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A+] 아동간호학 신생아 호흡곤란 증후군, RDS 케이스/ 간호과정 3개
문서 내 토픽
-
1. 신생아 호흡곤란 증후군신생아 호흡곤란 증후군은 폐의 발달이 완성되지 않은 미숙아에서 주로 발생하며, 폐표면활성제의 생성 또는 분비의 부족에 의해 가스 교환의 역할을 담당하는 폐포가 펴지지 않아 호흡 곤란이 발생하는 질환이다. 증상으로는 호흡이 빠르고, 신음소리를 내며, 콧구멍을 벌렁이면서 숨을 쉬려고 하는 것이 있으며, 심한 경우 청색증이 관찰된다. 치료로는 폐표면활성제 치료, 인공호흡기 치료, 비강 지속적 양압환기, 기타 보존적 치료 등이 있다.
-
2. 사례 요약김OO 아기는 생후 1일이 된 신생아로, 재태기간이 35주 6일인 미숙아이다. 조기 자연분만 하였고 체중은 2,120g이다. 출생 시 상태는 initial crying poor, activity moderate로 아프가 점수는 1분에 6점, 5분에 8점이었다. 현재 상태는 맥박 150회/분, 호흡 80회/분, 체온 36.7도, 혈압 68/42mmHg, SpO2 97%이다.
-
3. 간호과정 - 호흡보조근 사용과 관련된 비효율적 호흡양상간호진단: 호흡보조근 사용과 관련된 비효율적 호흡양상 간호계획: 장기목표는 퇴원 시까지 호흡곤란 증상을 보이지 않는 것이며, 단기목표는 1일 이내에 정상범위의 호흡수와 SpO2 유지, 2일 이내에 surfacten 투여 후 호흡보조근을 사용하지 않고 호흡하는 모습이 관찰되는 것이다. 간호중재로는 활력징후 및 SpO2 모니터링, 구강간호, CPAP 적용, surfacten 투여 등이 있다.
-
4. 간호과정 - 기저귀 발진과 관련된 피부통합성 장애간호진단: 기저귀 발진과 관련된 피부통합성 장애 간호계획: 장기목표는 1주일 이내에 둔부에 기저귀 발진 등의 피부 발진 증상이 나타나지 않는 것이며, 단기목표는 3일 이내에 rash가 0.5cm 이하로 감소하고 보호자가 피부발진 관리 방법을 2가지 이상 말할 수 있는 것이다. 간호중재로는 피부상태 사정, 기저귀 상태 확인, 발진 부위 공기 노출, 둔부 세정, 보호자 교육 등이 있다.
-
5. 간호과정 - 제대부위의 출혈, 부종, 열감과 관련된 감염 위험성간호진단: 제대부위의 출혈, 부종, 열감과 관련된 감염 위험성 간호계획: 장기목표는 퇴원 시까지 제대감염을 포함한 감염이 발생하지 않는 것이며, 단기목표는 3일 이내에 제대부위의 출혈, 부종, 열감이 사라지고 보호자가 위생 방법을 시범 보일 수 있는 것이다. 간호중재로는 활력징후 및 감염 지표 모니터링, 제대 간호 시 위생 유지, 제대부위 관찰 및 관리, 항생제 투여, 기저귀 관리, 보호자 교육 등이 있다.
-
1. 신생아 호흡곤란 증후군신생아 호흡곤란 증후군은 미숙아나 만삭아에게 발생할 수 있는 심각한 호흡기 질환으로, 폐 발달이 충분하지 않아 발생합니다. 이로 인해 산소 공급이 원활하지 않아 여러 합병증이 발생할 수 있습니다. 신생아 호흡곤란 증후군의 주요 증상으로는 빠르고 얕은 호흡, 코 벌렁거림, 청색증 등이 있습니다. 이러한 증상이 나타나면 신속한 진단과 치료가 필요합니다. 치료로는 산소 공급, 인공 폐 환기, 서로펙탄트 투여 등이 있습니다. 또한 예방을 위해 임신 중 스테로이드 투여, 조산 방지 등의 노력이 중요합니다. 신생아 호흡곤란 증후군은 적절한 치료와 관리를 통해 예후가 좋아질 수 있으므로, 의료진과 보호자의 긴밀한 협력이 필요할 것 같습니다.
