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청소년 비행의 원인(뒤르켕과 머튼의 아노미 이론,코헨의 비행 하위문화 이론)
본 내용은
"
청소년 비행의 원인(뒤르켕과 머튼의 아노미 이론,코헨의 비행 하위문화 이론)
"
의 원문 자료에서 일부 인용된 것입니다.
2023.01.16
문서 내 토픽
-
1. 뒤르켕과 머튼의 아노미 이론뒤르켕은 아노미를 '무규범 상태'라고 정의했으며, 머튼은 한 사회의 '목표와 수단의 괴리현상'을 아노미라고 보았다. 머튼에 의하면 아노미 현상은 사회 내 결속력이 약해지고 규범이나 규칙이 제대로 준수되지 않았을 때 발생하며, 이로 인해 사회해체까지 야기될 수 있다. 머튼은 일탈의 원인을 아노미 현상에서 발생한다고 보았으며, 이에 따라 동조형, 혁신형, 의례형, 도피형, 반역형 등 다섯 가지 적응 방식을 제시했다.
-
2. 코헨의 비행 하위문화 이론코헨은 사회 내에 각 계층별로 고유한 하위문화가 존재한다고 보았다. 비행을 저지르는 청소년들도 그들만의 하위문화를 형성하며, 이 집단의 가치와 규범을 따르게 된다. 코헨은 이러한 비행 하위문화를 범죄 문화, 갈등 문화, 퇴행 문화의 세 가지 유형으로 구분했다. 범죄 문화는 불법적인 수단으로 이득을 추구하는 것, 갈등 문화는 폭력을 통해 불만을 해소하는 것, 퇴행 문화는 마약이나 알코올 등에 몰두하는 것을 의미한다.
-
1. 뒤르켕과 머튼의 아노미 이론뒤르켕과 머튼의 아노미 이론은 사회적 규범과 개인의 욕구 사이의 불균형으로 인해 발생하는 사회적 문제를 설명하는 중요한 이론입니다. 뒤르켕은 아노미 상태에서 개인이 사회적 규범을 따르지 않고 자신의 욕구를 과도하게 추구하게 되어 사회적 혼란이 발생한다고 보았습니다. 머튼은 이를 더 발전시켜 개인이 사회적 목표를 달성하기 위해 합법적인 수단을 사용하지 않고 비합법적인 수단을 사용하게 되는 현상을 설명하였습니다. 이 이론은 현대 사회의 다양한 사회 문제를 이해하는 데 도움을 줍니다. 특히 경제적 불평등, 범죄, 약물 남용 등의 문제를 설명하는 데 유용합니다. 다만 이 이론이 지나치게 거시적이고 결정론적이라는 비판도 있어 개인의 능동적인 선택과 행동을 고려할 필요가 있습니다.
-
2. 코헨의 비행 하위문화 이론코헨의 비행 하위문화 이론은 청소년 비행 행동을 설명하는 중요한 이론입니다. 이 이론에 따르면, 청소년들은 주류 사회의 가치와 규범을 내재화하지 못하고 이에 대한 좌절감을 느끼게 되면서 자신들만의 하위문화를 형성하게 됩니다. 이 하위문화에서는 주류 사회의 가치와는 다른 가치관과 행동 양식이 발달하게 되고, 이를 통해 청소년들은 자신들의 좌절감을 해소하고자 합니다. 이 이론은 청소년 비행 행동의 원인을 사회적 구조와 문화적 요인에서 찾고 있다는 점에서 의의가 있습니다. 다만 이 이론이 청소년 개인의 능동적인 선택과 행동을 간과하고 있다는 비판도 있어, 개인의 심리적 요인과 사회적 요인을 균형 있게 고려할 필요가 있습니다.
