용혈 반응에 대한 이해와 관심을 높여 환자의 건강을 보호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 2. 발열 반응
    발열 반응은 체온이 정상 범위를 벗어나 상승하는 현상을 말합니다. 이는 감염, 염증, 면역 반응 등 다양한 원인에 의해 발생할 수 있습니다. 발열 반응은 병원체 퇴치, 면역 활성화 등의 생리적 기능을 수행하지만, 지속되거나 심각한 경우 합병증을 유발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의료진은 발열의 원인을 신속히 파악하고 적절한 치료법을 선택해야 합니다. 환자 또한 증상 관리와 함께 충분한 휴식, 수분 섭취 등의 자가 관리를 병행해야 합니다. 발열 반응에 대한 이해와 대처 능력을 높여 환자의 건강을 보호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 3. 알레르기 반응
    알레르기 반응은 정상적인 면역 반응이 과도하게 나타나 발생하는 현상입니다. 알레르기 유발 물질에 노출되면 비염, 두드러기, 천식 등의 증상이 나타날 수 있습니다. 이는 개인마다 다양한 알레르기 유발 물질에 반응할 수 있어 정확한 진단이 필요합니다. 의료진은 환자의 병력, 검사 결과 등을 종합적으로 고려하여 원인을 파악하고 적절한 치료법을 선택해야 합니다. 또한 환자는 알레르기 유발 물질을 피하고 처방된 약물을 규칙적으로 복용하는 등의 자가 관리를 해야 합니다. 알레르기 반응에 대한 이해와 관심을 높여 환자의 삶의 질을 향상시키는 것이 중요합니다.
  • 4. 순환과잉
    순환과잉은 체내 혈액량이 과도하게 증가하는 현상을 말합니다. 이는 심장 기능 이상, 신장 질환, 약물 부작용 등 다양한 원인에 의해 발생할 수 있습니다. 순환과잉은 호흡 곤란, 부종, 고혈압 등의 증상을 동반할 수 있어 신속한 진단과 치료가 필요합니다. 의료진은 환자의 병력, 검사 결과 등을 종합적으로 고려하여 원인을 파악하고 적절한 치료법을 선택해야 합니다. 또한 환자는 의료진의 지시에 따라 수분 섭취 제한, 약물 복용 등의 자가 관리를 해야 합니다. 순환과잉에 대한 이해와 관심을 높여 환자의 건강을 보호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 5. 패혈증
    패혈증은 감염으로 인해 전신적인 염증 반응이 나타나는 심각한 상태를 말합니다. 이는 세균, 바이러스, 진균 등 다양한 병원체에 의해 발생할 수 있으며, 신속한 진단과 치료가 필요합니다. 패혈증은 저혈압, 장기 부전, 의식 저하 등의 증상을 동반할 수 있어 생명을 위협할 수 있습니다. 의료진은 환자의 병력, 검사 결과 등을 종합적으로 고려하여 원인을 파악하고 항생제, 수액 요법 등의 적절한 치료법을 선택해야 합니다. 또한 환자는 의료진의 지시에 따라 치료에 적극적으로 참여해야 합니다. 패혈증에 대한 이해와 관심을 높여 환자의 생명을 보호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주제 연관 토픽을 확인해 보세요!
주제 연관 리포트도 확인해 보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