-
2. 사례 요약제시된 사례는 신생아 호흡곤란 증후군을 겪고 있는 환아의 간호 과정을 보여주고 있습니다. 환아는 미숙아로 출생하여 호흡곤란, 청색증, 기저귀 발진 등의 증상을 보이고 있습니다. 이에 따라 의료진은 산소 공급, 인공 폐 환기, 피부 관리 등의 간호 중재를 시행하고 있습니다. 또한 감염 위험성, 비효율적 호흡양상, 피부통합성 장애 등의 간호진단을 내리고 이에 대한 간호 계획을 수립하고 있습니다. 이러한 사례는 신생아 호흡곤란 증후군 환아의 간호 과정을 잘 보여주고 있으며, 의료진의 체계적이고 전문적인 간호 중재의 중요성을 강조하고 있습니다.
-
3. 간호과정 - 호흡보조근 사용과 관련된 비효율적 호흡양상이 사례에서 환아는 호흡곤란으로 인해 호흡보조근을 사용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이는 비효율적 호흡양상의 간호진단으로 볼 수 있습니다. 이에 대한 간호중재로는 산소 공급, 인공 폐 환기, 체위 변경, 흡인 등이 필요할 것입니다. 또한 호흡 상태를 지속적으로 모니터링하고, 호흡 보조근 사용 정도를 관찰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이를 통해 환아의 호흡 상태를 개선하고 합병증을 예방할 수 있을 것입니다. 간호사는 환아의 호흡 상태를 면밀히 관찰하고, 의사와 협력하여 적절한 간호중재를 제공해야 할 것입니다.
-
4. 간호과정 - 기저귀 발진과 관련된 피부통합성 장애이 사례에서 환아는 기저귀 발진으로 인한 피부통합성 장애를 겪고 있습니다. 이는 신생아 호흡곤란 증후군으로 인한 합병증으로 볼 수 있습니다. 이에 대한 간호중재로는 피부 관리, 기저귀 교환 빈도 증가, 보습제 사용, 피부 보호 크림 도포 등이 필요할 것입니다. 또한 피부 상태를 지속적으로 관찰하고 기록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이를 통해 피부 상태 개선 및 감염 예방을 도모할 수 있을 것입니다. 간호사는 환아의 피부 상태를 면밀히 사정하고, 의사와 협력하여 적절한 간호중재를 제공해야 할 것입니다.
-
5. 간호과정 - 제대부위의 출혈, 부종, 열감과 관련된 감염 위험성이 사례에서 환아는 제대부위의 출혈, 부종, 열감으로 인한 감염 위험성을 겪고 있습니다. 이는 신생아 호흡곤란 증후군으로 인한 합병증으로 볼 수 있습니다. 이에 대한 간호중재로는 제대부위 관찰 및 관리, 항생제 투여, 체온 모니터링, 감염 징후 관찰 등이 필요할 것입니다. 또한 손 위생, 무균술 준수 등의 감염 예방 활동이 중요합니다. 이를 통해 감염 발생을 예방하고 조기에 발견하여 적절한 치료를 받을 수 있도록 해야 할 것입니다. 간호사는 환아의 제대부위 상태를 면밀히 사정하고, 의사와 협력하여 적절한 간호중재를 제공해야 할 것입니다.
[A+] 아동간호학 신생아 호흡곤란 증후군, RDS 케이스/ 간호과정 3개
본 내용은 원문 자료의 일부 인용된 것입니다.
