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말초신경손상
본 내용은
"
말초신경손상
"
의 원문 자료에서 일부 인용된 것입니다.
2023.01.16
문서 내 토픽
-
1. 말초신경손상의 개요 및 정의말초신경은 뇌와 척수의 중추신경계에서 말초의 근육, 관절, 뼈대계에 연결되어진 감각신경과 운동신경으로 구성되어 있다. 말초신경손상은 말초신경을 구성하고 있는 말이집(myelin sheath)과 축삭(axon)의 병변으로 발생하며, 물리적 외상, 염증 질환, 대사 장애 등으로 인해 발생한다. 말초신경손상은 완전히 절단되지 않았다면 다시 재생될 수 있다.
-
2. 말초신경의 구조와 기능말초신경계는 중추신경계(CNS)와 기능에 따라(체성신경, 자율신경), 위치에 따라(뇌신경, 척수신경) 구분된다. 신경조직은 신경세포(신경세포체, 가지돌기, 축삭)와 신경아교세포(지지조직, 식작용, 영양세포)로 구성되어 있다. 신경세포는 전도체 세포로서 전기화학적 신경 자극을 전달하며, 신경아교세포는 대사적, 물리적으로 지지해 주거나 보호하는 기능을 한다. 신경섬유는 말이집 신경과 민말이집 신경으로 구분되며, 신경막(신경섬유막, 신경다발막, 신경바깥막)이 신경조직을 보호한다.
-
3. 말초신경손상의 변성 및 재생말초신경손상에 따른 변성에는 부분변성, 완전변성, 절대변성이 있다. 변성의 경과는 초기(손상 후 10-14일), 완전 변성기(2주 이후), 말기(수의적 근수축 기능 및 전기 반응 회복 또는 절대변성)로 나뉜다. 왈러 변성, 역행 변성, 연접횡단 변성 등의 변성 유형이 있다. 신경 재생은 축삭의 재생 속도가 하루 1-4mm, 한 달 약 1 inch로 초기에 빠르게 일어나며, 연령이 어릴수록, 신경말단부와 손상부위와의 거리가 짧을수록 예후가 좋다.
-
4. 말초신경손상의 분류 및 구분말초신경손상의 병리적 소견에 따라 왈러변성, 축삭변성, 신경병, 말이집병으로 구분된다. 손상의 정도에 따라 세돈 분류(신경차단, 축삭절단, 신경절단)와 선더랜드 분류(1-5등급)로 나뉜다. 신경차단은 일시적 전도장애, 축삭절단은 축삭 절단과 왈러변성, 신경절단은 신경섬유와 섬유를 싸고 있는 모든 막이 단절된 손상이다. 선더랜드 분류는 손상 정도에 따라 1-5등급으로 구분된다.
-
5. 말초신경손상의 임상양상말초신경손상의 임상양상으로는 감각장애, 운동장애, 자율신경장애 등이 나타난다. 신경전도속도검사, 근전도검사, 신경자극검사, 피부저항검사, 티넬징징후, 발한검사, 주름검사 등의 진단평가가 이루어진다.
-
6. 말초신경손상의 중재말초신경손상의 중재로는 운동치료(관절가동범위운동, 근력강화운동), 물리적 인자치료(전기자극), 보조도구 적용 등이 있다. 신경봉합술은 경미한 손상의 경우 1차 봉합, 창상치유 후 2차 봉합이 이루어진다.
-
1. 말초신경손상의 개요 및 정의말초신경손상은 신체 말초부위의 신경 손상을 의미합니다. 이는 다양한 원인으로 발생할 수 있으며, 감각 및 운동 기능 장애를 초래할 수 있습니다. 말초신경손상의 정의는 신경 손상의 위치, 정도, 원인 등에 따라 다양하게 정의될 수 있습니다. 말초신경손상은 외상, 압박, 염증, 대사성 질환 등 다양한 요인에 의해 발생할 수 있으며, 이에 따른 증상과 예후도 다양합니다. 따라서 말초신경손상의 정확한 진단과 원인 규명, 그리고 이에 따른 적절한 치료가 중요합니다.
