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파경로별 감염병 관리 (표준주의, 공기주의, 비말주의, 접촉주의, 혈액매개전파, 손위생시점)
문서 내 토픽
  • 1. 표준주의
    의료기관 내에서 환자를 대상으로 하는 모든 처치와 술기, 간호하는데 가장 기본이 되는 지침. 환자의 혈액, 체액, 분비물, 배설물, 손상된 피부와 점막을 다룰 때 표준주의에 따라 의료인 스스로를 보호하고 환자의 안전을 도모한다. 주요 내용은 손 위생, 호흡기 예절, 환자 이동과 배치, 치료 장비와 기구, 환경관리 등이다.
  • 2. 공기주의
    공기에 떠다니는 5㎛이하의 작은 입자의 공기매개전파를 예방하기 위해 적용하는 방법. 홍역, 수두, 활동성 폐결핵, 파종성 대상포진 등의 질환에 적용된다. 주요 내용은 환자 접촉 전/후 손위생, N95 마스크 착용, 병실문 닫기, 방문객 제한 등이다.
  • 3. 비말주의
    기침 및 재채기 등 발생하는 비말매개전파를 예방하기 위해 적용하는 방법. 인플루엔자, 디프테리아, 백일해, 성홍열, 유행성이하선염, 풍진, 수막구균성수막염, 중동호흡기 증후군 등의 질환에 적용된다. 주요 내용은 환자 접촉 전/후 손위생, 외과용 마스크 착용, 병실문 닫기, 방문객 제한 등이다.
  • 4. 접촉주의
    직접 또는 간접접촉에 의해 다른 환자나 환경에 미생물이 전파되는 것을 예방하기 위해 적용하는 방법. 콜레라, 장티푸스, 세균성이질, A형간염, 옴, 다제내성균(VRE, CRE 등), C.difficile 등의 질환에 적용된다. 주요 내용은 환자 접촉 전/후 손위생, N95 마스크 착용, 병실문 닫기, 방문객 제한 등이다.
  • 5. 혈액매개전파
    직접 또는 간접접촉에 의해 다른 환자나 환경에 미생물이 전파되는 것을 예방하기 위해 적용하는 방법. B형 및 C형 간염, HIV, 매독 등의 질환에 적용된다. 주요 내용은 오염된 주사침이나 날카로운 물체에 찔리거나 베이는 사고, 환자 혈액이나 체액이 점막으로 튀는 경우, 피부 손상 부위에 혈액이나 체액이 접촉된 경우 등의 노출 경로 관리, 혈액매개 질환자 채혈 시 주의사항, 혈액매개 감염 노출 시 조치 등이다.
  • 6. 손위생
    표준주의에서 가장 기본이 되는 지침. 환자 접촉 전/후, 청결/무균 처치 전, 체액 노출 위험 후, 환자 주변환경 접촉 후 등 손 위생이 필요한 시점과 올바른 손 씻기 6단계(30초 이상 비누로 비비기)에 대해 설명한다.
Easy AI와 토픽 톺아보기
  • 1. 표준주의
    표준주의는 의료 현장에서 환자 안전과 의료진 보호를 위해 매우 중요한 개념입니다. 이는 모든 환자를 잠재적인 감염원으로 간주하고, 적절한 개인보호장비 착용과 손위생 등의 기본적인 감염관리 원칙을 준수하는 것을 의미합니다. 표준주의 지침을 준수하면 의료관련감염을 예방하고 의료진과 환자 모두를 보호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의료기관에서는 표준주의 지침을 엄격히 준수하고 이를 지속적으로 교육하고 모니터링해야 합니다.
  • 2. 공기주의
    공기주의는 공기를 통해 전파되는 감염병에 대한 감염관리 원칙입니다. 이는 결핵, 홍역, 수두 등의 감염병 관리에 중요한 개념입니다. 공기주의에 따르면 환자 격리, 음압격리실 사용, N95 마스크 착용 등의 조치가 필요합니다. 이를 통해 공기 중 병원체의 확산을 차단하고 의료진과 다른 환자들을 보호할 수 있습니다. 공기주의 지침을 준수하는 것은 공기 전파 감염병 관리에 필수적이며, 의료기관에서는 이를 철저히 이행해야 합니다.
  • 3. 비말주의
    비말주의는 기침, 재채기, 대화 등을 통해 발생하는 비말에 의해 전파되는 감염병에 대한 감염관리 원칙입니다. COVID-19와 같은 호흡기 감염병의 경우 비말주의 지침이 매우 중요합니다. 이에 따르면 환자와 1-2미터 거리 유지, 수술용 마스크 착용, 환자 격리 등의 조치가 필요합니다. 비말주의 지침을 준수하면 비말을 통한 병원체 전파를 효과적으로 차단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의료기관에서는 비말주의 지침을 철저히 이행하고 직원 교육과 모니터링을 강화해야 합니다.
  • 4. 접촉주의
    접촉주의는 환자와의 직접 접촉이나 오염된 환경 접촉을 통해 전파되는 감염병에 대한 감염관리 원칙입니다. 이는 MRSA, VRE, C. difficile 등의 다제내성균 감염 관리에 중요합니다. 접촉주의에 따르면 장갑과 가운 착용, 환자 전용 물품 사용, 환경 소독 등의 조치가 필요합니다. 이를 통해 접촉을 통한 병원체 전파를 차단할 수 있습니다. 의료기관에서는 접촉주의 지침을 철저히 준수하고 직원 교육과 모니터링을 강화해야 합니다.
  • 5. 혈액매개전파
    혈액매개전파는 혈액이나 체액에 오염된 날카로운 기구 사용, 주사 등을 통해 전파되는 감염병에 대한 감염관리 원칙입니다. 이는 B형 간염, C형 간염, HIV 등의 감염 관리에 중요합니다. 혈액매개전파 예방을 위해서는 안전한 주사 기술, 날카로운 기구 취급 시 주의, 개인보호장비 착용 등의 조치가 필요합니다. 의료기관에서는 혈액매개전파 예방을 위한 지침을 마련하고 직원 교육과 모니터링을 강화해야 합니다.
  • 6. 손위생
    손위생은 감염관리의 가장 기본이 되는 원칙입니다. 손은 병원체 전파의 주요 경로이므로, 적절한 손위생 수행은 의료관련감염을 예방하는 데 필수적입니다. 손위생 지침에 따르면 물과 비누로 손을 씻거나 알코올 손소독제를 사용하는 등의 방법으로 손위생을 수행해야 합니다. 의료기관에서는 손위생 수행을 모니터링하고 직원 교육을 강화하여 손위생 준수율을 높여야 합니다. 이를 통해 의료관련감염을 효과적으로 예방할 수 있습니다.
전파경로별 감염병 관리 (표준주의, 공기주의, 비말주의, 접촉주의, 혈액매개전파, 손위생시점)
본 내용은 원문 자료의 일부 인용된 것입니다.
2023.02.15
연관 토픽을 확인해 보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