곰브리치 - 서양미술사
문서 내 토픽
  • 1. 작가 소개
    1909년 3월 30일 오스트리아 빈 출신의 미술사학자 Ernst Hans Josef Gombrich(에른스트 곰브리치 경)는 1933년 미술사 박사학위를 취득하였고, 1935년 나치가 장악하고 있던 빈을 떠나 런던에 정착하였다. 1936년 런던대학의 바르부르크 연구소에서 연구 활동을 시작하였으며, 1959년부터 1976년 퇴직하기까지 연구소장직을 역임하였다. 이 기간동안 런던대학교의 교수로 재직하면서 영국 내의 여러 저명한 대학의 객원교수로도 활동하였다. 그의 베스트셀러 <서양미술사>는 52년 전에 초판이 출간되어 현재에는 16판까지 발행되었고 전세계의 미술 학도들에게 변함없이 지식과 기쁨을 제공하고 있다.
  • 2. 목적
    곰브리치는 이 책을 '자신들의 힘으로 이제 막 미술 세계를 발견한 10대의 젊은 독자들'을 위해 저술했다. 그들은 '유식한 체하는 전문 용어의 나열이나 엉터리 감정들을 재빨리 찾아내어 타파할 줄 아는 비평가'들이기 때문이다. 즉, 이 책은 미술의 세계에 처음 입문하기 원하는 사람들을 위한 것으로, 쉽고 폭넓고 친절하게 서술되어 있다.
  • 3. 이집트 미술
    곰브리치가 저술한 서양미술사는 원시시대부터 미술이 있었지만, 사람들이 미술을 발전시키고 하나의 문화 장르로 만들기 시작한 곳이 바로 이집트라고 언급하였다. 이집트 미술의 특징은 보이는 것을 그리지 않고 내가 알고 있는 것을 그리는 것인데, 마치 지도를 제작하는 것처럼 미화하지 않고 최적화된 모습만 그렸다는 것이다. 사람과 사물을 표현할 수 있는 효과적인 각도에 맞췄다. 즉, 이집트 미술의 특징을 간략하게 정리하자면 영원성, 평면성, 완전성, 규칙성을 말할 수 있다.
  • 4. 그리스 미술
    그리스 미술은 이집트 미술과 반대되는 특징이라고 보면 된다. 평면적이 아니라 입체적이고, 완전함보다는 역동적이고, 보수적이기보다는 자유로운 것이 그리스 미술의 특징이 되는데, 그리스 미술의 대표적인 작품인 <원반 던지는 사람>을 예로 들 수 있다.
  • 5. 헬레니즘 미술
    헬레니즘 미술의 대표적인 작품 <라오콘과 그의 두 아들>을 설명할 수 있다. 이 작품은 신화의 한 장면인데, 트로이 전쟁 당시 그리스 연합군이 트로이(현재 터키 부근)를 공격할 때, 그리스군은 트로이군 진영에 목마를 남기고 철수하는 위장 전술을 펼쳤다. 여기서 우리가 느낄 수 있는 헬레니즘 미술의 특징은 바로 역동성이다.
  • 6. 중세 미술
    중세 미술의 대표적인 작품 <오병이어의 기적>을 보면 중세 미술의 특징을 알 수 있다. 마치 이집트 미술로의 퇴보라고 말할 수 있는데, 그림이 평면적이고 이야기의 본질에만 충실한 모습이라는 것이다. 글을 쓰듯이 그림을 그리는 시대였다고 책에서도 표현하고 있다.
  • 7. 르네상스 미술
    르네상스 시작의 작은 공을 쏘아 올린 사람이 바로 'Giotto di Bondone(지오토 디 본도네)'라는 피렌체의 예술가였다. 지오토의 대표적인 작품인 <신앙>에서 그리스 미술 특유의 역동성과 디테일, 표정, 균형을 찾을 수 있다. 또한, 르네상스 미술의 가장 큰 특징 중 하나가 원근법이라 할 수 있다. 그 원근법을 창시한 인물이 바로 '마사초'라는 발다르노 출신의 화가였다.
  • 8. 바로크 미술
    바로크는 '기괴함'이라는 뜻인데, 우리가 알고 있는 미술사 사조 이름은 대부분 조롱과 욕설에서 비롯되었다. 바로크 미술의 대표적인 작품으로는 'Peter Paul Rubens(페테르 파울 루벤스)'의 <아이의 얼굴>과 'Rembrandt Harmenszoon van Rijn(렘브란트 하르먼손 반 레인)'의 자화상을 들 수 있다.
