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 여성간호학 조기진통(preterm labor) 케이스스터디
본 내용은
"
A+ 여성간호학 조기진통(preterm labor) 케이스스터디
"
의 원문 자료에서 일부 인용된 것입니다.
2023.01.30
문서 내 토픽
  • 1. 조기진통(preterm labor)
    대상자는 primi환자로 본원에서 정기적으로 산전 진찰 받고 있었다. 26wks+6일였던 2022년 7월 9일 금일 3시경부터 abd.pain 있어 종합병원 외래 방문하였다. Toco 상 Preterm labor pain 있어서 외래를 통해 입원하였다. 발병 원인은 정확하게 알 수 없다. 자궁 경부가 짧아지는 양상이 나타나고 있고, 현재는 2.2cm로 inner funneling이 있다. 아기가 내려온 것 같은 느낌을 호소하기도 하였지만 초음파 검사에서 자궁경부 개대가 나타나지는 않았다.
  • 2. 조기양막파열 의심
    또한 vaginal spotting있었고, "물처럼 뭐가 자꾸 흘러나와요."라고 해서 조기양막파열 의심하였으나 니트라진 검사와 Amnisure test에서 negative로 나왔다.
  • 3. 조산 예방 치료
    우선 조산을 예방하기 위해서 Bed Rest하고 있다. NST(무자극검사)도 매일 시행하고 있고, FHT는 145회/min, UC #3으로 측정되었다. 약물로는 자궁수축억제제인 Lavopa와 utrogestan을, 태아의 폐성숙을 위해 Dexamethasone을 투약하였고, H/D 1L 도 keep하고 있다. Lavopa 투여하니 하복부 통증과 배가 뭉치는 증상이 사라져 약물 stop하니 다시 통증 발생하여 Lavopa 100mg을 10gtts로 투여하고 있다.
  • 4. 산모 증상 관리
    두근거림과 가슴답답함 증상 있을 시 즉시 알리도록 교육하였다. V/S을 4hr마다 측정 중이고, BP 110/70mmHg, HR 94회/min, BT 36.5이다. Lavopa로 인해 HR가 다소 높은 경향을 보이고 있다.
Easy AI와 토픽 톺아보기
  • 1. 조기진통(preterm labor)
    조기진통은 임신 37주 미만에 자궁 수축이 시작되는 상태를 말합니다. 이는 산모와 태아에게 심각한 위험을 초래할 수 있으므로 신속한 진단과 적절한 치료가 필요합니다. 조기진통의 원인은 다양하며, 감염, 자궁 기형, 다태 임신, 자궁 경부 무력증 등이 있습니다. 조기진통이 의심되면 산모는 즉시 병원에 방문하여 전문의의 진찰을 받아야 합니다. 진단 후 진통 억제제, 스테로이드 투여, 감염 치료 등의 방법으로 조기진통을 지연시키고 태아의 성숙을 돕는 것이 중요합니다. 또한 산모의 안정과 휴식, 스트레스 관리 등의 보조 치료도 필요합니다. 조기진통에 대한 적극적인 대응과 관리로 산모와 태아의 건강을 지키는 것이 가장 중요합니다.
  • 2. 조기양막파열 의심
    조기양막파열은 임신 37주 미만에 양막이 파열되는 상태를 말합니다. 이는 태아와 산모에게 심각한 합병증을 초래할 수 있으므로 신속한 진단과 적절한 치료가 필요합니다. 조기양막파열의 원인은 감염, 외상, 자궁 기형 등 다양하며, 증상으로는 양수 누출, 자궁 수축, 질 출혈 등이 나타날 수 있습니다. 조기양막파열이 의심되면 산모는 즉시 병원에 방문하여 전문의의 진찰을 받아야 합니다. 진단 후 감염 예방을 위한 항생제 투여, 진통 억제, 스테로이드 투여 등의 치료가 이루어집니다. 또한 산모의 안정과 휴식, 감염 관리 등의 보조 치료도 필요합니다. 조기양막파열에 대한 적극적인 대응과 관리로 산모와 태아의 건강을 지키는 것이 가장 중요합니다.
  • 3. 조산 예방 치료
    조산 예방 치료는 임신 37주 미만에 출산을 막기 위한 다양한 방법을 말합니다. 이는 산모와 태아의 건강을 지키기 위해 매우 중요합니다. 조산 예방 치료에는 진통 억제제 투여, 스테로이드 투여, 항생제 투여, 자궁경부 봉합술 등이 있습니다. 진통 억제제는 자궁 수축을 억제하고, 스테로이드는 태아의 폐 성숙을 돕습니다. 항생제는 감염 예방을, 자궁경부 봉합술은 자궁경부 무력증 예방을 위해 사용됩니다. 이 외에도 산모의 안정과 휴식, 스트레스 관리, 영양 관리 등의 보조 치료도 중요합니다. 조산 예방 치료는 산모와 태아의 건강을 지키기 위해 필수적이며, 전문의와 긴밀한 상담을 통해 적절한 치료법을 선택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 4. 산모 증상 관리
    산모 증상 관리는 임신 기간 동안 발생할 수 있는 다양한 증상을 관리하는 것을 말합니다. 이는 산모와 태아의 건강을 지키기 위해 매우 중요합니다. 산모가 경험할 수 있는 증상에는 오심, 구토, 변비, 부종, 요통, 두통, 불면증 등이 있습니다. 이러한 증상은 임신 중 호르몬 변화, 자궁 확장, 체중 증가 등으로 인해 발생할 수 있습니다. 산모 증상 관리를 위해서는 전문의와의 상담을 통해 적절한 치료법을 선택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증상에 따라 약물 치료, 운동 요법, 식이 요법, 스트레스 관리 등의 방법을 활용할 수 있습니다. 또한 산모의 규칙적인 산전 관리와 건강한 생활 습관 유지도 중요합니다. 산모 증상 관리를 통해 산모와 태아의 건강을 지키는 것이 가장 중요합니다.
주제 연관 리포트도 확인해 보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