-
2. 말초신경의 구조와 기능말초신경은 척수와 뇌에서 시작하여 전신으로 뻗어나가는 신경 구조물입니다. 말초신경은 운동신경과 감각신경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이들은 다시 신경섬유다발(fascicle)로 구성됩니다. 말초신경의 주요 기능은 중추신경계와 말초 장기 사이의 정보 전달입니다. 운동신경은 중추신경계에서 발생한 운동 명령을 근육으로 전달하여 움직임을 조절하고, 감각신경은 말초 장기에서 발생한 감각 정보를 중추신경계로 전달합니다. 이러한 말초신경의 구조와 기능을 이해하는 것은 말초신경손상의 병태생리와 증상 이해, 그리고 적절한 치료 방법 선택에 중요한 기반이 됩니다.
-
3. 말초신경손상의 변성 및 재생말초신경손상이 발생하면 신경섬유에서 다양한 변성 과정이 일어납니다. 신경섬유의 축삭이 손상되면 원위부에서 축삭 변성이 일어나고, 이에 따라 신경전달 기능이 소실됩니다. 또한 신경 섬유 내막의 슈반세포도 손상되어 신경 재생에 필요한 환경이 저하됩니다. 그러나 말초신경은 재생 능력이 있어, 적절한 치료와 환경이 제공되면 신경 재생이 가능합니다. 신경 재생 과정에서는 축삭 재생, 신경 섬유 재생, 신경 기능 회복 등이 일어나며, 이 과정은 매우 복잡하고 시간이 오래 걸립니다. 따라서 말초신경손상 환자의 치료에는 신경 재생 과정에 대한 이해와 함께 적절한 재활 치료가 필수적입니다.
-
4. 말초신경손상의 분류 및 구분말초신경손상은 다양한 기준에 따라 분류될 수 있습니다. 손상 부위에 따라 신경근, 신경총, 말초신경으로 구분할 수 있고, 손상 정도에 따라 신경 압박, 신경 부분 절단, 신경 완전 절단 등으로 구분할 수 있습니다. 또한 손상 원인에 따라 외상성, 압박성, 대사성, 염증성 등으로 구분할 수 있습니다. 이러한 분류는 말초신경손상의 병태생리, 증상, 예후 등을 이해하고 적절한 치료 방법을 선택하는 데 도움이 됩니다. 특히 손상 정도에 따른 분류는 치료 방법 및 예후 예측에 매우 중요합니다. 따라서 말초신경손상 환자의 정확한 진단과 분류가 필수적입니다.
-
5. 말초신경손상의 임상양상말초신경손상의 임상양상은 매우 다양합니다. 손상 부위, 손상 정도, 손상 원인 등에 따라 다양한 증상이 나타날 수 있습니다. 일반적으로 감각 및 운동 기능 장애가 나타나며, 이에 따른 통증, 근력 저하, 근육 위축, 감각 저하 등이 발생합니다. 또한 자율신경 기능 장애로 인한 발한, 체온 조절, 혈압 변화 등의 증상도 나타날 수 있습니다. 이러한 증상은 시간이 지남에 따라 변화할 수 있으며, 신경 재생 과정에 따라 점진적으로 호전될 수 있습니다. 따라서 말초신경손상 환자의 정확한 증상 파악과 함께 시간에 따른 변화 양상을 관찰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
6. 말초신경손상의 중재말초신경손상의 치료는 손상 부위, 손상 정도, 원인 등에 따라 다양한 방법이 사용됩니다. 초기에는 손상 부위의 안정화, 부종 및 염증 감소, 통증 관리 등의 보존적 치료가 필요합니다. 이후 신경 재생을 촉진하기 위해 물리치료, 작업치료, 전기자극치료 등의 재활치료가 중요합니다. 신경 재생이 충분히 이루어지지 않는 경우에는 수술적 치료, 즉 신경 봉합술, 신경 이식술 등이 고려됩니다. 또한 보조기 사용, 보행 훈련 등의 보조적 치료도 필요합니다. 말초신경손상 환자의 치료에는 다학제적 접근이 필요하며, 환자의 상태와 요구에 맞춘 개별화된 치료 계획이 수립되어야 합니다.