  • 9. 근대 미술
    산업혁명 이후의 근대 미술에서는 사진 기술의 발달로 인해 미술가들이 큰 충격을 받았다. 하지만 그 한계를 극복하고자 등장한 인상주의 화가 'Edouard Manet(에두아르 마네)'의 <배에서 그림 그리는 모네>와 'Vincent Willem van Gogh(빈센트 빌럼 반 고흐)'의 <사이프러스 나무가 있는 곡물 밭>을 통해 새로운 미술 세계를 열었다.
  • 10. 현대 미술
    피카소의 <바이올린과 포도>에서 볼 수 있듯이, 20세기 현대 미술은 개성과 창의력을 존중하고 자유분방한 모습으로 발전했다. 곰브리치는 미술이 앞으로도 계속 태어날 것이지만, 그 운명은 대중의 태도에 달려있다고 말했다.
Easy AI와 토픽 톺아보기
  • 1. 작가 소개
    작가 소개는 작품을 이해하고 감상하는 데 있어 매우 중요한 역할을 합니다. 작가의 생애, 배경, 영향을 받은 사회적 문화적 요인 등을 이해하면 작품의 맥락과 의미를 보다 깊이 있게 파악할 수 있습니다. 작가 소개를 통해 작품 창작의 동기와 의도를 파악할 수 있으며, 작품 해석에 도움을 줄 수 있습니다. 또한 작가의 예술관과 세계관을 이해함으로써 작품에 대한 통찰력을 얻을 수 있습니다. 따라서 작가 소개는 작품 감상의 중요한 기초가 되며, 작품에 대한 이해와 해석을 풍부하게 해줄 것입니다.
  • 2. 목적
    미술 작품의 목적은 매우 다양하며, 시대와 문화에 따라 그 목적이 변화해왔습니다. 초기 미술은 주로 종교적, 의례적 목적으로 제작되었지만, 점차 예술적 표현과 감상의 목적이 강조되었습니다. 현대 미술에서는 사회 비판, 정치적 메시지 전달, 개인적 표현 등 다양한 목적으로 작품이 창작되고 있습니다. 작품의 목적을 이해하는 것은 작품 해석과 감상에 중요한 역할을 합니다. 작품의 목적을 파악함으로써 작품이 전달하고자 하는 메시지와 의미를 보다 깊이 있게 이해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작품의 목적에 대한 이해는 작품 감상의 핵심적인 요소라고 할 수 있습니다.
  • 3. 이집트 미술
    이집트 미술은 고대 문명의 대표적인 예술 양식으로, 종교적이고 상징적인 특징을 강하게 보여줍니다. 이집트 미술은 엄격한 양식과 규범을 따르며, 인물 표현에 있어서도 정형화된 양식을 보여줍니다. 이는 이집트 문화의 보수성과 전통성을 반영하는 것이라고 할 수 있습니다. 또한 이집트 미술은 영원성과 불멸성을 추구하는 특징을 보이는데, 이는 죽음과 내세에 대한 이집트인들의 신념을 반영합니다. 이집트 미술은 고대 문명의 정신적 가치와 세계관을 잘 보여주는 대표적인 예술 양식이라고 할 수 있습니다.
  • 4. 그리스 미술
    그리스 미술은 인간 중심적이며 합리적이고 균형 잡힌 특징을 보여줍니다. 그리스 미술은 인체의 아름다움과 조화를 추구하며, 이상적인 인간상을 표현하고자 했습니다. 또한 그리스 미술은 자연과 인간의 조화를 중요하게 여겼으며, 이를 통해 이상적인 세계관을 표현하고자 했습니다. 그리스 미술은 합리성과 균형미를 추구하는 특징을 보이며, 이는 그리스 문화의 정신적 가치를 잘 반영하고 있습니다. 그리스 미술은 서양 미술의 근간을 이루는 중요한 예술 양식이라고 할 수 있습니다.
  • 5. 헬레니즘 미술
    헬레니즘 미술은 그리스 미술의 전통을 계승하면서도 새로운 특징을 보여줍니다. 헬레니즘 미술은 개인의 감정과 내면 세계를 강조하며, 역동적이고 극적인 표현 기법을 사용합니다. 또한 헬레니즘 미술은 다양한 문화와 민족이 혼합된 특징을 보이며, 이를 통해 보편적인 인간성을 표현하고자 했습니다. 헬레니즘 미술은 그리스 미술의 이상적인 인간상에서 벗어나 보다 현실적이고 다양한 인간상을 표현하고자 했습니다. 이를 통해 헬레니즘 미술은 서양 미술의 새로운 지평을 열었다고 할 수 있습니다.
