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성인간호학 간호과정(응급실) - 대퇴전자부골절
문서 내 토픽
-
1. 개방(복합)골절골절 부위의 피부가 손상되어 외부로 창상이 있고 골절된 뼈가 노출되어 있는 상태. 외부적 창상 때문에 개방 골절은 항상 주위 조직의 손상과 감염의 가능성이 있음.
-
2. 폐쇄성(단순)골절피부의 창상이 없어 골절편이 외부로 노출되지 않은 상태.
-
3. 완전 골절골막과 뼈가 모두 양쪽으로 분리되어 두 개의 골절편이 뚜렷이 나타나는 상태.
-
4. 불완전 골절뼈의 한쪽 면만 파괴된 것으로 어린이들의 유연한 뼈에서 흔히 발생하고 비교적 빨리 치유됨.
-
5. 충돌골절 또는 감입골절한 개의 골절편이 다른 골편이나 뼈조직에 박히는 골절로 선 자세로 똑바로 추락할 때 발생 가능.
-
6. 분쇄골절골절편이 3개 이상으로 부서진 상태.
-
7. 전위(displacement)완전히 골절되어 있으면서 골절편이 골절선이나 관절 밖으로 분리된 상태.
-
8. 병리적 골절골다공증이나 골종양으로 인하여 허약해진 뼈에서 골절이 생긴 것.
-
9. 각형성 골절두 개의 골절편에 각도가 생기면서 중첩되기도 함.
-
10. 견열골절인대와 연결되어 있는 골절편과 다른 골절편이 분리된 상태.
-
1. 개방(복합)골절개방(복합)골절은 피부와 근육이 찢어져 골절부위가 노출된 상태로, 감염 위험이 매우 높은 심각한 골절 유형입니다. 이러한 골절은 즉각적인 응급 처치와 수술적 치료가 필요합니다. 골절 부위의 세척, 항생제 투여, 골절 정복 및 고정 등의 조치가 필요하며, 감염 예방과 골유합을 위해 세심한 관리가 중요합니다. 개방(복합)골절은 장기적인 치료와 재활이 필요하며, 합병증 발생 위험이 높아 예후가 좋지 않은 편입니다. 따라서 이러한 골절 환자에 대한 신속하고 적절한 처치가 매우 중요합니다.
-
2. 폐쇄성(단순)골절폐쇄성(단순)골절은 피부와 근육이 온전한 상태에서 골만 부러진 경우로, 감염 위험이 상대적으로 낮은 편입니다. 이러한 골절은 정복(정상 위치로 맞추기) 및 고정 처치로 대부분 치료가 가능합니다. 단, 골절 부위의 정확한 정복과 고정이 중요하며, 부적절한 처치 시 골유합 지연, 변형 등의 합병증이 발생할 수 있습니다. 폐쇄성(단순)골절은 개방(복합)골절에 비해 예후가 양호한 편이지만, 적절한 치료와 관리가 필요합니다. 특히 고령자의 경우 골다공증으로 인해 골절 위험이 높으므로 예방과 신속한 처치가 중요합니다.
-
3. 완전 골절완전 골절은 골이 완전히 끊어진 상태로, 골절 부위가 완전히 분리된 경우입니다. 이러한 골절은 불안정하고 변형이 발생할 수 있어 신속한 정복과 고정이 필요합니다. 완전 골절은 부분 골절에 비해 치료가 더 복잡하며, 골유합 지연, 관절 강직, 근육 위축 등의 합병증 발생 위험이 높습니다. 따라서 완전 골절 환자에 대해서는 정확한 진단과 함께 수술적 치료를 포함한 적극적인 처치가 필요합니다. 또한 장기적인 재활 치료를 통해 기능 회복을 도모해야 합니다.
-
4. 불완전 골절불완전 골절은 골이 완전히 끊어지지 않고 일부만 부러진 상태로, 상대적으로 안정적인 골절 유형입니다. 이러한 골절은 정복 및 고정 처치로 대부분 치료가 가능하며, 완전 골절에 비해 합병증 발생 위험이 낮습니다. 그러나 불완전 골절도 적절한 처치와 관리가 필요합니다. 특히 고령자의 경우 골다공증으로 인해 불완전 골절이 발생할 수 있으므로, 예방과 신속한 처치가 중요합니다. 또한 불완전 골절이라도 관절 주변에 발생한 경우 관절 기능 장애 등의 합병증이 발생할 수 있어 주의가 필요합니다.
-
5. 충돌골절 또는 감입골절충돌골절 또는 감입골절은 골 조직이 서로 충돌하거나 감입되어 발생하는 골절 유형입니다. 이러한 골절은 관절 주변에서 주로 발생하며, 관절 기능 장애와 같은 합병증 발생 위험이 높습니다. 충돌골절 또는 감입골절의 치료는 정복 및 고정 처치와 함께 관절 기능 회복을 위한 재활 치료가 필요합니다. 특히 관절 주변 골절의 경우 관절 운동 범위 제한, 관절염 등의 합병증 예방을 위해 신중한 접근이 필요합니다. 따라서 이러한 골절 환자에 대해서는 정확한 진단과 함께 전문적인 치료와 관리가 중요합니다.