-
성인간호학(2) - 골절 사례 진단 보고서 5가지1. 골절과 관련된 급성통증 대상자는 골절로 인해 심한 통증을 호소하였다. 간호사는 활력징후 측정, 통증 사정, 비약물적 중재 적용, 진통제 투여, 통증조절 교육 등을 통해 대상자의 통증을 효과적으로 관리하였다. 2. 근골격 손상(골절)과 관련된 운동장애 대상자는 골절로 인해 운동 능력이 저하되었다. 간호사는 ROM 운동, 체위변경, ADL 격려, 재활운동...2025.01.16 · 의학/약학
-
당뇨병성 족부궤양 사례 연구1. 당뇨병성 족부 궤양 당뇨병성 족부 궤양은 당뇨병 환자의 발에 생기는 신경병, 구조적 변형, 피부 및 조갑의 변화, 발의 궤양, 감염, 혈관 질환 등을 통칭합니다. 당뇨병성 족부 질환이 진행되면 작은 상처도 잘 낫지 않고 궤양이 되며, 심한 경우 혈액 순환이 되지 않아 괴사가 발생할 수 있습니다. 당뇨병 진단 후 10년 이상, 40세 이상, 흡연 경험이...2025.01.18 · 의학/약학
-
당뇨병성 족부병증(DM foot) 케이스스터디1. 당뇨병 당뇨병은 인슐린의 부족과 분비장애, 작용결함으로 발생하며 절대적으로 부족한 상태와 상대적으로 부족한 상태로 나눌 수 있다. 제2형 당뇨병은 당뇨병 전체의 90~95%를 차지하며, 발병이 느리게 진행되고 중년 이후에 많이 나타나는 것이 특징이다. 당뇨병의 합병증으로는 당뇨병성 케톤산증, 고혈당성 고삼투압 증후군, 미세혈관질환 합병증, 대혈관질환 ...2025.01.06 · 의학/약학
-
A+ 성인 길랭바레증후군 케이스스터디 간호진단2개 간호과정2개 (약물 부작용과 관련된 급성통증, 신경근육계 이상과 관련된 신체기동성 장애)1. 길랭-바레 증후군 길랭-바레 증후군은 말초신경의 축삭을 덮고 있는 수초가 파괴되어 발생하는 자가면역 질환입니다. 주요 증상으로는 갑작스러운 근력 약화와 반사반응 소실, 감각 이상 등이 있으며, 호흡기계 및 소화기계 감염 후 발생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습니다. 치료로는 혈장 분리 반출술, 면역 글로불린 주사 등이 사용되며, 간호중재로는 호흡, 연하, 자율...2025.01.04 · 의학/약학
-
말초신경계, 중추신경계와 인간 심리의 이해의 상관관계1. 중추신경계 중추신경계는 뇌와 척수로 구성되어 있으며 우리 몸에서 느끼는 감각을 수용하고 조절하며 운동, 생체 기능을 조절하는 중요한 기능을 수행한다. 중추신경계의 척수는 척추뼈, 척수막, 뇌척수액에 의해 3중으로 보호를 받으며, 사이뇌와 뇌줄기를 도와 자율신경계를 조절하고 반사 작용을 제어해서 척수반사를 일으킨다. 중추신경계의 뇌는 영역에 따라 관장하...2025.04.25 · 의학/약학
-
신경계 구조기능 및 일반간호, 신경계 감염성&뇌혈관성&종양&외상질환, 퇴행성&말초신경&경련성질환 파트 요약정리1. 신경계 구조와 기능 신경계는 중추신경계와 말초신경계로 구성되며, 각 부위의 구조와 기능을 이해하는 것이 중요하다. 중추신경계는 뇌와 척수로 구성되며, 뇌는 전두엽, 두정엽, 측두엽, 후두엽 등의 부위로 나뉘어 각각 다른 기능을 담당한다. 척수는 뇌와 말초신경계를 연결하는 역할을 하며, 반사중추와 자율신경계를 조절한다. 말초신경계는 감각신경과 운동신경으...2025.05.05 · 의학/약학
-
말초신경 손상 Peripheral nerve injury A+자료 6페이지
