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화기록법과 평정척도법의 특징, 장단점 비교
본 내용은
"
일화기록법과 평정척도법의 특징, 장단점 기술하고, 두 관찰법의 공통성 또는 차이점을 비교하여 설명하시오.
"
의 원문 자료에서 일부 인용된 것입니다.
2023.01.26
문서 내 토픽
  • 1. 일화기록법
    일화기록법은 활동 중 특정 행동이나 태도의 변화를 있는 그대로 기술하는 방법으로, 관찰 당시 일어난 상황을 객관적으로 기록하는 것이 특징이다. 장점으로는 관찰에 집중할 수 있고 실시가 간편하며 시간이 많이 소요되지 않는다. 단점으로는 관찰자의 편견이 작용할 수 있고, 주변 상황을 충분히 기록하지 않아 연속성과 상황적 설명이 부족할 수 있다.
  • 2. 평정척도법
    평정척도법은 행동의 질이나 발생 빈도에 따라 점수를 부과하는 방법으로, 사전에 준비된 범주에 따라 특정 행동을 관찰하고 이를 수량화하여 기록한다. 장점으로는 사용이 편리하고 효율적이며 행동 변화에 대한 정보를 얻을 수 있다. 단점으로는 행동의 원인이나 전후 사정을 설명하기 어렵고, 관찰자의 편견이 개입될 수 있다.
  • 3. 일화기록법과 평정척도법의 차이점
    일화기록법은 서술형으로 고정된 양식 없이 사건의 전모를 기록하는 반면, 평정척도법은 약호식으로 사전에 준비된 양식에 기록한다. 일화기록법은 관찰 중 중요한 것을 바로 기록하지만, 평정척도법은 관찰 후 편리한 시간에 기록한다. 또한 일화기록법은 수량화가 어려운 반면, 평정척도법은 관찰 대상 간 비교가 가능하다.
Easy AI와 토픽 톺아보기
  • 1. 일화기록법
    일화기록법은 직원의 특정 행동이나 사건을 기록하는 방식으로, 직원의 장단점을 파악하는 데 유용합니다. 이 방법은 직원의 실제 행동을 관찰하고 기록하기 때문에 객관성이 높고, 직원의 장단점을 구체적으로 파악할 수 있습니다. 또한 직원의 행동 변화를 추적할 수 있어 성과 관리에도 도움이 됩니다. 다만 관찰자의 주관적 판단이 개입될 수 있고, 기록 내용이 편향될 수 있다는 단점이 있습니다. 따라서 일화기록법을 활용할 때는 관찰자의 편향성을 최소화하고 객관성을 유지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 2. 평정척도법
    평정척도법은 직원의 업무 수행 능력을 미리 정해진 척도에 따라 평가하는 방식입니다. 이 방법은 직원의 성과를 정량적으로 측정할 수 있어 객관성이 높고, 직원 간 비교가 용이합니다. 또한 직원에게 명확한 성과 기준을 제시할 수 있어 동기 부여에도 도움이 됩니다. 하지만 평가 기준이 너무 엄격하거나 모호할 경우 직원들의 불만이 발생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평정척도법을 활용할 때는 평가 기준을 명확히 설정하고, 직원들의 의견을 반영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 3. 일화기록법과 평정척도법의 차이점
    일화기록법과 평정척도법은 직원 평가 방식에서 차이가 있습니다. 일화기록법은 직원의 특정 행동이나 사건을 관찰하고 기록하는 방식이며, 평정척도법은 미리 정해진 척도에 따라 직원의 업무 수행 능력을 평가하는 방식입니다. 일화기록법은 직원의 장단점을 구체적으로 파악할 수 있지만 관찰자의 주관적 판단이 개입될 수 있습니다. 반면 평정척도법은 객관성이 높고 직원 간 비교가 용이하지만 평가 기준이 너무 엄격하거나 모호할 경우 직원들의 불만이 발생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두 가지 방법을 적절히 활용하여 직원 평가의 객관성과 구체성을 높이는 것이 중요합니다.
주제 연관 토픽을 확인해 보세요!
주제 연관 리포트도 확인해 보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