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총 147개
-
RC, RL 회로응답2025.05.161. RC 직렬 회로 RC가 직렬로 연결된 1차 회로이며, 1차 미분 방정식을 통해 해석 가능합니다. 자연(방전) 응답은 V0가 t=0일 때 커패시터 전압 Vc(0)이고 회로의 시정수는 RC입니다. 시정수는 전압이 저항 손실에 의해 감쇠하는 비율을 나타냅니다. 계단 응답(충전)은 Vf가 응답의 최종 값으로 정상 상태 응답입니다. 시정수는 자연 응답에서와 동일한 방식으로 계단 응답에 영향을 미칩니다. 계단 응답의 시정수는 최종 값(Vf)의 63.22%에 도달하는데 걸린 시간을 측정합니다. 2. RC 직렬 회로 실험 실험 1에서는 R1...2025.05.16
-
RC, RL 미적분 회로_결과레포트2024.12.311. RC 미분 회로 RC 미분 회로에서는 출력전압이 입력전압의 미분값에 비례함을 확인할 수 있었습니다. 저항 값을 변화시키며 실험한 결과, 저항 값이 작을수록 출력 파형이 더 뚜렷하게 나타났습니다. 이는 RC 회로의 특성상 저항 값이 작을수록 미분 효과가 더 크게 나타나기 때문입니다. 2. RL 적분 회로 RL 적분 회로에서는 출력전압이 입력전압의 적분값에 비례함을 확인할 수 있었습니다. 저항 값을 변화시키며 실험한 결과, 저항 값이 클수록 출력 파형이 더 뚜렷하게 나타났습니다. 이는 RL 회로의 특성상 저항 값이 클수록 적분 효...2024.12.31
-
RL회로 내 유도 법칙 적용2025.04.281. RL회로에서의 유도전류의 흐름 RL회로에서 기전력을 연결하면 축전기의 전하가 지수함수적 형태로 표현됩니다. 유도기(L)가 있을 경우 전류가 서서히 증가하거나 감소하며, 유도기의 존재로 인해 전류는 평형값인 xi/R보다 작습니다. 시간이 지남에 따라 회로에 흐르는 전류는 xi/R에 수렴합니다. 2. RL회로에서의 고리 규칙 적용 RL회로에서 스위치 S를 a에 연결하면 전류가 시계 방향으로 흐르게 됩니다. 전류가 저항기(R)를 통과할 때 -iR의 퍼텐셜 변화가 생기며, 유도기(L)를 지날 경우 자체 유도기전력(xi_L)이 생겨 전...2025.04.28
-
RL회로에서의 유도 법칙 적용2025.04.281. RL회로에서의 유도전류의 흐름 RL회로에서 기전력을 연결하면 축전기의 전하가 지수함수적으로 나타나며, 유도기 L이 있을 경우 전류가 서서히 증가하거나 감소한다. 유도기는 전류의 변화를 방해하다가 시간이 지나면 일반 도선처럼 작용한다. 2. RL회로에서의 고리 규칙 적용 RL회로에서 고리 규칙을 적용하면 -iR - L(di/dt) + xi = 0의 식을 도출할 수 있다. 이때 저항기를 통과할 때는 -iR의 퍼텐셜 변화가, 유도기를 지날 때는 자체 유도 기전력 xi_L이 생겨 전류의 흐름을 방해한다. 3. RC회로 내 이차 미분방...2025.04.28
-
전기전자개론 실험보고서 교류신호와 인덕터 RL회로 특성2025.05.041. 인덕터(코일)의 기초 코일(Inductor)은 동선과 같은 선재를 나선모양으로 감은 것으로, 전류 변화에 비례하여 유도전압을 발생시키는 수동 소자입니다. Faraday의 전자기 유도 법칙에 따르면 코일에 유도되는 전압의 크기는 코일에 대한 자기장의 변화율에 비례하며, Lenz의 법칙에 따르면 코일에서 유도전압의 극성은 항상 전류의 변화에 반대입니다. 인덕턴스(L)는 코일에 흐르는 전류의 변화에 대하여 유도전압을 만들어 전류의 변화를 억제하는 성질을 나타내며, 단위는 헨리(H)입니다. 2. 인덕터의 종류 인덕터는 용량에 따라 고...2025.05.04
-
