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생물공정실험] 1주차 Mammalian suspension cell culture 결과보고서
본 내용은
"
[생물공정실험] 1주차 Mammalian suspension cell culture 결과보고서
"
의 원문 자료에서 일부 인용된 것입니다.
2023.01.16
문서 내 토픽
-
1. EGFP 유전자 발현 조절이번 실험에서는 CRISPR-CAS9을 이용해 EGFP 유전자 발현을 조절하는 방법을 사용했다. EGFP 유전자를 발현시키려면 promoter 유전자가 존재해야 하고, 발현시키지 않으려면 promoter 유전자를 제거해야 한다.
-
2. CHO-S 세포 배양이번 실험에서는 CHO-S 세포를 사용했다. CHO-S 세포는 부유하면서 자랄 수 있어 배양 속도와 공간 활용도가 adherent 세포에 비해 좋아 생산성이 높으므로 산업적으로 잘 쓰인다. 또한 인간과 진화적으로 가까워 human-like PTM, glycosylation, folding을 가지므로 비교적 원하는 품질의 항체를 얻을 수 있으며 바이러스에 강하다.
-
3. Trypan blue dye exclusion 방법실험에서는 trypan blue dye exclusion 방법을 사용하여 동물 세포의 viability를 측정했다. 이 시약은 세포막 안으로 확산되어 유입되는데 살아있는 세포는 ATP를 소모해 exocytosis로 다시 내보내 염색이 되지 않지만, 죽은 세포는 ATP가 없고 세포막이 뚫려 그대로 침투될 수 있어 세포 내 단백질에 bind하여 염색이 된다. 따라서 살아있는 세포는 무색, 죽은 세포는 파란색으로 염색이 되므로 전체 세포 수를 셀 때 죽은 세포를 제외할 수 있다.
-
4. Hemocytometer를 이용한 세포 계수실험에서는 hemocytometer를 이용해 세포 수를 세었다. 현미경을 관찰하며 직접 세포를 세기 때문에 실험자에 따라 결과값의 오차가 발생할 수 있다.
-
1. EGFP 유전자 발현 조절EGFP(Enhanced Green Fluorescent Protein) 유전자 발현 조절은 다양한 생물학적 연구 분야에서 중요한 역할을 합니다. EGFP는 세포 내 특정 단백질의 위치와 발현 수준을 실시간으로 모니터링할 수 있게 해주는 유용한 형광 마커입니다. EGFP 유전자 발현은 프로모터, 엔핸서, 전사 조절 인자 등 다양한 요인에 의해 조절됩니다. 이를 통해 세포 내 특정 신호 전달 경로, 세포 주기, 분화 과정 등을 연구할 수 있습니다. 또한 EGFP 발현 조절은 유전자 치료 기술 개발에도 활용될 수 있습니다. 따라서 EGFP 유전자 발현 조절에 대한 깊이 있는 이해는 생물학 및 의학 분야의 발전에 기여할 것으로 기대됩니다.
-
2. CHO-S 세포 배양CHO-S(Chinese Hamster Ovary-Suspension) 세포는 생물의약품 생산을 위한 대표적인 세포주입니다. CHO-S 세포는 부유 배양이 가능하고 고밀도 배양이 가능하며, 다양한 유전자 도입이 용이하다는 장점이 있습니다. 따라서 CHO-S 세포는 단백질, 항체, 백신 등의 대량 생산에 널리 활용되고 있습니다. CHO-S 세포 배양 최적화를 위해서는 배지 조성, 배양 조건, 세포주 개량 등 다양한 요인을 고려해야 합니다. 또한 세포 생장, 생산성, 품질 등을 면밀히 모니터링하고 관리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이를 통해 안정적이고 효율적인 CHO-S 세포 배양 공정을 확립할 수 있을 것입니다.
-
3. Trypan blue dye exclusion 방법Trypan blue dye exclusion 방법은 세포 생존율을 측정하는 대표적인 방법입니다. 이 방법은 살아있는 세포는 trypan blue 염료를 배제하지만, 죽은 세포는 염료를 흡수하여 푸른색으로 염색되는 원리를 이용합니다. 따라서 현미경으로 관찰하여 푸른색으로 염색된 세포와 염색되지 않은 세포를 구분함으로써 세포 생존율을 쉽게 측정할 수 있습니다. 이 방법은 간단하고 신속하며 비용 효율적이라는 장점이 있어 세포 배양, 세포 독성 평가, 세포 기반 치료제 개발 등 다양한 분야에서 널리 사용되고 있습니다. 다만 염료 농도, 염색 시간, 세포 종류 등에 따라 결과가 달라질 수 있으므로 실험 조건을 최적화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
4. Hemocytometer를 이용한 세포 계수Hemocytometer는 세포 수를 정량적으로 측정하는 데 널리 사용되는 도구입니다. 이 장치는 정확한 부피의 세포 현탁액을 담을 수 있는 격자 구조를 가지고 있어, 현미경으로 관찰하여 세포 수를 직접 계수할 수 있습니다. 이를 통해 세포 농도, 생존율, 증식 속도 등을 정량적으로 분석할 수 있습니다. Hemocytometer를 이용한 세포 계수는 세포 배양, 세포 기반 치료제 개발, 약물 스크리닝 등 다양한 분야에서 필수적인 기술입니다. 정확한 세포 계수를 위해서는 세포 현탁액 준비, 현미경 관찰, 계수 방법 등 전반적인 실험 과정을 숙지하고 표준화된 프로토콜을 따르는 것이 중요합니다. 이를 통해 재현성 있는 세포 계수 데이터를 얻을 수 있을 것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