-
청소년비행의 개념(청소년비행의 정의 및 원인론) 5페이지
청소년비행의 개념(청소년비행의 정의 및 원인론)현대사회의 급격한 발전과 더불어 여성의 출산율이 낮아지고 그로 인해 가족의 구조도 크게 바뀌고 있다. 여성의 활발한 사회진출은 맞벌이 부부의 증가를 가져 오고 이로 인해 가정에는 자녀만이 남게 되어 주택가에는 열쇠를 목에 걸고 늦은 저녁까지 뛰어놀거나 학원과 가정을 오가는 이른바 '열쇠 아이들'이 늘어 가고 있는 실정이다.과거와는 달리 경제력을 가지는 여성이 증가함에 따라 이혼율도 급격히 증가하고 있는 실정인데, 부부간의 이혼은 곧 자녀의 유기와 이어지기 때문에 더욱 심각한 문제가 아닐...2018.02.04· 5페이지 -
일탈행위에 대한 사회복지적 대책 10페이지
목 차1. 일탈의 개념2. 이론적 특징3. 범죄의 원인과 대책4. 일탈의 사회복지적 접근5. 일탈의 양면성6. 한국사회 일탈행위에 대한 계층적 고찰7. 결론 - 일탈행위 결과에 대한 사회복지적 대책1. 일탈의 개념일탈행위란 범죄, 비행, 자살, 알콜 및 마약 중독, 게임중독 등과 같은 반사회적 행위를 말한다.일탈행위는 인간의 기본적 욕구의 결핍이나 과잉욕구에서 비롯되는 경우가 많다. 사회복지에서는 일탈행위도 그 주요한 대상으로 삼고 있다.이론적 관점에 따라서 개념을 다소 다르게 규정하고 있다.① 기능론적 관점 : 일탈행위가 사회의 ...2017.08.30· 10페이지 -
형사정책-사회구조이론 21페이지
형사정책-사회구조이론-목차제1장. 서론1-1. 배경 및 목적제2장. 사회구조이론의 정의제3장. 사회구조이론의 구성3-1. 사회해체이론3-2. 아노미/긴장이론3-3. 하위문화이론3-3-1. 코헨 - 비행하위문화이론3-3-2. 올린, 클라워드 - 차별기회이론3-3-3. 밀러 - 하위문화이론제4장. 사례적용4-1. 유영철 사건4-2. 오원춘 사건4-3. 외국 사례제5장. 결론제1장 서론1-1. 배경 및 목적형사정책은 범죄에 대한 일정한 대책을 수립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대책을 수립하기 위해서는 범죄의 발생 원인에 대한 탐구가 있어야 ...2012.04.17· 21페이지 -
[청소년비행에 대한 사회학적 관점] 아노미론, 하위문화이론, 사회해체론, 문화전달이론, 사회통제론, 중화기술이론, 차별적 접촉이론, 낙인이론 12페이지
[청소년비행에 대한 사회학적 관점] 아노미론, 하위문화이론, 사회해체론, 문화전달이론, 사회통제론, 중화기술이론, 차별적 접촉이론, 낙인이론목차* 청소년비행에 대한 사회학적 관점Ⅰ. 아노미론1. 뒤르켕의 아노미론2. 머튼의 아노미론Ⅱ. 하위문화이론1. 비행하위문화론2. 차별적 기회구조론(분화적 기회구조론)3. 하층계급문화론Ⅲ. 사회해체론Ⅳ. 문화전달이론Ⅴ. 사회통제론1. 사회통제의 종류2. 고트프레드슨과 허시의 범죄행위 통제 요인(사회적 유대 강화 요인)Ⅵ. 중화기술이론Ⅶ. 차별적(분화적) 접촉이론Ⅷ. 낙인이론* 참고문헌* 청소년비...2011.06.04· 12페이지 -
범죄발생의 사회적 요인에 관한 이론 7페이지
현대사회와 범죄※범죄발생의 사회적 요인에 관한 이론Ⅰ. 범죄1. 범죄의 개념?범죄학(criminology)이라는 용어는 1879년 프랑스의 학자 또미나르에 의해 최초로 사용되었고, 그 후 1885년 이탈리아의 가로팔로가 범죄학이란 범죄의 현상과 원인을 주로 규명하는 사실학을 의미한다고 하면서 본격적으로 사용되었다.그러나 이것은 ‘범죄’라는 용어에 대한 개념 정립을 완전히 했다고는 볼 수 없다. 2세기에 걸쳐 많은 학자들이 이것에 대해 정의를 내리기 위해 힘 써왔지만 사회가 발달하고 고도화되면서 복잡해짐은 물론, 범죄가 사회적 구서물...2011.10.03· 7페이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