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A+] 중앙대학교 전기회로 설계실습 결과보고서 12. 수동소자의 고주파특성측정방법의 설계
본 내용은
"
[A+] 중앙대학교 전기회로 설계실습 결과보고서 12. 수동소자의 고주파특성측정방법의 설계
"
의 원문 자료에서 일부 인용된 것입니다.
2023.02.09
문서 내 토픽
-
1. RC 직렬 회로의 고주파 특성RC 직렬 회로는 약 13 [MHz]부터 파형이 불안정해서 정확한 측정이 이루어지지 않았으므로 그 이상의 데이터는 무의미하다고 판단했다. 약 1 [MHz]까지는 이론값과 비슷한 전달함수의 특성을 보이는데, 그 이상의 고주파에서는 커패시터 소자 내의 인덕터 성분에 의해 전달함수의 특성이 달라지는 것을 그래프를 통해 확인할 수 있다. 약 10 [MHz]에서 전달함수의 크기가 가장 작아져서 이 부분이 커패시터가 확실히 인덕터처럼 행동하는 부분이라고 생각한다.
-
2. RL 직렬 회로의 고주파 특성RL 직렬 회로는 실험에서 사용한 인덕터가 저항과 커패시터 성분이 존재해서 RC 회로 실험 보다 낮은 500 [kHz]에서부터 파형이 불안정했고, 출력 전압의 크기가 매우 작아서 정확한 측정이 어려웠기 때문에 그 이상의 데이터는 무의미하다고 판단했다. 약 100 [kHz]에서 이론적인 전달함수의 크기는 감소하지만, 측정값은 증가하는 것을 확인할 수 있다. 측정값이 최대인 120 [kHz]가 인덕터 내의 커패시터 성분의 영향이 제일 큰 즉, 인덕터가 확실히 커패시터처럼 행동하는 부분이라고 생각한다.
-
3. 수동소자의 등가회로커패시터의 등가회로는 커패시터와 인덕터가 직렬로 연결되어 있는데, 실험을 통해 이러한 등가회로의 타당성을 확인할 수 있었다. 인덕터의 등가회로는 커패시터가 인덕터와 병렬로 연결되어 있는데, 실험을 통해 이러한 등가회로의 타당성을 확인할 수 있었다.
-
1. RC 직렬 회로의 고주파 특성RC 직렬 회로는 고주파 영역에서 커패시터의 리액턴스가 낮아져 전류가 주로 커패시터를 통해 흐르게 됩니다. 이로 인해 저항의 영향이 감소하고 회로의 주파수 특성이 커패시터에 의해 지배됩니다. 즉, RC 직렬 회로는 고주파 영역에서 저역통과 필터 특성을 나타내게 됩니다. 이러한 특성은 고주파 신호 처리, 전자 필터 설계 등 다양한 분야에서 활용됩니다.
-
2. RL 직렬 회로의 고주파 특성RL 직렬 회로는 고주파 영역에서 인덕터의 리액턴스가 증가하여 전류가 주로 인덕터를 통해 흐르게 됩니다. 이로 인해 저항의 영향이 감소하고 회로의 주파수 특성이 인덕터에 의해 지배됩니다. 즉, RL 직렬 회로는 고주파 영역에서 고역통과 필터 특성을 나타내게 됩니다. 이러한 특성은 고주파 신호 처리, 전자 필터 설계, 전력 전자 회로 등 다양한 분야에서 활용됩니다.
-
3. 수동소자의 등가회로수동소자의 등가회로는 실제 소자의 동작을 모델링하여 회로 분석과 설계에 활용할 수 있게 해줍니다. 저항의 경우 순수한 저항 성분으로 모델링할 수 있지만, 커패시터와 인덕터는 주파수 의존적인 특성을 가지므로 이를 반영한 등가회로가 필요합니다. 예를 들어 커패시터는 직렬 RC 회로, 인덕터는 직렬 RL 회로로 모델링할 수 있습니다. 이러한 등가회로 모델링은 전자회로 설계, 신호 처리, 전자기 해석 등 다양한 분야에서 중요한 역할을 합니다.
