합성고무 종류 및 특성 ppt자료
본 내용은
"
합성고무 종류 및 특성 ppt자료
"
의 원문 자료에서 일부 인용된 것입니다.
2023.02.20
문서 내 토픽
  • 1. 과산화물 가교 가능 폴리머
    과산화물을 사용하여 가교하는 폴리머의 특성에 대해 설명합니다. 과산화물 가교는 황 가교에 비해 전기적 안정성과 열적 안정성이 높고 블루밍이 적으며 가교 시간이 짧은 장점이 있지만 인열강도가 낮고 공기나 산성 첨가제에 의해 가교가 방해될 수 있다는 단점이 있습니다.
  • 2. 천연고무 (NR)
    천연고무의 특성, 문제점 및 개선방안에 대해 설명합니다. 천연고무는 촉감과 탄성이 가장 좋지만 내열성과 내오존성이 약해 고온 및 직사광선 환경에서 사용이 어렵습니다. 이를 개선하기 위해 황 가교 시 다양한 첨가제를 사용하여 내열성과 내오존성을 향상시킬 수 있습니다.
  • 3. NBR
    아크릴로니트릴-부타디엔 고무(NBR)의 특성, 문제점 및 개선방안에 대해 설명합니다. NBR은 내유성, 내마모성, 내노화성이 우수하지만 내염성과 내오존성이 약합니다. 이를 개선하기 위해 왁스류, 오존노화 방지제, PVC 파우더 등을 사용할 수 있으며 Rhein Chemie사의 제품을 추천합니다.
  • 4. HNBR
    수소첨가 아크릴로니트릴-부타디엔 고무(HNBR)의 특성에 대해 설명합니다. HNBR은 NBR에 비해 내열성, 내산화성, 내오존성, 인장강도, 내마모성이 우수하며 과산화물로 가교가 가능합니다. 고온 및 저온 사용 한계가 각각 140°C와 -30°C로 NBR보다 우수합니다.
  • 5. EPDM
    에틸렌-프로필렌-디엔 고무(EPDM)의 특성, 물성 향상법, 가교 방법에 대해 설명합니다. EPDM은 내오존성이 최고이며 내노화성, 극성액체 저항성, 전기적 특성이 우수합니다. 물성 향상을 위해 에틸렌 함량, 충전제, 산화방지제, 가소제, 가공조제 등을 조절할 수 있으며 황 가교와 과산화물 가교 방법이 사용됩니다.
  • 6. CR
    클로로프렌 고무(CR)의 특성, 문제점 및 개선방안, 가교 방법에 대해 설명합니다. CR은 난연성, 기체투과성, 접착력이 우수하지만 인장강도, 인열강도, 탄성 등이 부족합니다. 이를 개선하기 위해 보강제, 가소제, 노화방지제 등을 사용하며 황 가교와 과산화물 가교 방법이 사용됩니다.
  • 7. 아크릴 고무
    아크릴 고무의 특성과 가황 방법에 대해 설명합니다. 아크릴 고무는 내열성과 내유성이 우수하고 내후성, 내오존성도 좋지만 탄성이 부족합니다. 가황 시 주로 스테아린산 나트륨, 스테아린산 칼륨, 소량의 황을 사용하는 황염 가교계가 사용되며 후가황 공정이 필요합니다.
  • 8. 불소 고무
    불소 고무의 특성에 대해 설명합니다. 불소 고무는 내열성, 내약품성, 내유성이 최고 수준이지만 가격이 매우 높습니다. 고온 사용 한계가 220°C, 저온 사용 한계가 -25°C로 매우 우수합니다. 주로 내열, 내유, 내화학성이 요구되는 미사일, 로켓 등의 패킹에 사용됩니다.
  • 9. 부틸 고무
    부틸 고무(IIR)의 특성에 대해 설명합니다. 부틸 고무는 가스 투과성이 낮고 내후성, 내오존성, 내가스 투과성이 우수하지만 가공성과 탄성복원성이 부족하며 내유성이 낮습니다. 이를 개선하기 위해 카본블랙, 무기충진제 등을 혼합하여 사용합니다. 주로 자동차 타이어 튜브, 창틀고무, 전선피복 등에 사용됩니다.
  • 10. CSM
    클로로술폰화 폴리에틸렌(CSM)의 특성에 대해 설명합니다. CSM은 내후성, 내오존성, 내약품성(특히 내산화성)이 매우 우수하며 내마모성과 전기절연성도 뛰어납니다. 할로겐 함유 폴리머의 공통된 특성인 내연성도 가지고 있습니다. 주로 고무보트, 산업용 전기 케이블, 에스컬레이터 핸드레일 등에 사용됩니다.
