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PP 모형에 대한 특징 및 초급 과정의 말하기 수업 설계
본 내용은
"
한국어교원2급 외국어로서의한국어표현교육론 PPP모형에 대한 특징 초급 과정의 말하기 수업을 PPP모형의 단계에 맞게 설계
"
의 원문 자료에서 일부 인용된 것입니다.
2023.02.21
문서 내 토픽
  • 1. PPP 모형
    PPP 모형은 '제시(Presentation) → 연습(Practice) → 생산(Production)'의 3단계로 구성되며, 언어 학습을 습관 형성의 과정으로 보고 교사가 학습 목표가 되는 언어 항목을 제시하면 학습자들이 반복적인 연습을 통해 강화하고 정확하게 인식하는 학습 활동이다. PPP 모형의 장점은 수업 설계가 쉽고 수업 목표가 분명하여 평가가 확실하지만, 목표어를 분절된 단위로 나누어 교수하고 기계적인 연습에 치중한다는 단점이 있다.
  • 2. 초급 PPP 모형의 수업 설계
    초급 PPP 모형의 수업은 '도입 → 제시 → 연습 → 활용 → 마무리'의 5단계로 구성된다. 도입 단계에서는 학습 목표를 자연스럽게 노출시키고 학습자의 주의를 유도한다. 제시 단계에서는 학습 목표의 의미, 형태, 제약 정보를 제시한다. 연습 단계에서는 기계적 연습과 유의미한 연습을 통해 학습자가 목표 문법을 내재화할 수 있도록 한다. 활용 단계에서는 실제 언어 상황에서 목표 문법을 사용할 수 있도록 한다. 마무리 단계에서는 학습자 스스로 목표 문법을 발화할 수 있도록 한다.
Easy AI와 토픽 톺아보기
  • 1. PPP 모형
    PPP 모형은 교수-학습 과정에서 널리 사용되는 교수법 중 하나입니다. PPP 모형은 Presentation, Practice, Production의 3단계로 구성되어 있으며, 각 단계에서 교사와 학생의 역할이 다르게 나타납니다. 첫 번째 Presentation 단계에서는 교사가 새로운 언어 항목을 도입하고 설명하며, 두 번째 Practice 단계에서는 학생들이 교사의 도움 아래 연습하게 됩니다. 마지막 Production 단계에서는 학생들이 독립적으로 새로운 언어 항목을 사용할 수 있게 됩니다. PPP 모형은 체계적이고 단계적인 접근법을 제공하여 학생들의 언어 능력 향상에 도움을 줄 수 있습니다. 그러나 PPP 모형이 모든 상황에 적합한 것은 아니며, 학습자의 수준과 요구사항, 교육 목표 등을 고려하여 적절히 활용해야 할 것입니다.
  • 2. 초급 PPP 모형의 수업 설계
    초급 학습자를 대상으로 PPP 모형을 활용한 수업 설계 시 다음과 같은 고려사항이 필요합니다. 첫째, Presentation 단계에서는 학습자의 수준에 맞는 간단하고 명확한 언어 항목을 선정하고, 시각 자료나 실물 자료 등을 활용하여 이해를 돕는 것이 중요합니다. 둘째, Practice 단계에서는 교사의 도움 아래 반복 연습을 통해 학습자의 자신감을 높일 수 있도록 해야 합니다. 이때 다양한 활동 유형(게임, 역할극 등)을 활용하여 흥미를 유발하는 것이 좋습니다. 셋째, Production 단계에서는 학습자 수준에 맞는 간단한 과제를 제시하여 새로운 언어 항목을 자유롭게 사용할 수 있는 기회를 제공해야 합니다. 이를 통해 학습자의 자율성과 창의성을 기를 수 있습니다. 이와 같이 초급 학습자의 특성을 고려하여 PPP 모형을 적절히 활용한다면 효과적인 언어 학습이 가능할 것입니다.
주제 연관 리포트도 확인해 보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