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전파경로별 감염병 관리 (표준주의, 공기주의, 비말주의, 접촉주의, 혈액매개전파, 손위생시점)
문서 내 토픽
-
1. 표준주의의료기관 내에서 환자를 대상으로 하는 모든 처치와 술기, 간호하는데 가장 기본이 되는 지침. 환자의 혈액, 체액, 분비물, 배설물, 손상된 피부와 점막을 다룰 때 표준주의에 따라 의료인 스스로를 보호하고 환자의 안전을 도모한다. 주요 내용은 손 위생, 호흡기 예절, 환자 이동과 배치, 치료 장비와 기구, 환경관리 등이다.
-
2. 공기주의공기에 떠다니는 5㎛이하의 작은 입자의 공기매개전파를 예방하기 위해 적용하는 방법. 홍역, 수두, 활동성 폐결핵, 파종성 대상포진 등의 질환에 적용된다. 주요 내용은 환자 접촉 전/후 손위생, N95 마스크 착용, 병실문 닫기, 방문객 제한 등이다.
-
3. 비말주의기침 및 재채기 등 발생하는 비말매개전파를 예방하기 위해 적용하는 방법. 인플루엔자, 디프테리아, 백일해, 성홍열, 유행성이하선염, 풍진, 수막구균성수막염, 중동호흡기 증후군 등의 질환에 적용된다. 주요 내용은 환자 접촉 전/후 손위생, 외과용 마스크 착용, 병실문 닫기, 방문객 제한 등이다.
-
4. 접촉주의직접 또는 간접접촉에 의해 다른 환자나 환경에 미생물이 전파되는 것을 예방하기 위해 적용하는 방법. 콜레라, 장티푸스, 세균성이질, A형간염, 옴, 다제내성균(VRE, CRE 등), C.difficile 등의 질환에 적용된다. 주요 내용은 환자 접촉 전/후 손위생, N95 마스크 착용, 병실문 닫기, 방문객 제한 등이다.
-
5. 혈액매개전파직접 또는 간접접촉에 의해 다른 환자나 환경에 미생물이 전파되는 것을 예방하기 위해 적용하는 방법. B형 및 C형 간염, HIV, 매독 등의 질환에 적용된다. 주요 내용은 오염된 주사침이나 날카로운 물체에 찔리거나 베이는 사고, 환자 혈액이나 체액이 점막으로 튀는 경우, 피부 손상 부위에 혈액이나 체액이 접촉된 경우 등의 노출 경로 관리, 혈액매개 질환자 채혈 시 주의사항, 혈액매개 감염 노출 시 조치 등이다.
-
6. 손위생표준주의에서 가장 기본이 되는 지침. 환자 접촉 전/후, 청결/무균 처치 전, 체액 노출 위험 후, 환자 주변환경 접촉 후 등 손 위생이 필요한 시점과 올바른 손 씻기 6단계(30초 이상 비누로 비비기)에 대해 설명한다.
-
1. 표준주의표준주의는 의료 현장에서 환자 안전과 의료진 보호를 위해 매우 중요한 개념입니다. 이는 모든 환자를 잠재적인 감염원으로 간주하고, 적절한 개인보호장비 착용과 손위생 등의 기본적인 감염관리 원칙을 준수하는 것을 의미합니다. 표준주의 지침을 준수하면 의료관련감염을 예방하고 의료진과 환자 모두를 보호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의료기관에서는 표준주의 지침을 엄격히 준수하고 이를 지속적으로 교육하고 모니터링해야 합니다.
-
2. 공기주의공기주의는 공기를 통해 전파되는 감염병에 대한 감염관리 원칙입니다. 이는 결핵, 홍역, 수두 등의 감염병 관리에 중요한 개념입니다. 공기주의에 따르면 환자 격리, 음압격리실 사용, N95 마스크 착용 등의 조치가 필요합니다. 이를 통해 공기 중 병원체의 확산을 차단하고 의료진과 다른 환자들을 보호할 수 있습니다. 공기주의 지침을 준수하는 것은 공기 전파 감염병 관리에 필수적이며, 의료기관에서는 이를 철저히 이행해야 합니다.
-
3. 비말주의비말주의는 기침, 재채기, 대화 등을 통해 발생하는 비말에 의해 전파되는 감염병에 대한 감염관리 원칙입니다. COVID-19와 같은 호흡기 감염병의 경우 비말주의 지침이 매우 중요합니다. 이에 따르면 환자와 1-2미터 거리 유지, 수술용 마스크 착용, 환자 격리 등의 조치가 필요합니다. 비말주의 지침을 준수하면 비말을 통한 병원체 전파를 효과적으로 차단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의료기관에서는 비말주의 지침을 철저히 이행하고 직원 교육과 모니터링을 강화해야 합니다.
-
4. 접촉주의접촉주의는 환자와의 직접 접촉이나 오염된 환경 접촉을 통해 전파되는 감염병에 대한 감염관리 원칙입니다. 이는 MRSA, VRE, C. difficile 등의 다제내성균 감염 관리에 중요합니다. 접촉주의에 따르면 장갑과 가운 착용, 환자 전용 물품 사용, 환경 소독 등의 조치가 필요합니다. 이를 통해 접촉을 통한 병원체 전파를 차단할 수 있습니다. 의료기관에서는 접촉주의 지침을 철저히 준수하고 직원 교육과 모니터링을 강화해야 합니다.
