심근경색 MI 케이스스터디
본 내용은
"
A++ 성인간호학 심근경색 MI 케이스스터디
"
의 원문 자료에서 일부 인용된 것입니다.
2023.01.06
문서 내 토픽
  • 1. 심근경색증(MI)의 정의
    3개의 관상동맥 중 어느 하나라도 혈전증이나 혈관의 빠른 수축(연축) 등에 의해 급성으로 막히는 경우, 심장의 전체 또는 일부분에 산소와 영양 공급이 급격하게 줄어들어서 심장 근육의 조직이나 세포가 죽는(괴사) 상황을 심근경색증(MI)이라 한다.
  • 2. 심근경색증(MI)의 원인 및 위험요인
    조절 불가능한 요인: 연령, 가족력/유전적 소인 조절 가능한 요인: 고지혈증, 고지방 식이, 알코올 섭취량, 고혈압, 스트레스, 흡연, homocysteine 증가, 당뇨병, 운동부족, 과체중과 비만, 호르몬 대체 요법
  • 3. 심근경색증(MI)의 병태생리
    경색: 즉각적으로 일어나지 않고 수 시간에 걸쳐 진행됨. 허혈로 조직에 산소 부족 → 혈관이 국소적으로 확장, 산증 발생 → 세포에서의 전해질 불균형으로 정상전도와 수축기능 억제 → 저산소증에 대한 반응으로 카테콜아민(에피네프린, 노르에피네프린) 방출, 통증유발 → 심박동수, 수축성, 후부하 증가 → 산소결핍 조직의 산소요구도 증가 → 경색부위의 범위가 손상과 허혈의 부위로 확대됨.
  • 4. 심근경색증(MI)의 병인과 치료
    NSTEMI: 심근세포의 손상/죽음으로 심근 괴사. UA와 달리 혈액지표의 변화와 지속적인 ECG변화 심하며 사망의 위험 높음. 치료: 심장동맥의 죽상경화증 → 플라그 파열 → 혈전 → 혈류폐색. 흉통 재발 시 12유도 심전도, NTG 설하 투여, 통증 조절, 침상안정, 산소공급, 혈액검사와 심장모니터. STEMI: 심근손상으로 심전도 ST분절의 상승. 허혈로 조직에 산소부족 → 혈관이 국소적 확장, 산증 발생 → 세포에 전해질 불균형(Mg, K, Ca)으로 정상 전도와 수축기능 억제 → 저산소증에 대한 반응으로 카테콜아민(에피네프린, 노르에피네프린)방출, 통증유발 → 심박동수, 수축성, 후부하 증가 → 산소결핍 조직의 산소 요구도 증가 → 경색부위의 범위의 손상과 허혈의 부위로 확대.
  • 5. 심근경색증(MI) 환자의 임상증상 및 진단
    임상증상: 흉통, 심장증상(조기심실수축, 동성 빈맥, 심부전, 심낭염 등), 심리사회반응(부정, 공포, 불안 등). 진단검사: 혈액검사(Troponin T/I, CK-MB, Myoglobin, LDH, SGOT/SGPT), 심전도, 스트레스 검사, 심근관류 영상, 심장동맥 촬영술 등.
  • 6. 심근경색증(MI) 환자의 합병증
    부정맥(심실성 부정맥, 심실세동), 심부전, 심장성 쇼크, 유두근 기능부전, 심실류, 심낭염, 드레슬러 증후군 등.
  • 7. 심근경색증(MI) 환자의 치료 및 간호
    약물요법: Morphine, Nitroglycerin, β-adrenergic blocking agents, Ca2+ channel blockers. 혈전용해요법, Glycoprotein Ⅱb / Ⅲa inhibitors, 항응고제. 침상안정, 산소공급, 통증 조절, 활력징후 모니터링, 합병증 예방 등.