말초신경의 손상 1.척골신경 손상(ulna nerve injury) 2.요골신경 손상(radial nerve injury) 3.좌골신경 손상(sciatic nerve injury) 말초신경의 손상 그림입니다. 원본 그림의 이름: 489px-Mechanisms_of_Injury_for_Peripheral_Nerves.png 원본 그림의 크기: 가로 489pixel, 세로 550pixel 사진 찍은 날짜: 2023년 03월 30일 오후 11:06 1.척골신경 손상(ulna nerve injury) 그림입니다. 원본 그림의 이름: 999...2023.11.15· 6페이지 -
신경시스템(신경계 기초 이해, 뉴런. 활동전압, 운동생리학) 18페이지
신경 시스템→ 뇌의 명령 뇌는 어떤 신호로 신체를 조절 하는가 ? 전기적 신호 호르몬 ( 무선 ) 혈관 느리고 길게 작용 Ex) 성장 , 수분 조절 전기적 신호 ( 유선 ) 신경 빠르고 짧게 작용 Ex) 근 수축 Question 우리의 몸은 어떻게 움직일까 ?생체 전기 Bioelectricity 우리 몸에 흐르는 전기 = 생체 전기 신체조직을 구성하는 물질은 전기적 전하를 띄며 , 화학적 반응 및 세포의 전기적 흥분으로 신체를 움직임 신호를 보낸다 . 세포 내 외막의 전하 ( 이온 ) 내막 + / 외막 – 전하이며 , 서로 반대되는...2021.08.19· 18페이지 -
중추신경계 퇴행성 질환, 말초신경계 질환 정리 14페이지
중추신경계의 퇴행성 질환 A. 파킨슨 질환 1. 정의 - 추체외로계(extrapyramidal system : 기저신경절, 시상, 흑질, 적핵, 망양체)에 있는 신경세포의 퇴행성 과정 2. 원인 ① 환자의 기저신경절 내에 dopamine과 그 분해물질인 hemovanillic acid(HVA)의 감소 ② 뇌염 후 : 1919년 뇌염이 세계적으로 발병. 그후 40년간 빈도가 높았다. ③ 외상 후 3. 증상(TRAP) ① tremor(진전) - 가장 흔한 초기 증상. pill rolling movement 머리를 앞뒤로 흔들고 목소리 ...2022.12.20· 14페이지 -
신경계물리치료중재학 말초신경질환 요약 정리 10페이지
ReportPhysical TherapyInterventionfor Nervous System(14 week)[ Peripheral nerve injury- summery ]△ 과 목 명 : 신경계물리치료중재학△ 담당교수 :△ 학 과 :△ 학 번 :△ 이 름 :△ 제 출 일 :< 말초신경질환 요약 및 정리 >◆ 말초신경 질환말초신경변성의 종류⑴ 왈러변성 Wallerian degeneration (순행변성)- 신경 손상시 말초부의 변성 및 소실, 세포체에 가까운 부분은 정상- 절단 부위 이하의 축삭과 말이집이 변성을 일으키는 것- 단...2020.12.18· 10페이지 -
신경계 질환 요약 11페이지
1. 중추신경계(CNS)1) 혈관 장애(1) 뇌경색(2) 두개 내 출혈① 뇌출혈② 지주막하출혈2) 감염성 질환(1) 바이러스성 감염① 일본 뇌염② 지연성 바이러스 질환(2) 세균성 감염① 급성 화농성 뇌막염② 뇌종양③ 결핵성 뇌막염(3) 진균성 감염(4) 기생충 감염증(5) 원충 감염3) 탈수초성 질환(1) 다발성 경화증(2) 광범위경화증4) 퇴행성 질환(1)알츠하이머병(2)파킨슨병(3)기타 변성 질병① 헌팅톤무도병② 올리브-교뇌-소뇌 위축증③근위축성 측삭경화증5) 중추신경계 종양(1) 원발성 종양(2) 전이성 종양(3) 척수 종양...2022.03.14· 11페이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