회계원리_대손충당금 잔액 100,000 있는 기업의 연속된 거래를 대손충당금설정법으로 회계처리하시오.
본 내용은
"
회계원리_대손충당금 잔액 100,000 있는 기업의 연속된 거래를 대손충당금설정법으로 회계처리하시오.
"
의 원문 자료에서 일부 인용된 것입니다.
2023.02.08
문서 내 토픽
  • 1. 재무상태표
    재무상태표는 일정한 시점에 있어서 현재 기업에서 가지고 있는 재무 상태를 보여주는 회계보고서로 차변에는 자산 그리고 대변에는 부채와 자본으로 구성되어 있고 기업의 활동에 있어서 필요한 자금을 어디서 얼마나 조달해서 투자했는지 등을 알 수 있도록 한다. 재무상태표는 정보를 이용하는 사람들이 기업의 유동성이나 재무적 탄력성 그리고 기업 자체의 수익서잉나 위험도 등을 평가하는 것에 유용한 정보를 제공하는 기본적 회계자료에 해당하고 상법으로는 기업에 대해서 의무적으로 작성하게 하고 있다.
  • 2. 대손충당금 설정
    2015년 말 매출채권 잔액 8,000,000원에 대하여 최수가능성을 검토한 결과 160,000의 대손이 예상된다. 이때 (차)에는 대손상각비인 60,000원에 해당하고 (대)에는 대손충당금으로 60,000원이다. 2016년 3.5 전기분 매출채권 중 140,000원이 대손되다. 이 경우에 (차)에 해당하는 대손충당금은 140,000원이며 (대)에 들어가는 매출채권은 140,000원이다. 2016년 7.5일 전기에 대손 처리된 매출채권 중에서 50,000원이 당좌예금계좌로 입금된다. 문제에 있어서는 당좌예금은 (차)로 50,000원이며 대손충당금이 (대)의 정답으로 50,000원이라는 답안을 구할 수 있다. 2016.9.20 매출채권 중에서 90,000원이 되손되다. 대손충당금이 (차)로 들어 갔을 때 수치를 70,000원으로 구할 수 있으며 동시에 매출채권은 (대)에 들어가는 수치고 90,000원이 된다. 2016.11.1 대손처리(2016.9.20)된 금액 중에 80,000원을 자기앞수표로 회수한다. 그렇다면 이때는 현금이 발생하게 되는데 현금의 80,000원은 (차)로 들어가면 대손충당금은 80,000원이라는 수치를 구할 수 있다. 2016년 말에 매출채권의 잔액 5,00,000에 대하여 회수가능성을 검토한 결과 80,000원의 대손이 예상되다. 설정 이전에 있어서 대손충당금의 잔액에 80,000원이라는 점에서 이후에 추가적인 설정이 필요하지 않음.
  • 3. 재무상태표 작성
    2016년도의 매출채권과 관련해서 부분 재무상태표, 손익계산서를 작성하시오. 부분손익계산서분류내용매출액X매출원가X매출총이익X대손상각비20,000영업이익X 재무상태표분류내용자산매출채권5,000,000대손충당금80,000
Easy AI와 토픽 톺아보기
  • 1. 재무상태표
    재무상태표는 기업의 재무 상황을 한눈에 파악할 수 있는 중요한 재무제표입니다. 이를 통해 기업의 자산, 부채, 자본 등의 구성과 규모를 확인할 수 있습니다. 재무상태표는 기업의 재무 건전성을 평가하는 데 핵심적인 역할을 하며, 투자자나 채권자들이 기업의 재무 상황을 판단하는 데 필수적인 정보를 제공합니다. 따라서 재무상태표 작성 시 자산과 부채, 자본 항목들을 정확히 기록하고 분류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또한 재무상태표 분석을 통해 기업의 유동성, 안정성, 수익성 등을 파악할 수 있어 경영 의사결정에 활용할 수 있습니다.
  • 2. 대손충당금 설정
    대손충당금은 기업이 고객에게 판매한 상품이나 제공한 용역에 대해 회수하지 못할 것으로 예상되는 금액을 추정하여 계상하는 것입니다. 이는 기업의 재무제표 상 자산 항목을 실제 회수 가능한 금액으로 조정하기 위한 것입니다. 대손충당금 설정은 기업의 신용 관리와 재무 건전성 유지에 매우 중요합니다. 과소 설정하면 재무제표의 신뢰성이 떨어지고, 과대 설정하면 당기 순이익이 감소하게 됩니다. 따라서 기업은 과거 대손 경험, 거래처의 신용도, 경기 전망 등을 종합적으로 고려하여 합리적인 수준의 대손충당금을 설정해야 합니다.
  • 3. 재무상태표 작성
    재무상태표 작성 시 가장 중요한 것은 자산, 부채, 자본 항목을 정확히 분류하고 평가하는 것입니다. 자산은 유동자산과 비유동자산으로, 부채는 유동부채와 비유동부채로 구분하여 기록해야 합니다. 또한 자본 항목에는 자본금, 자본잉여금, 이익잉여금 등이 포함됩니다. 재무상태표 작성 시 회계기준을 준수하여 각 항목을 적절히 평가하고 분류해야 합니다. 이를 통해 기업의 재무 상황을 정확히 파악할 수 있으며, 투자자나 채권자들에게 신뢰할 수 있는 재무정보를 제공할 수 있습니다. 재무상태표 작성 시 주의해야 할 점은 자산과 부채, 자본 간의 균형을 유지하는 것입니다.
주제 연관 토픽을 확인해 보세요!
주제 연관 리포트도 확인해 보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