성인간호학 간염 간호사정.진단.계획.
본 내용은
"
성인간호학 간염 간호사정.진단.계획.
"
의 원문 자료에서 일부 인용된 것입니다.
2023.02.13
문서 내 토픽
  • 1. A형 간염 간호중재
    A형 간염 환자의 간호중재로는 타인과 음식을 공유하며 먹는 것의 위험성 설명, 개인 접시 사용 교육, 성접촉 자제 교육, 손위생의 중요성 교육, 오염된 음식 섭취 주의 교육 등이 포함됩니다. 또한 검사로는 IgM anti-HAV 항체, WBC, PT, ALT, AST, ALP, γ-GT, LDH, HAV, 총 빌리루빈, INR, BUN 등을 확인합니다.
  • 2. B형 간염 간호중재
    B형 간염 환자의 간호중재로는 날 것의 음식 섭취 자제, 과도한 음주 자제, 규칙적인 약물 복용, 파트너와의 성접촉 시 콘돔 사용, 스트레스 대처 기전 사정 등이 포함됩니다. 검사로는 Hb, Hct, HBsAg, Anti-HBs, LDH, HBV, HBeAg, HBcAb IgM, 총 빌리루빈, INR, ALT, AST, BUN, A/G ratio, PT, AFP 등을 확인합니다.
  • 3. C형 간염 간호중재
    C형 간염 환자의 간호중재로는 C형 간염 면역글로불린 주사, 주사기 뚜껑 끼우지 않고 버리기, 혈액 오염 기구 다룰 때 보호장구 착용, 4-6개월 후 HCV 항체 검사, 손위생 교육 등이 포함됩니다. 검사로는 WBC, HCV-RNA, anti-HCV, ALT, AST, ALP, RIBA, PT, Albumin 등을 확인합니다.
Easy AI와 토픽 톺아보기
  • 1. A형 간염 간호중재
    A형 간염은 간염 바이러스에 의해 발생하는 급성 간 질환으로, 주로 오염된 음식이나 물을 통해 전파됩니다. 간호중재에 있어서는 환자의 증상 관리, 합병증 예방, 그리고 전파 방지가 중요합니다. 증상 관리를 위해 충분한 휴식과 수분 섭취, 간 기능 검사 등이 필요하며, 합병증 예방을 위해 간 기능 모니터링과 적절한 약물 투여가 필요합니다. 또한 환자 및 가족 교육을 통해 전파 방지를 위한 개인위생 관리와 격리 조치 등을 강조해야 합니다. 이를 통해 A형 간염 환자의 건강 회복과 합병증 예방, 그리고 질병 전파 방지를 도모할 수 있을 것입니다.
  • 2. B형 간염 간호중재
    B형 간염은 B형 간염 바이러스에 의해 발생하는 만성 간 질환으로, 주로 혈액이나 체액을 통해 전파됩니다. 간호중재에 있어서는 증상 관리, 합병증 예방, 그리고 전파 방지가 중요합니다. 증상 관리를 위해 피로감 및 식욕 부진 등의 증상을 완화하고, 정기적인 간 기능 검사와 약물 투여를 통해 간 손상을 최소화해야 합니다. 합병증 예방을 위해 간경변증이나 간암 등의 발생을 모니터링하고, 필요 시 적절한 치료를 받을 수 있도록 해야 합니다. 또한 환자 및 가족 교육을 통해 전파 방지를 위한 개인위생 관리와 혈액 및 체액 접촉 주의 등을 강조해야 합니다. 이를 통해 B형 간염 환자의 건강 관리와 합병증 예방, 그리고 질병 전파 방지를 도모할 수 있을 것입니다.
  • 3. C형 간염 간호중재
    C형 간염은 C형 간염 바이러스에 의해 발생하는 만성 간 질환으로, 주로 혈액을 통해 전파됩니다. 간호중재에 있어서는 증상 관리, 합병증 예방, 그리고 전파 방지가 중요합니다. 증상 관리를 위해 피로감, 식욕 부진, 우울증 등의 증상을 완화하고, 정기적인 간 기능 검사와 약물 투여를 통해 간 손상을 최소화해야 합니다. 합병증 예방을 위해 간경변증이나 간암 등의 발생을 모니터링하고, 필요 시 적절한 치료를 받을 수 있도록 해야 합니다. 또한 환자 및 가족 교육을 통해 전파 방지를 위한 개인위생 관리와 혈액 접촉 주의 등을 강조해야 합니다. 최근에는 C형 간염에 대한 새로운 치료법이 개발되어 완치율이 높아지고 있어, 이를 적극적으로 활용하여 환자의 건강 회복과 합병증 예방, 그리고 질병 전파 방지를 도모할 수 있을 것입니다.
주제 연관 토픽을 확인해 보세요!
주제 연관 리포트도 확인해 보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