코로나19로 인한 마케팅 유통 변화
본 내용은
"
공학과경영_ 마케팅 4p 분석-유통
"
의 원문 자료에서 일부 인용된 것입니다.
2023.01.05
문서 내 토픽
  • 1. O2O(Online to Offline)에서 O4O(Online for Offline)로의 변화
    코로나19 이후 언택트 소비가 확산되면서 온라인 유통 업태는 매출 성장세를 유지하고 있지만, 오프라인 유통 업태는 지속적인 마이너스 증감률을 기록하고 있다. 이에 따라 기업들은 온라인에서 축적한 데이터를 활용하여 오프라인 매장에 적용하는 'O4O(Online for Offline)' 서비스에 힘쓰고 있다. 이를 통해 온라인으로 돌아선 소비자들을 다시 오프라인 매장으로 유인하고자 한다.
  • 2. 이마트의 마케팅 변화
    이마트는 '이마트 앱'을 통해 소비자들에게 다양한 매장 편의 서비스를 제공하고 있다. 대표적으로 '최저가격 보상 적립제'를 부활하여 고객에게 오프라인 쇼핑 편의성과 이익을 주고 있다. 이를 통해 자사 앱을 활용하여 고객들을 다시 오프라인 매장으로 유인할 수 있다.
  • 3. 롯데마트의 마케팅 변화
    롯데마트는 자사 전용 앱인 '롯데마트 GO'를 통해 'O4O(Online for Offline)' 기능을 제공하고 있다. 주요 혜택으로는 '스마트결제', '(매장 전용)쿠폰', '입점매장예약' 등이 있다. 이를 통해 오프라인 매장 이용의 편의성을 높이고 코로나19 방역 수칙에 부합하는 서비스를 제공하고 있다.
  • 4. 백화점의 마케팅 변화
    코로나19로 인한 매출 감소에 대응하기 위해 백화점은 라이브커머스와 같은 비대면 쇼핑 방식을 확대하고 있다. 이를 통해 고객들이 직접 입어보지 않고도 실시간으로 점주들과 소통하며 쇼핑할 수 있도록 하고 있다.
  • 5. 여행업계의 마케팅 변화
    여행업계는 백신 접종자를 대상으로 한 할인 이벤트 등 코로나19에 맞춘 마케팅 전략을 내세우고 있다. 대표적으로 코레일관광개발은 백신 접종자 대상 '팔도 장터 관광열차' 상품 할인 판매를, 부산 관광공사는 백신 접종자 대상 관광지 할인 이벤트를 계획하고 있다.
Easy AI와 토픽 톺아보기
  • 1. O2O(Online to Offline)에서 O4O(Online for Offline)로의 변화
    O2O(Online to Offline)에서 O4O(Online for Offline)로의 변화는 기술 발전과 소비자 행동 변화에 따른 자연스러운 진화라고 볼 수 있습니다. 과거에는 온라인 채널을 통해 오프라인 매장을 유도하는 방식이 주를 이루었지만, 최근에는 온라인 채널이 오프라인 매장을 지원하고 보완하는 방향으로 변화하고 있습니다. 소비자들은 온라인에서 제품 정보를 탐색하고 구매 결정을 내리지만, 실제 구매와 체험은 오프라인 매장에서 이루어지는 경우가 많아졌습니다. 이에 따라 기업들은 온라인과 오프라인의 경계를 허물고 양 채널을 유기적으로 연계하는 O4O 전략을 수립하고 있습니다. 이를 통해 소비자에게 보다 편리하고 차별화된 쇼핑 경험을 제공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됩니다.
  • 2. 이마트의 마케팅 변화
    이마트는 그동안 저가 이미지와 대형 할인점 전략으로 성장해왔지만, 최근 들어 마케팅 전략을 변화시키고 있습니다. 이마트는 온라인 채널 강화, 편의점 사업 확대, 프리미엄 매장 도입 등을 통해 고객 니즈에 보다 적극적으로 대응하고자 합니다. 특히 온라인 쇼핑 시장 성장에 발맞춰 이마트몰, 이마트 앱 등 온라인 채널을 강화하고 있으며, 편의점 브랜드 '이마트24'를 통해 소비자의 일상생활에 더욱 밀접하게 다가가고자 합니다. 또한 프리미엄 매장 '이마트 트레이더스'를 통해 고품격 쇼핑 경험을 제공하는 등 다양한 고객층을 아우르는 전략을 펼치고 있습니다. 이러한 변화는 이마트가 단순한 대형 할인점을 넘어 종합 유통 기업으로 발전하고자 하는 노력으로 볼 수 있습니다.
  • 3. 롯데마트의 마케팅 변화
    롯데마트 또한 변화하는 소비자 트렌드에 발맞추어 마케팅 전략을 다각화하고 있습니다. 기존의 대형 할인점 중심 사업 모델에서 벗어나 온라인 채널 강화, 편의점 사업 확대, 프리미엄 매장 도입 등 다양한 시도를 하고 있습니다. 특히 롯데마트는 온라인 쇼핑몰 '롯데ON'을 통해 온라인 사업을 강화하고 있으며, 편의점 브랜드 '롯데슈퍼'를 통해 소비자의 일상생활에 더욱 밀접하게 다가가고자 합니다. 또한 프리미엄 매장 '롯데프리미엄아울렛'을 통해 고품격 쇼핑 경험을 제공하는 등 다양한 고객층을 아우르는 전략을 펼치고 있습니다. 이러한 변화는 롯데마트가 단순한 대형 할인점을 넘어 종합 유통 기업으로 발전하고자 하는 노력으로 볼 수 있습니다.
  • 4. 백화점의 마케팅 변화
    백화점 업계 또한 변화하는 소비자 트렌드에 발맞추어 마케팅 전략을 다각화하고 있습니다. 기존의 고급 이미지와 오프라인 매장 중심 사업 모델에서 벗어나 온라인 채널 강화, 편의점 사업 확대, 특화 매장 도입 등 다양한 시도를 하고 있습니다. 특히 백화점은 온라인 쇼핑몰을 통해 온라인 사업을 강화하고 있으며, 편의점 브랜드를 통해 소비자의 일상생활에 더욱 밀접하게 다가가고자 합니다. 또한 특화 매장, 팝업 스토어 등을 통해 차별화된 쇼핑 경험을 제공하는 등 다양한 고객층을 아우르는 전략을 펼치고 있습니다. 이러한 변화는 백화점이 단순한 오프라인 매장을 넘어 종합 유통 기업으로 발전하고자 하는 노력으로 볼 수 있습니다.
  • 5. 여행업계의 마케팅 변화
    여행업계 또한 변화하는 소비자 트렌드에 발맞추어 마케팅 전략을 다각화하고 있습니다. 기존의 패키지 여행 중심 사업 모델에서 벗어나 개인화된 여행 상품 제공, 온라인 채널 강화, 여행 경험 제공 등 다양한 시도를 하고 있습니다. 특히 여행업계는 개인화된 여행 상품을 통해 소비자의 니즈에 보다 적극적으로 대응하고자 하며, 온라인 플랫폼을 통해 편리한 여행 예약 및 정보 제공 서비스를 강화하고 있습니다. 또한 여행지에서의 체험 및 경험 제공에 주력하여 단순한 여행 상품 판매를 넘어 여행 전반에 걸친 서비스를 제공하고자 합니다. 이러한 변화는 여행업계가 단순한 여행 상품 판매를 넘어 종합 여행 서비스 기업으로 발전하고자 하는 노력으로 볼 수 있습니다.
주제 연관 토픽을 확인해 보세요!
주제 연관 리포트도 확인해 보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