  • 8. 심근경색증(MI) 환자의 심장재활
    3단계: 1단계(급성질환기), 2단계(초기재활), 3단계(후기재활). 신체활동 증진, 위험요인 관리, 대처 강화, 부정맥/심부전 예방 등.
  • 9. 간호진단 및 중재
    1. 심근 허혈로 인한 산소 요구량 증가와 관련된 급성 통증: 흉통 2. 심장 수축력 저하와 관련된 심박출량 감소
  • 10. 간호중재 및 교육
    통증 사정 및 관리, 활력징후 모니터링, 산소요법, 약물 투여 및 부작용 관찰, 심장재활 교육 등
Easy AI와 토픽 톺아보기
  • 1. 주제2: 심근경색증(MI)의 원인 및 위험요인
    심근경색증의 주된 원인은 관상동맥 내 동맥경화증으로 인한 혈전 형성입니다. 이외에도 고혈압, 당뇨병, 고지혈증, 흡연, 비만, 스트레스 등 다양한 위험요인이 존재합니다. 이러한 위험요인들은 관상동맥 내 플라크 형성을 촉진하고 혈전 생성을 증가시킵니다. 따라서 심근경색증 예방을 위해서는 이러한 위험요인들을 적극적으로 관리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 2. 주제4: 심근경색증(MI)의 병인과 치료
    심근경색증의 주된 병인은 관상동맥 폐쇄로 인한 심근 허혈입니다. 따라서 심근경색증의 치료는 관상동맥 재개통을 통해 심근 허혈을 해소하는 것이 핵심입니다. 이를 위해 혈전용해제 투여, 경피적 관상동맥 중재술, 관상동맥 우회술 등의 치료 방법이 사용됩니다. 또한 항혈소판제, 베타차단제, ACE억제제 등의 약물 치료도 병행됩니다. 이러한 다양한 치료 방법을 통해 심근 손상을 최소화하고 심장 기능을 보존할 수 있습니다.
  • 3. 주제6: 심근경색증(MI) 환자의 합병증
    심근경색증 환자에게는 다양한 합병증이 발생할 수 있습니다. 대표적인 합병증으로는 심부전, 부정맥, 심장 파열, 심실중격 파열, 승모판 역류 등이 있습니다. 이러한 합병증은 심근 손상의 정도와 범위에 따라 달라지며, 심각한 경우 생명을 위협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심근경색증 환자의 합병증 발생을 예방하고 조기에 발견하여 적절히 관리하는 것이 매우 중요합니다.
  • 4. 주제8: 심근경색증(MI) 환자의 심장재활
    심근경색증 환자의 심장재활은 환자의 신체적, 정신적, 사회적 기능을 회복시키는 데 목적이 있습니다. 심장재활 프로그램에는 운동 요법, 영양 관리, 스트레스 관리, 교육 등이 포함됩니다. 이를 통해 심장 기능 향상, 위험 요인 관리, 삶의 질 향상 등을 도모할 수 있습니다. 심장재활은 심근경색증 환자의 예후 개선에 매우 중요한 역할을 하므로, 환자 개인의 특성을 고려한 맞춤형 재활 프로그램 개발이 필요합니다.
  • 5. 주제10: 간호중재 및 교육
    심근경색증 환자 간호에 있어 간호중재와 교육은 매우 중요합니다. 간호중재로는 증상 관리, 합병증 예방, 재활 지원 등이 필요합니다. 특히 통증 관리, 활동 증진, 스트레스 관리 등은 환자의 회복에 큰 영향을 미칩니다. 또한 환자와 가족에 대한 교육도 중요한데, 질병 이해, 투약 관리, 생활습관 개선 등에 대한 교육이 포함됩니다. 이를 통해 환자와 가족의 자가 관리 능력을 향상시킬 수 있습니다. 간호사는 환자 개인의 특성을 고려한 맞춤형 간호중재와 교육을 제공해야 합니다.
주제 연관 토픽을 확인해 보세요!
주제 연관 리포트도 확인해 보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