-
6. 분쇄골절분쇄골절은 골이 여러 조각으로 부서진 상태로, 골절 부위가 불안정하고 변형이 발생할 수 있습니다. 이러한 골절은 정복 및 고정 처치가 어려우며, 골유합 지연, 관절 강직, 근육 위축 등의 합병증 발생 위험이 높습니다. 따라서 분쇄골절 환자에 대해서는 수술적 치료를 통한 골절 부위의 정복 및 고정이 필요할 수 있습니다. 또한 장기적인 재활 치료를 통해 기능 회복을 도모해야 합니다. 분쇄골절은 치료가 복잡하고 예후가 좋지 않은 편이므로, 신속하고 적절한 처치가 매우 중요합니다.
-
7. 전위(displacement)전위(displacement)는 골절 부위가 정상 위치에서 벗어난 상태를 의미합니다. 전위가 발생하면 골절 부위가 불안정해지고 변형이 발생할 수 있어, 신속한 정복 및 고정 처치가 필요합니다. 전위 정도에 따라 치료 방법이 달라지며, 심한 전위의 경우 수술적 치료가 필요할 수 있습니다. 전위가 있는 골절 환자에 대해서는 정확한 진단과 함께 적절한 처치가 이루어져야 합니다. 또한 장기적인 재활 치료를 통해 기능 회복을 도모해야 합니다. 전위가 있는 골절은 합병증 발생 위험이 높으므로 세심한 관리가 중요합니다.
-
8. 병리적 골절병리적 골절은 정상적인 힘에 의해서도 골절이 발생하는 경우로, 기저 질환으로 인한 골 약화가 원인입니다. 대표적인 예로 골다공증, 종양, 감염 등이 있습니다. 이러한 골절은 정상적인 골절에 비해 치료가 더 복잡하며, 재골절 위험이 높습니다. 따라서 병리적 골절 환자에 대해서는 기저 질환에 대한 치료와 함께 골절 치료가 이루어져야 합니다. 또한 장기적인 재활 치료와 함께 골 건강 관리가 중요합니다. 병리적 골절은 예후가 좋지 않은 편이므로, 예방과 신속한 처치가 매우 중요합니다.
-
9. 각형성 골절각형성 골절은 골절 부위에서 골편이 각도를 이루며 변형된 상태를 의미합니다. 이러한 변형은 관절 기능 장애, 보행 장애 등의 합병증을 유발할 수 있어 주의가 필요합니다. 각형성 골절의 치료는 정복 및 고정 처치와 함께 변형 교정이 필요합니다. 특히 관절 주변 골절의 경우 관절 기능 회복을 위한 재활 치료가 중요합니다. 각형성 골절은 치료가 복잡하고 예후가 좋지 않은 편이므로, 정확한 진단과 함께 전문적인 치료와 관리가 필요합니다.
-
10. 견열골절견열골절은 근육이나 인대의 강한 견인력으로 인해 골편이 떨어져 나간 상태를 의미합니다. 이러한 골절은 관절 주변에서 주로 발생하며, 관절 기능 장애와 같은 합병증 발생 위험이 높습니다. 견열골절의 치료는 정복 및 고정 처치와 함께 관절 기능 회복을 위한 재활 치료가 필요합니다. 특히 관절 주변 골절의 경우 관절 운동 범위 제한, 관절염 등의 합병증 예방을 위해 신중한 접근이 필요합니다. 따라서 견열골절 환자에 대해서는 정확한 진단과 함께 전문적인 치료와 관리가 중요합니다.
성인간호학 간호과정(응급실) - 대퇴전자부골절
본 내용은 원문 자료의 일부 인용된 것입니다.
2023.01.30
-
성인간호학실습(응급실케이스)-낙상에 의한 대퇴경부골절 13페이지
응급환자 사례연구 보고서fall down (femur neck fracture)낙상에 의한 대퇴경부골절과목성인간호학실습실습기간2020.6.8.~20206.11교수님병원 및 병동학번이름응급환자 사례연구 보고서fall down (femur neck fracture)낙상에 의한 대퇴경부골절1. 문헌고찰낙상1) 정의낙상은 넘어지거나 떨어져서 몸을 다치는 것으로 높은 곳에서 떨어지는 추락과 걸려 넘어지거나 미끄러져 넘어지는 것을 모두 포함합니다. 모든 연령에서 발생할 수 있지만, 특히 노인에서 발생률이 높습니다. 노인의 신체 손상 중 절반 ...2020.10.08· 13페이지 -
성인간호학케이스, 고관절골절 케이스, 고관절골절 간호, 고관절골절 간호진단, 정형외과 실습 28페이지
서론(질병에 대한 문헌고찰)1)연구의 필요성우리 몸에서 가장 큰 관절인 고관절부위는 골반뼈와 넓적다리뼈를 잇는 관절로 하반신 움직임에 중요한 역할을 한다. 고관절에 문제가 있으면 서고 걷는 등의 기본적인 활동이 어려워진다. 정형외과 65세 이상 노인 중 대부분은 관절염으로 슬관절 치환술을 받거나 넘어져 대퇴골절로 인한 고관절치환술을 받는 환자이다. 특히 고관절치환술을 받는 환자는 팔이나 다리의 단순골절과는 다르게 거동이 힘들어지고 치료적인 부동 상태로 인해 많은 합병증이 생길 수도 있다. 그렇기 때문에 이번 사례연구를 통해서 대퇴부...2018.04.17· 28페이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