Easy AI와 토픽 톺아보기
  • 1. 과산화물 가교 가능 폴리머
    과산화물 가교 가능 폴리머는 열가소성 플라스틱에 과산화물을 첨가하여 가교 반응을 일으켜 열경화성 고분자 재료를 만드는 기술입니다. 이 기술은 열가소성 플라스틱의 내열성, 내화학성, 기계적 물성 등을 향상시킬 수 있어 다양한 산업 분야에서 활용되고 있습니다. 특히 자동차, 전자, 건축 등의 분야에서 많이 사용되며, 최근에는 친환경 고분자 재료 개발을 위해 바이오 기반 폴리머에도 적용되고 있습니다. 과산화물 가교 기술은 고분자 재료의 물성 향상을 위한 중요한 기술로 지속적인 연구개발이 필요할 것으로 보입니다.
  • 2. 천연고무 (NR)
    천연고무(NR)는 고무나무에서 추출한 천연 고분자 물질로, 우수한 기계적 물성, 내마모성, 내열성 등의 특성을 가지고 있어 타이어, 신발, 의료용품 등 다양한 분야에서 널리 사용되고 있습니다. 최근에는 환경 규제 강화에 따라 천연고무에 대한 관심이 더욱 높아지고 있습니다. 그러나 천연고무는 공급의 불안정성, 가격 변동성 등의 문제가 있어 이를 해결하기 위한 노력이 필요합니다. 예를 들어 천연고무 대체 소재 개발, 천연고무 생산성 향상, 재활용 기술 등의 연구가 활발히 진행되고 있습니다. 향후 천연고무는 지속가능한 고분자 소재로서 더욱 중요해질 것으로 예상됩니다.
  • 3. NBR
    NBR(Nitrile Butadiene Rubber)은 부타디엔과 아크릴로니트릴의 공중합체로 이루어진 합성 고무입니다. NBR은 내유성, 내화학성, 내마모성 등이 우수하여 자동차 부품, 기계 부품, 오일 씰 등 다양한 산업 분야에서 널리 사용되고 있습니다. 최근에는 환경 규제 강화에 따라 NBR의 친환경성 향상을 위한 연구도 활발히 진행되고 있습니다. 예를 들어 바이오 기반 원료를 사용하거나 재활용 기술을 개발하는 등의 노력이 이루어지고 있습니다. 또한 NBR의 물성 향상을 위한 새로운 배합 기술, 가교 기술 등도 지속적으로 연구되고 있습니다. 향후 NBR은 산업 전반에 걸쳐 중요한 합성 고무 소재로 자리잡을 것으로 예상됩니다.
  • 4. HNBR
    HNBR(Hydrogenated Nitrile Butadiene Rubber)은 NBR을 수소화 처리하여 제조한 고무 소재입니다. HNBR은 NBR에 비해 내열성, 내유성, 내화학성 등이 더욱 우수하여 자동차, 기계, 오일 및 가스 산업 등에서 널리 사용되고 있습니다. 특히 최근 친환경 및 고성능 소재에 대한 요구가 증가함에 따라 HNBR의 활용도가 더욱 높아지고 있습니다. HNBR은 기존 NBR 대비 물성이 향상되었지만, 제조 공정이 복잡하고 가격이 높은 편입니다. 따라서 HNBR의 생산성 향상, 제조 공정 단순화, 원가 절감 등을 위한 연구개발이 지속적으로 필요할 것으로 보입니다. 또한 HNBR의 재활용성 향상, 바이오 기반 원료 사용 등 친환경성 제고를 위한 노력도 중요할 것으로 판단됩니다.
  • 5. EPDM
    EPDM(Ethylene Propylene Diene Monomer)은 에틸렌, 프로필렌, 비공액 디엔 모노머의 공중합체로 이루어진 합성 고무입니다. EPDM은 내열성, 내후성, 내오존성 등이 우수하여 자동차 부품, 건축 자재, 전선 피복 등 다양한 분야에서 널리 사용되고 있습니다. 최근 EPDM에 대한 관심이 높아지는 이유는 친환경성 때문입니다. EPDM은 할로겐이 없어 환경 규제에 부합하며, 재활용성도 우수합니다. 또한 바이오 기반 원료를 사용한 EPDM 개발도 활발히 진행되고 있습니다. 향후 EPDM은 자동차, 건축, 전기전자 등 다양한 산업 분야에서 지속적으로 수요가 증가할 것으로 예상됩니다. 특히 친환경성과 고성능이 요구되는 분야에서 EPDM의 활용도가 더욱 높아질 것으로 보입니다.