RC,RL,RLC회로의 과도상태와 정상상태2025.05.011. RC,RL,RLC회로의 과도상태 RC,RL,RLC회로에서 전원이 켜질 경우 과도상태가 발생합니다. 인덕터와 커패시터에 에너지가 저장되다가 시간이 지나면 인덕터의 역기전력이 무의미해져 쇼트되고, 커패시터의 분극이 포화상태에 이르러 전기장의 형태로 에너지가 저장되어 회로가 개방됩니다. 따라서 전류가 흐르지 않는 회로가 됩니다. 2. RC,RL,RLC회로의 정상상태 RC,RL,RLC회로에 10V AC가 공급되면 축전기와 인덕터가 교류 전원에 의해 저항의 성질을 가지게 됩니다. 이를 각각 용량리액턴스와 유도리액턴스라고 합니다. 이러한...2025.05.01
-
RL회로의 시정수 측정회로 및 방법설계2025.05.151. RL 회로의 시정수 측정 실험을 통해 10mH 인덕터의 시정수를 측정하였다. DMM을 통해 인덕터의 저항을 26.9Ω으로 측정하였고, 1KΩ의 가변저항을 사용하여 10us의 시정수를 갖는 RL 회로를 구성하였다. 오실로스코프를 통해 측정한 결과, 시정수가 8us로 나타났는데, 이는 이론값과 약 20% 정도의 오차가 있었다. 오차의 원인으로는 가변저항과 인덕터의 오차, 측정 과정에서의 오차 등이 있었다. 2. 입력 전압의 OFFSET 및 크기 변화에 따른 영향 입력 전압의 OFFSET을 제거하고 크기를 5V로 증가시켜 실험을 반...2025.05.15
-
RC, RL 미적분 회로 예비 보고서2024.12.311. 커패시터의 전류-전압 특성 커패시터는 두 도체판 사이에 유전체를 두어 전하를 축적할 수 있는 소자입니다. 커패시터에 전압이 가해지면 전하가 축적되어 지수 함수적으로 전압이 증가하며, 방전 시에는 지수 함수적으로 전압이 감소합니다. 커패시터의 전류는 전압의 미분값에 비례합니다. 2. 인덕터의 전류-전압 특성 인덕터는 철심에 절연된 도체를 나선형으로 감은 소자로, 전압과 전류의 관계가 커패시터와 반대입니다. 인덕터에 전압이 가해지면 전류가 지수 함수적으로 증가하며, 전압이 제거되면 전류가 지수 함수적으로 감소합니다. 인덕터의 전압...2024.12.31
-
RC,RL회로 시정수 & RLC 직렬회로 과도특성 결과보고서2025.01.121. RC회로 시정수 RC회로에서 입력 구형파를 채널 1에 연결하고 커패시터의 출력파형을 채널 2에 연결하여 비교한 결과, 커패시터 값을 변화시키면서 시정수 값을 실험값과 이론값을 비교하였다. 실험값과 이론값의 오차가 없었다. 2. RL회로 시정수 RL회로에서 입력 구형파와 인덕터의 전압 변화에 따른 출력파형을 비교하였다. 디지털 멀티미터로 인덕터에 흐르는 전류를 측정한 결과 1.37mA였다. 3. RLC 직렬회로 과도특성 RLC 직렬회로에서 입력 구형파와 각각의 저항, 인덕터, 커패시터의 출력 파형을 비교하였다. 저항의 출력 파형...2025.01.12
-
RC,RL회로 시정수 & RLC 직렬회로 과도특성 예비보고서2025.01.121. RC 회로 RC 회로에서는 무전압 상태의 고유응답 특성과 직류전압을 인가할 경우의 강제응답 특성을 시정수를 이용하여 분석한다. 고유응답은 무전원 상태에서 커패시터에 충전된 전압에 의해 나타나는 응답이며, 강제응답은 인가전원에 의해 정상적으로 나타나는 응답이다. 고유응답과 강제응답을 합하면 완전응답을 구할 수 있다. RC 회로의 시정수는 R과 C의 곱으로 계산할 수 있다. 2. RL 회로 RL 회로에서도 RC 회로와 마찬가지로 무전압 상태의 고유응답 특성과 직류전압을 인가할 경우의 강제응답 특성을 분석한다. 고유응답은 무전원 상...2025.01.1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