-
중앙대학교 전기회로설계실습 설계실습 12. 수동소자의 고주파특성측정방법의 설계 A+ 결과보고서 7페이지
1. 설계실습 결과요약 : 고주파에서 커패시터와 인덕터의 임피던스의 특성에 대해 학습하였다. 각각 RC, LC 회 로에서 전달함수의 크기와 위상차를 측정하여 그래프로 나타내었으며, 커패시터와 인덕터가 고주파에서는 등가회로의 인덕터와 커패시터의 영향을 많이 받는다는 것을 실험을 통하여 알 게 되었다. 2. 서론 소자들의 값은 단순히 소자를 통해 흐르는 전류에서만 결정되는 것이 아니라, 온도, 주파수에 의해서도 크게 달라진다. 따라서 넓은 주파수에서 각 소자들의 특성이 변하게 되면, 원인을 정 확하게 파악해야한다. 이번 ...2022.09.15· 7페이지 -
[A+]설계실습 12. 수동소자의 고주파 특성 측정 방법의 설계 결과보고서 중앙대 전기회로설계실습 8페이지
낮은 주파수 100Hz에서 저항은 FG보다 크기도 작고, 위상도 lagging 하였지만, 주파수가 증가함에 따라 위상차가 점점 줄어들고 전압의 크기도 커져서 1kHz에서는 함수발생기의 신호와 위상 차도 전혀 없고, Vpp=2.11V로 동일한 값을 가진다. 1MHz에서 저항의 위상이 leading하고 전압의 크기가 작아지더니, 더 주파수를 높일수록 위상차와 전압크기 차이가 커졌다.이 실험에서 RC 회로의 전달함수를 살펴보면, H(ω)=V_0/V_i =R/(R+1/jωC)=jωRC/(1+jωRC)주파수에 따른 전달함수의 크기는|H(ω)...2021.09.12· 8페이지 -
[중앙대학교 전기회로설계실습] A+ 결과보고서 12. 수동소자의 고주파특성측정방법의 설계 4페이지
1. 서론이 실험은 저항, 커패시터, 인덕터의 고주파 특성을 측정하는 회로를 설계하고 실험을 통하여 등가회로를 이해하며 이들 소자들이 넓은 주파수 영역에서 어떻게 동작하는지 실험적으로 이해하는데에 목적이 있다.3. 결론이번 실습을 통해 저항, 커패시터, 인덕터의 고주파 특성을 측정하는 회로를 설계하고 실험을 통하여 등가회로를 이해하며 이들 소자들이 넓은 주파수 영역에서 어떻게 동작하는지 실험적으로 이해해볼 수 있었다. transfer function 전달함수를 오실로스코프에서 바로 확인할 수 없어 입력 전압의 Vpp와 측정하고자 하...2023.03.13· 4페이지 -
A+ 2021 중앙대학교 전기회로설계실습 결과보고서 12 수동소자의 고주파 특성 측정방법의 설계 4페이지
설계실습 12. 수동소자의 고주파특성측정방법의 설계1. 서론저항, 커패시터, 인덕터의 고주파 특성을 측정하는 회로를 설계하고 실험을 통하여 등가회로를 이해하며 이들 소자들이 넓은 주파수 영역에서 어떻게 동작하는지 실험적으로 이해한다.2. 설계 실습 결과4.1R = 10 ㏀, C = 100 nF가 직렬로 연결된 회로의 주파수 응답을 측정한다. 먼저 R을 정확히 측정하여 기록하라. 입력을 2 V(peak to peak) 사인파로 하고 주파수를 100 Hz에서 FG의 최대주파수까지 높이면서 R의 전압을 출력으로 하여 transfer fu...2022.09.01· 4페이지 -
[A+]중앙대 전기회로설계실습 결과보고서12 수동소자의 고주파특성측정방법의 설계 7페이지
전기회로 설계 실습결과 보고서실습 12. 수동소자의 고주파특성측정방법의 설계조2조학 과전자전기공학부학 번이 름담당 교수실험일2019.11.18제출일2019.11.25요약 : RC, RL 직렬회로를 구성하여 고주파에서의 특성을 알아보고 그 변화를 찾아내는 실험이다. 이론에 따르면 RC회로는 주파수가 커지면서 감소함수가 될수 없고 RL회로는 주파수가 커지면서 증가함수가 될 수 없다. 하지만 실제 회로에서는 고주파에서 캐패시터는 인덕터로, 인덕터는 캐패시터로 동작하여 이론과는 전혀 다른 특성을 보인다. 실습실의 Function Gener...2020.09.16· 7페이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