2023.02.06
-
A+받은 아동간호학실습 CASE 신생아호흡곤란증후군 RDS_간호과정3개 20페이지
아동실습 신생아 호흡곤란 증후군 RDS CASE1. 질환 문헌고찰신생아 호흡곤란 증후군 RDS Respiratory Distress Syndrome of newborn1. 정의신생아 호흡곤란 증후군은 출생 직후 폐가 지속적으로 팽창하지 못하고 찌그러들어 출생 후 진행성 호흡부전이 생기는 병이다. 미숙아는 폐가 작고, 폐를 팽창하게 하는 물질인 폐 표면활성제의 생산과 분비가 부족하기 때문에 이 병이 발생할 위험성이 크다.2. 원인신생아 호흡곤란 증후군은 미숙아에게 발생할 가능성이 크다. 미숙아는 전신적으로 각 장기의 발달이 미숙하여 ...2024.03.14· 20페이지 -
아동간호학_신생아 호흡곤란증후군(RDS) 사례 간호과정 2개 19페이지
학년도 학기 아동간호학 과제사례를 이용한 간호과정 적용하기1. 사례고위험 신생아 Case Study (RDS)(1) 출생력?제태기간: 35 주 1일 ?성별: F?분만형태: Em-C/S(응급 제왕절개)?출생체중: 2210g ( 0.6 percentile). ?출생신장: 44 cm ( 0.3 percentile).?출생 두위: 30.5cm ( 0.2 percentile).?어머니 연령 : ( 31 )세, 아버지 연령 : 모름?APGAR 점수 : 1분 ( 9 )점, 5분 ( 10 )점.?출생 시 아기 상태 : 출생 이후 desaturat...2023.10.12· 19페이지 -
[A+ 자료] 아동간호학 Case Study RDS(신생아 호흡곤란증후군) 관련된 간호진단 14페이지
[A+ 자료] 아동간호학 Case StudyRDS(신생아 호흡곤란증후군) 관련된 간호진단목차? 건강 사정1. 전반적 사정2. 건강사정3. 건강문제4. 간호과정1) 수면중 무호흡으로 알 수 있는 미숙아 폐 기능 저하와 관련된비효율적 호흡양상2) 황달증상 및 높은 빌리루빈 수치로 알 수 있는 미성숙한 간기능과 관련된신생아 고빌리루빈혈증▣ 건강사정I. 전반적 사정[ 1 ] 출생력1. 출생 일시 : 2024.03.10 2. 성별 : M3. 재태 기간 : 27wks+34. 출생 시 신체 계측몸무게(g 및 percentile) : 970g 키...2025.02.07· 14페이지 -
NICU 아동간호학 RDS 간호진단 비효율적 호흡양상 7페이지
아동 건강간호학case studyⅠ. CASE 선택 동기 및 사례연구의 필요성대상자는 25+5wks로 740g로 태어난 preterm infant이다. 수선생님께서 대상자가 적용하고 있는 N-CPAP을 설명해주면서 대상자에게 관심이 갖게 되었으며 여전히 800g으로 작은 몸에 숨쉬는 것 조차 힘들어보이고 여러 기구를 달고 있는 모습이 안타까워 대상자로 선정하게 되었다.Ⅱ. PBL을 통한 간호사례유oo아기는 2020년 9월 28일 21:45 출생한 여환으로 25+5 weeks에 C/sec을 통해 출생하였고 이후 NICU로 입원하였다....2021.10.10· 7페이지 -
[NICU케이스]실습A+,혼을 갈아넣은 RDS, Apnea, 단일제대동맥 간호진단, 간호과정 엄청 자세한 케이스 17페이지
NICU학과:간호학과학번:00000000학년:0학년이름:000-목차-1. 질병에 대한 문헌고찰2. 인수인계3. 간호진단(7개, 정의 및 우선순위 설정한 사유)-- 기도흡인 위험성- 감염위험성- 피부 손상- 비효율적 호흡양상- 피부 통합성 장애의 위험- 돌봄 제공자의 불안- 욕창 위험성4. 간호과정(3개)- 기도흡인 위험성- 감염위험성- 피부 손상5. 대상자 사정양식(1) 기초자료A. 출생정보B. 건강력/과거력C. 영양상태 사정(2) 진단검사 및 치료과정-임상검사 및 진단적 검사 결과-특수검사-경구, 비경구 투약과 정맥 주입사례보고서...2023.11.01· 17페이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