  • 6. 중세 미술
    중세 미술은 기독교 신앙을 바탕으로 하며, 종교적이고 상징적인 특징을 강하게 보여줍니다. 중세 미술은 신의 영광을 드러내는 것을 가장 중요한 목적으로 삼았으며, 이를 위해 화려한 장식과 상징적인 표현 기법을 사용했습니다. 또한 중세 미술은 인간 개인보다는 신과 교회 중심의 세계관을 반영하고 있습니다. 중세 미술은 당시 사회의 가치관과 신앙심을 잘 보여주는 대표적인 예술 양식이라고 할 수 있습니다. 중세 미술은 서양 미술사에서 중요한 위치를 차지하며, 이후 르네상스 미술의 발전에도 큰 영향을 미쳤습니다.
  • 7. 르네상스 미술
    르네상스 미술은 인간 중심적이며 자연주의적인 특징을 보여줍니다. 르네상스 미술은 인간의 아름다움과 능력을 강조하며, 자연을 사실적으로 표현하고자 했습니다. 또한 르네상스 미술은 원근법과 해부학적 지식을 활용하여 입체감 있는 공간 표현을 추구했습니다. 이를 통해 르네상스 미술은 인간과 자연에 대한 새로운 이해와 관점을 보여주었습니다. 르네상스 미술은 인간 중심적이며 합리적인 세계관을 반영하고 있으며, 이는 당시 유럽 사회의 변화와 맥락을 같이 합니다. 르네상스 미술은 서양 미술사에서 매우 중요한 위치를 차지하며, 이후 바로크 미술의 발전에도 큰 영향을 미쳤습니다.
  • 8. 바로크 미술
    바로크 미술은 극적이고 감정적인 특징을 보여줍니다. 바로크 미술은 강렬한 명암 대비, 역동적인 구도, 과장된 표현 등을 통해 관람자의 감정을 자극하고자 했습니다. 또한 바로크 미술은 종교적 주제를 다루면서도 세속적인 요소를 강조하는 경향을 보였습니다. 이를 통해 바로크 미술은 종교와 세속의 경계를 허물고자 했습니다. 바로크 미술은 당시 유럽 사회의 정치적, 종교적 갈등을 반영하며, 이를 극적이고 감정적인 방식으로 표현하고자 했습니다. 바로크 미술은 서양 미술사에서 중요한 위치를 차지하며, 이후 근대 미술의 발전에도 큰 영향을 미쳤습니다.
  • 9. 근대 미술
    근대 미술은 전통적인 미술 양식에서 벗어나 새로운 실험과 혁신을 추구했습니다. 근대 미술은 사회 변화와 기술 발전에 발맞추어 다양한 양식과 기법을 시도했습니다. 인상주의, 표현주의, 입체주의 등 다양한 미술 운동이 등장했으며, 이를 통해 미술은 더욱 다양화되고 개인화되었습니다. 근대 미술은 전통적인 미술 개념을 해체하고 새로운 미술 언어를 모색했습니다. 이를 통해 근대 미술은 미술의 경계를 확장하고 새로운 가능성을 열었다고 할 수 있습니다. 근대 미술은 현대 미술의 발전에 큰 영향을 미쳤으며, 지속적으로 미술 세계에 혁신을 가져왔습니다.
  • 10. 현대 미술
    현대 미술은 매우 다양하고 실험적인 특징을 보여줍니다. 현대 미술은 전통적인 미술 개념을 완전히 해체하고, 새로운 재료와 기법을 끊임없이 시도하고 있습니다. 현대 미술은 사회, 정치, 문화 등 다양한 주제를 다루며, 관람자와의 상호작용을 중요하게 여깁니다. 또한 현대 미술은 개념과 과정을 중시하며, 작품의 완성보다는 창작 과정 자체에 초점을 맞추고 있습니다. 현대 미술은 기존의 미술 개념을 근본적으로 재정의하고 있으며, 이를 통해 미술의 새로운 가능성을 끊임없이 탐구하고 있습니다. 현대 미술은 시대의 변화와 함께 지속적으로 진화하며, 미술 세계에 혁신을 가져오고 있습니다.
곰브리치 - 서양미술사
본 내용은 원문 자료의 일부 인용된 것입니다.
2023.02.23
연관 리포트도 확인해 보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