  • 6. CR
    CR(Chloroprene Rubber)은 클로로프렌 단량체의 중합체로 이루어진 합성 고무입니다. CR은 내열성, 내유성, 내화학성 등이 우수하여 주로 자동차 부품, 전기 절연재, 방수 재료 등에 사용됩니다. 최근 CR에 대한 관심이 높아지는 이유는 환경 규제 강화에 따른 것입니다. CR은 할로겐 함유 고무로 분류되어 규제 대상이 되고 있습니다. 따라서 CR의 친환경성 향상을 위한 연구가 활발히 진행되고 있습니다. 예를 들어 할로겐 함량을 낮추거나 바이오 기반 원료를 사용하는 등의 노력이 이루어지고 있습니다. 향후 CR은 기존 용도에서 점차 친환경 소재로 전환될 것으로 예상됩니다. 또한 새로운 응용 분야 개발을 통해 CR의 활용도를 높이는 것도 중요할 것으로 보입니다.
  • 7. 아크릴 고무
    아크릴 고무는 아크릴산 에스테르 단량체의 중합체로 이루어진 합성 고무입니다. 아크릴 고무는 내열성, 내화학성, 내오존성 등이 우수하여 자동차 부품, 기계 부품, 전기 절연재 등 다양한 분야에서 사용되고 있습니다. 최근 아크릴 고무에 대한 관심이 높아지는 이유는 친환경성 때문입니다. 아크릴 고무는 할로겐이 없어 환경 규제에 부합하며, 재활용성도 우수합니다. 또한 바이오 기반 원료를 사용한 아크릴 고무 개발도 활발히 진행되고 있습니다. 향후 아크릴 고무는 기존 용도에서 더욱 확대되어 사용될 것으로 예상됩니다. 특히 자동차, 전기전자, 건축 등 친환경성이 요구되는 분야에서 아크릴 고무의 활용도가 높아질 것으로 보입니다. 또한 아크릴 고무의 물성 향상을 위한 연구개발도 지속적으로 필요할 것으로 판단됩니다.
  • 8. 불소 고무
    불소 고무는 불소 함유 단량체의 중합체로 이루어진 합성 고무입니다. 불소 고무는 내열성, 내화학성, 내오존성 등이 매우 우수하여 항공, 자동차, 화학 플랜트 등 극한 환경에서 사용되는 분야에 널리 활용되고 있습니다. 최근 불소 고무에 대한 관심이 높아지는 이유는 환경 규제 강화 때문입니다. 불소 고무는 불소 함량이 높아 환경 영향이 우려되고 있습니다. 따라서 불소 함량을 낮추거나 대체 소재를 개발하는 등의 노력이 이루어지고 있습니다. 향후 불소 고무는 극한 환경에서의 성능이 요구되는 분야에서 지속적으로 사용될 것으로 예상됩니다. 다만 환경 규제에 대응하기 위해 친환경성이 향상된 불소 고무 개발이 필요할 것으로 보입니다. 또한 불소 고무의 제조 공정 개선, 원가 절감 등을 통한 경쟁력 강화도 중요할 것으로 판단됩니다.
  • 9. 부틸 고무
    부틸 고무는 이소부틸렌과 이소프렌의 공중합체로 이루어진 합성 고무입니다. 부틸 고무는 내기체 투과성, 내열성, 내화학성 등이 우수하여 타이어 내층, 튜브, 기계 부품 등 다양한 분야에서 사용되고 있습니다. 최근 부틸 고무에 대한 관심이 높아지는 이유는 친환경성 때문입니다. 부틸 고무는 할로겐이 없어 환경 규제에 부합하며, 재활용성도 우수합니다. 또한 바이오 기반 원료를 사용한 부틸 고무 개발도 활발히 진행되고 있습니다. 향후 부틸 고무는 기존 용도에서 더욱 확대되어 사용될 것으로 예상됩니다. 특히 자동차, 기계, 건축 등 내구성과 내화학성이 요구되는 분야에서 부틸 고무의 활용도가 높아질 것으로 보입니다. 또한 부틸 고무의 물성 향상을 위한 연구개발도 지속적으로 필요할 것으로 판단됩니다.
  • 10. CSM
    CSM(Chlorosulfonated Polyethylene)은 폴리에틸렌에 염소와 황을 도입하여 제조한 합성 고무입니다. CSM은 내열성, 내화학성, 내오존성 등이 우수하여 주로 자동차 부품, 전기 절연재, 방수 재료 등에 사용되고 있습니다. 최근 CSM에 대한 관심이 높아지는 이유는 환경 규제 강화 때문입니다. CSM은 할로겐 함유 고무로 분류되어 규제 대상이 되고 있습니다. 따라서 CSM의 친환경성 향상을 위한 연구가 활발히 진행되고 있습니다. 예를 들어 할로겐 함량을 낮추거나 바이오 기반 원료를 사용하는 등의 노력이 이루어지고 있습니다. 향후 CSM은 기존 용도에서 점차 친환경 소재로 전환될 것으로 예상됩니다. 또한 새로운 응용 분야 개발을 통해 CSM의 활용도를 높이는 것도 중요할 것으로 보입니다.
주제 연관 리포트도 확인해 보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