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역보건팀(방문보건)
본 내용은
"
지역보건팀(방문보건)
"
의 원문 자료에서 일부 인용된 것입니다.
2023.01.02
문서 내 토픽
  • 1. 집중관리군
    - 방문 횟수: 3개월 이내 8회 이상 건강관리 서비스 실시 - 내용: · 건강위험요인 및 대상자 요구도에 따라 건강관리 계획수립 후 집중관리 실시 · 건강위험요인의 적극적 개선을 위하여 보건소 다분야 보건·의료전문가* 참여를 통한 전문적 건강관리 서비스(교육, 상담, 정보제공, 보건소 내외 자원연계) 제공 필요 * 보건소 내 의사, 약사, 간호사, 영양사, 운동전문가, 물리/작업치료사,치과위생사 등 - 지속 및 퇴록: · 대상자 재평가 결과에 따라 서비스 군 지속 또는 재배치 필요 · 대상자 재평가 결과, 기준에 따라 서비스가 완료*된 경우 * (정상 완료)8회 서비스(8회 대면 또는 7회 대면과 1회 내소 또는 전화상담)가 끝난 경우 * (중간 종료)6회 이상 대면시점에 건강상태가 자기역량지원군 수준으로 개선된 경우 * (중도 퇴록)4회 이상 대면시점에 사망, 전출, 노인 장기요양보험 대상으로 이관, 중증질환으로 입원, 장기입원 등으로 방문건강관리가 어려운 경우 · 미 방문 기간이 총 2년을 초과한 경우, 전출 또는 사망한 경우 퇴록처리
  • 2. 정기관리군
    - 방문 횟수: 3개월 이내 1회 이상 건강관리 서비스 실시 - 내용: · 건강위험요인 및 대상자 요구도에 따라 건강관리 계획수립 후 관리 실시 · 3개월 마다 대상별 맞춤 건강교육 및 상담, 정보제공 · 보건소 내·외 연계 실시(보건소 다분야 보건·의료전문가 참여 적극 권장) - 지속 및 퇴록: · 대상자 재평가 결과에 따라 서비스 군 지속 또는 재배치 필요 · 대상자 재평가 결과 건강위험요인 및 건강문제가 해소되었거나 미방문 기간이 총 2년을 초과한 경우, 전출 또는 사망한 경우 퇴록처리
Easy AI와 토픽 톺아보기
  • 1. 집중관리군
    집중관리군은 기업의 핵심 자산이나 중요한 프로세스를 관리하는 영역입니다. 이 영역은 기업의 핵심 경쟁력과 직결되므로 체계적이고 집중적인 관리가 필요합니다. 집중관리군에는 기업의 핵심 기술, 주요 고객, 핵심 공급망 등이 포함될 수 있습니다. 이러한 영역은 기업의 지속가능성과 성장에 매우 중요하므로 전략적이고 체계적인 관리가 필요합니다. 집중관리군에 대한 지속적인 모니터링, 위험 관리, 혁신 등이 필요하며, 이를 통해 기업의 경쟁력을 유지하고 강화할 수 있습니다.
  • 2. 정기관리군
    정기관리군은 기업의 일상적인 운영과 관련된 영역으로, 지속적이고 체계적인 관리가 필요한 부분입니다. 이 영역에는 재무, 인사, 생산, 마케팅 등 기업의 핵심 기능들이 포함됩니다. 정기관리군은 기업의 안정적인 운영을 위해 중요하며, 정기적인 점검과 개선을 통해 효율성을 높일 수 있습니다. 또한 정기관리군에 대한 체계적인 관리는 기업의 리스크 관리와 지속가능성 확보에도 도움이 됩니다. 따라서 정기관리군에 대한 지속적인 모니터링과 개선 노력이 필요할 것으로 보입니다.
주제 연관 토픽을 확인해 보세요!
주제 연관 리포트도 확인해 보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