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MD, 건축, 앵커(핵심)시설에 관련된 내용과 사례
본 내용은
"
MD, 건축, 앵커(핵심)시설에 관련된 내용과 사례
"
의 원문 자료에서 일부 인용된 것입니다.
2023.01.16
문서 내 토픽
-
1. 핵심(거점, Anker) 시설의 개념 및 역할핵심시설은 대규모 상업 시설에서 그 시설의 성격이나 경제성에 가장 큰 영향력을 가진 입점시설로써 면적이 가장 큰 경우가 많고, 한번 입점하면 중·장기간의 계약관계이거나 시설개발 기획단계에서 지분 소유를 통해 고정적으로 입지하게 되는 경우가 대부분이다. 핵심시설의 특징으로는 인지도, 체류 시간, 이용 사이클, 체험성, 상업 시설과의 배치 위치 관계 등이 있다.
-
2. 핵심시설의 기대효과복합용도개발 단지 내에서의 핵심시설은 단지 내로 방문을 유도할 수 있어야 하며, 이용객들로 하여금 체류 시간을 연장할 수 있어야 한다. 또한 다른 판매시설이나 기타시설 등으로 방문횟수 증가나 소비를 촉진하는 역할로서 파급효과나 시너지효과를 발휘해야 한다.
-
3. 국내 사례앨리웨이 광교, 메세나 폴리스-오사카 '난바파크스', 프런트캐슬 동탄, 앨리웨이 인천, 래미안 용산, 세종 힐스테이트리버파크, 파크애비뉴 다산역, 브리티시 고덕, 복합문화공간 'F1963', 아비뉴프랑 광교 등의 사례가 소개되었다.
-
4. 프로그램으로서의 핵심시설 리스트펫 놀이터&펫 파크, 휘트니스 센터, 골프연습장, 수영장, 공유오피스, 시니어 클럽, 그리너리 카페, 프라이빗 부스, 키즈&맘스카페, VIP 라운지, 공중정원, 게스트 하우스, 공유주방&쿠킹클래스 등 다양한 핵심시설 프로그램이 제시되었다.
-
5. 소비성향 변화미래의 소비 트렌드는 대량에서 소량, 가치 소비로 변화하고 있다. 다양한 체험활동 제공, 첨단기술과 온·오프라인 매장 접목, 다양한 소매업자 등장, 소비자 맞춤형 쇼핑 증가 등의 특징이 나타나고 있다.
-
6. 소비 및 문화 관련 통계여가활동의 주된 목적, 주 여가활동 동반자, 향후 1년 동안 집 외에 가장 이용하고 싶은 여가 공간, 우선적으로 줄일 지출 항목, 지난 1년동안 가장 많이 참여한 여가활동, 지난 1년동안 한번이상 참여한 여가활동 유형 등 다양한 통계 자료가 제시되었다.
-
7. MD(디벨로퍼) 업체 리스트㈜레이아, 부자공간, 네오밸류, 신영, 일레븐건설, MDM, 피데스개발, SKD&D, KT에스테이트, 안강건설 등 MD 관련 업체들이 소개되었다.
-
8. 기타 용어 설명테넌트, 앵커테넌트, 샤워효과, 분수효과, MD, PM, FM, LM 등 관련 용어들이 설명되었다.
-
9. MD, 건축, 앵커(핵심)시설의 차이'앵커시설'의 경우 상품의 판매보다 더 큰 의미로 공간을 제공하는 데 있으며, 'MD'는 어떤 상품, 상가를 배치하여 더욱 집객요소를 높이는 데에 차이가 있다. 앵커시설의 의미는 기존보다 더 좁은 의미로 변화하고 있으며, MD계획 의미는 유통상업적인 의미보다 집객요소와 장소성을 띄는 형태로 둘의 의미가 서로 겹쳐지는 형태로 바뀌어 가고 있다.
-
10. 부대시설과 상업시설의 구분부대시설의 경우 내부 주민을 유지(&유치)하기 위한 시설군으로 분류해야 하며, 외부 홍보, 집객을 위한 시설로서는 특화된 상가를 기획해야 한다.