-
5. 혈액매개전파혈액매개전파는 혈액이나 체액에 오염된 날카로운 기구 사용, 주사 등을 통해 전파되는 감염병에 대한 감염관리 원칙입니다. 이는 B형 간염, C형 간염, HIV 등의 감염 관리에 중요합니다. 혈액매개전파 예방을 위해서는 안전한 주사 기술, 날카로운 기구 취급 시 주의, 개인보호장비 착용 등의 조치가 필요합니다. 의료기관에서는 혈액매개전파 예방을 위한 지침을 마련하고 직원 교육과 모니터링을 강화해야 합니다.
-
6. 손위생손위생은 감염관리의 가장 기본이 되는 원칙입니다. 손은 병원체 전파의 주요 경로이므로, 적절한 손위생 수행은 의료관련감염을 예방하는 데 필수적입니다. 손위생 지침에 따르면 물과 비누로 손을 씻거나 알코올 손소독제를 사용하는 등의 방법으로 손위생을 수행해야 합니다. 의료기관에서는 손위생 수행을 모니터링하고 직원 교육을 강화하여 손위생 준수율을 높여야 합니다. 이를 통해 의료관련감염을 효과적으로 예방할 수 있습니다.
전파경로별 감염병 관리 (표준주의, 공기주의, 비말주의, 접촉주의, 혈액매개전파, 손위생시점)
본 내용은 원문 자료의 일부 인용된 것입니다.
2023.02.15
-
감염관리 교육1. 손위생 손위생은 병원균 전파 차단을 위한 가장 효과적인 방법입니다. 올바른 손씻기로 질병을 예방할 수 있습니다. 손에 존재하는 미생물 수가 많아 손위생의 중요성이 강조되고 있습니다. 손위생 방법으로는 물과 비누 이용과 알코올젤 이용이 있으며, 손위생이 필요한 5가지 시점이 있습니다. 장갑 착용만으로는 손위생을 대체할 수 없으므로 장갑 착용 시에도 손위...2025.01.16 · 보건
-
표준주의와 전파경로별 주의(공기, 비말, 접촉) 정리 및 COVID1. 표준주의 병원에 입원한 모든 환자를 대상으로 혈액, 체액, 분비물(땀은 제외), 배설물, 손상된 피부와 점막을 다룰 때 적용한다. 이는 확인되거나 확인되지 않은 미생물의 전파위험을 감소하기 위해 적용한다. 장갑을 착용하고 장갑 착용 전후 손을 씻는다. 필요시 마스크, 보안경, 얼굴 가리개, 가운 등을 착용한다. 오염된 기구나 린넨은 미생물이 타인과 환...2025.05.04 · 보건
-
간호학과) 격리주의 보고서1. 격리주의 격리는 감염자나 보균자 또는 감염이 의심되는 환자로부터 다른 환자나 직원이 감염되거나 미생물이 전파되는 것을 예방하여 환자, 보호자, 직원, 방문객 및 환경을 보호하는 조치입니다. 표준주의와 전파경로별 주의 지침을 적용하며, 넓은 의미에서는 감염의 전파를 차단하는 모든 방법을 포함합니다. 일반격리는 병원체를 제한하여 전파를 줄이는 것이고, 보...2025.05.01 · 의학/약학
-
병원_전직원 감염관리 교육_감염관리실1. 감염관리 교육 전직원을 대상으로 한 감염관리 교육이 감염관리실에서 진행되었습니다. 이 교육에서는 병원 내 감염 전파 경로, 손 위생의 중요성, 전파경로별 격리 주의 및 보호구 착용, 의료기관 세탁물 관리, 의료 폐기물 관리 등 다양한 감염관리 관련 내용이 다루어졌습니다. 2. 감염 전파 경로 감염원은 다양한 경로로 전파될 수 있습니다. 환자, 직원, ...2025.01.15 · 보건
-
감염예방과 관리1. 표준감염관리와 관리지침 병원에 있는 모든 대상자에게 적용되는 표준감염관리 지침에는 손씻기, 장갑 착용, 마스크/보안경/가운 착용, 간호물품 관리, 환경통제, 린넨류 관리, 의료기구 관리, 병실 관리 등이 포함된다. 2. 감염의 유형 감염의 유형에는 집락화, 국소감염, 전신감염, 급성감염, 만성감염 등이 있다. 이러한 감염의 유형에 따라 적절한 관리가 ...2025.01.15 · 의학/약학
-
감염관리, 손위생, 기침예절, 격리지침, 환경관리1. 감염의 역학적 특성과 전파방법 감염원, 숙주, 전파경로 등 감염의 역학적 특성과 전파방법에 대해 설명하고 있습니다. 감염병이란 병원체가 숙주인 사람, 동물 등에 침입하여 증식하는 상태를 말하며, 혈액, 공기, 물과 음식, 기도 분비물, 분변, 피부 상처 등 다양한 경로로 전파될 수 있습니다. 2. 손 위생 손 위생의 필요성, 손의 미생물, 손을 통한 ...2025.01.15 · 보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