심근경색 케이스 스터디, MI case study
- 최초 등록일
- 2022.05.13
- 최종 저작일
- 2021.04
- 26페이지/ 한컴오피스
- 가격 2,500원
소개글
성인간호학 실습
심혈관계
심근경색, MI case study
감염의 위험성
지식부족
심박출량의 감소
간호진단 4개
echo 결과지도 입력되어있습니다.
CAG,PCI 결과지도 입력되있습니다.
이름만 바꾸고 그대로 내도 될정도입니다.
실습점수 A+/A만 받았습니다.
목차
Ⅰ.서론
1.연구의 필요성
2.문헌고찰
Ⅱ.본론
1.자료수집
-간호정보/신체검진
2.진단검사
3.치료 및 경과
4.간호문제목록
5.간호과정
Ⅲ.결론
Ⅳ.참고문헌
본문내용
1.연구의 필요성
심근경색증은 관상동맥에 급작스런 혈전성 폐쇄가 발생하고 이에 따른 심근 손상이 유발되는 질환으로, 2016년 통계청 기록에 따르면 심장질환 사망률 2위로 58.2%를 차지하는 질환이다.
짧은 시간내에 관상동맥의 재관류가 이루어지지 않으면 심실기능부전 등의 생명을 위협하는 상태로 변할 수 있는 신속하고 집중적인 치료가 필요하다.
< 중 략 >
2.문헌고찰
정의
▶급성심근경색(AMI: acute myocardial infarction)
-관상동맥의 갑작스런 폐색으로 손상부위 심근에 비가역적인 괴사를 일으키는 급성관상동맥
증후군 중의 하나이다.
-혈전으로 인한 관상동맥의 완전한 폐색으로 발생하는 ST분절 상승 심근경색과 관상동맥
부분 폐색등으로 발생하는 ST분절 비상승 심근경색으로 분류할수 있으며 심장발작이라고한다.
원인
주원인은 관상동맥의 죽상경화증이 진행되는 과정 중에 갑자기 발병.
관상동맥의 갑작스런 폐색은 죽상판이 파열되거나 균열이 생기면서 형성되는 혈전에 의해 관상동맥의
혈류가 완전히 차단됨으로써 발생되는 것이 대부분이다.
드물게 관상동맥색전증,손상, 혈관염,수술후 쇼크,심한 탈수증,저혈압등으로 일시적으로
관상동맥의 혈류가 감소될때도 나타난다.
관상동맥의 구조를 살펴보면, 그 가장 안쪽 층을 내피세포가 둘러싸고 있는데 내피
세포가 건강한 경우에는 혈전이 생기지 않는다. 그러나 고지혈증, 당뇨병, 고혈압, 흡연 등에 의해서 내피세포가 손상을 받게 되어 죽상경화증이 진행되고, 관상동맥 안을 흐르던 혈액 내의 혈소판이 활성화되면서급성으로 혈전이 잘 생기게 된다. 이렇게 생긴 혈전이 혈관의 70% 이상을 막아서 심장 근육의 일부가 파괴(괴사)되는 경우가 심근경색증이고, 괴사되지는 않지만 혈관 내 혈액의 흐름이 원활하지 않아 가슴에 통증 이 생기는 것이 협심증이다.
▶위험인자:①고령②흡연③고혈압④당뇨병⑤가족력⑥비만 등
참고 자료
성인간호학-수문사
성인간호학3 실습지침서-수문사
대학교 병원 EMR
킬립분류 [Killip's classification, ~分類, Killipsche Klassifikation] (간호학대사전, 1996. 3. 1., 한국사전연구사)
관상동맥 조영술 [coronary angiography] (서울대학교병원 의학정보, 서울대학교병원)
심박 조율기 [pacemaker] (국가건강정보포털 의학정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