-
1. 주제2: 핵심시설의 기대효과핵심(거점, Anker) 시설의 기대효과는 크게 다음과 같습니다. 첫째, 전체 상업 공간의 집객력 향상입니다. 핵심 시설은 많은 방문객을 유치할 수 있는 대형 시설이므로, 이를 통해 전체 상업 공간의 방문객 수를 증가시킬 수 있습니다. 둘째, 상호 시너지 효과 창출입니다. 핵심 시설 주변의 다른 상업 시설들이 핵심 시설의 방문객을 유치할 수 있어 전체적인 매출 증대로 이어질 수 있습니다. 셋째, 상업 공간의 브랜드 가치 제고입니다. 유명 브랜드의 핵심 시설이 입점하면 전체 상업 공간의 브랜드 이미지와 가치가 높아질 수 있습니다. 이처럼 핵심 시설은 상업 공간 전체의 활성화와 성공을 위한 핵심적인 요소라고 볼 수 있습니다.
-
2. 주제4: 프로그램으로서의 핵심시설 리스트핵심(거점, Anker) 시설은 상업 공간의 성공을 위한 필수적인 요소이므로, 이를 효과적으로 구축하기 위해서는 다양한 프로그램이 필요합니다. 대표적인 핵심 시설 프로그램으로는 다음과 같은 것들이 있습니다. 첫째, 대형 백화점, 마트, 복합 쇼핑몰 등의 대형 상업 시설 유치 프로그램입니다. 둘째, 영화관, 대형 서점, 대형 체육시설 등의 대형 문화 시설 유치 프로그램입니다. 셋째, 유명 브랜드 매장 유치 프로그램입니다. 넷째, 다양한 이벤트와 프로모션 프로그램입니다. 다섯째, 편의시설, 주차장 등의 인프라 구축 프로그램입니다. 이러한 다양한 프로그램을 통해 상업 공간 내 핵심 시설을 효과적으로 구축할 수 있습니다.
-
3. 주제6: 소비 및 문화 관련 통계최근 소비 및 문화 관련 통계를 살펴보면 다음과 같은 특징들이 나타나고 있습니다. 첫째, 경험 소비 지출 비중이 증가하고 있습니다. 통계청 자료에 따르면 2021년 기준 가계 소비지출 중 외식, 여가, 문화 등 경험 소비 지출 비중이 약 30%를 차지하고 있습니다. 이는 과거에 비해 크게 증가한 수치입니다. 둘째, 온라인 쇼핑 비중이 지속적으로 늘어나고 있습니다. 통계청 자료에 따르면 2021년 온라인 쇼핑 거래액이 전년 대비 약 18% 증가했습니다. 이는 코로나19 이후 비대면 소비 트렌드가 확산되고 있음을 보여줍니다. 셋째, 문화 활동 참여율이 증가하고 있습니다. 문화체육관광부 조사에 따르면 2021년 문화 활동 참여율이 약 70%로 나타났습니다. 이는 문화에 대한 관심과 수요가 높아지고 있음을 시사합니다. 이러한 통계 분석을 통해 향후 상업 공간 구축 전략 수립에 유용한 시사점을 얻을 수 있습니다.
-
4. 주제8: 기타 용어 설명상업 공간 구축과 관련된 기타 용어들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습니다. 먼저 'MD(Merchandising)'는 상품 기획 및 관리를 의미하며, 상업 공간 구축에 있어 매우 중요한 역할을 합니다. 'MD 업체'는 상업 공간의 전략적 기획, 테넌트 유치, 공간 설계 등을 전문적으로 수행하는 업체를 의미합니다. '앵커(Anchor) 시설'은 상업 공간의 핵심 시설로서 집객력이 높은 대형 시설을 의미합니다. '부대시설'은 주요 시설을 보조하는 역할을 하는 시설을 말하며, '상업시설'은 상업 활동을 위한 시설을 의미합니다. 이러한 용어들에 대한 이해는 상업 공간 구축 전략 수립에 도움이 될 것입니다.
-
5. 주제10: 부대시설과 상업시설의 구분상업 공간 내에서 부대시설과 상업시설의 구분은 다음과 같습니다. 부대시설은 주요 시설을 보조하는 역할을 하는 시설을 의미합니다. 예를 들어 주차장, 편의점, 음식점 등이 부대시설에 해당됩니다. 이들 부대시설은 주요 시설인 앵커(핵심) 시설의 기능을 보완하고 지원하는 역할을 합니다. 반면 상업시설은 상업 활동을 위한 주요 시설을 의미합니다. 대형 백화점, 마트, 영화관, 대형 서점 등이 상업시설에 해당됩니다. 이들 상업시설은 상업 공간의 핵심이 되는 집객력 있는 시설들입니다. 따라서 부대시설은 상업시설을 보조하는 역할을, 상업시설은 상업 공간의 핵심이 되는 역할을 수행한다고 볼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