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수혈간호
본 내용은
"
수혈간호
"
의 원문 자료에서 일부 인용된 것입니다.
2024.12.23
문서 내 토픽
-
1. 수혈의 정의심한 출혈이나 빈혈이 있는 대상자에게 혈장 성분 또는 혈구 성분을 타인으로부터 공급하는 것
-
2. 수혈의 목적질병이나 손상으로 인해 손실된 순환혈액량을 보충하기 위함, 부족한 응고인자 및 결핍성분을 보충하기 위함, 혈액의 산소운반 능력을 회복하기 위함
-
3. 혈액제제 종류전혈, 적혈구농축액, 세척적혈구, 백혈구제거 적혈구, 혈소판, 혈소판 페레시스, 신선냉동혈장, 냉동침강물 등이 있으며 각각의 적응증이 다름
-
4. 수혈과정수혈여부 결정, 설명 및 동의, 혈액요청, 환자 혈액검체 채취, 수혈 전 검사(항체선별검사, 교차적합시험, 혈액형검사), 혈액 출고 전 확인, 출고 후 혈액 처리, 수혈 전/중/후 확인사항, 수혈부작용 발생 시 대처방안 등의 과정으로 이루어짐
-
5. 수혈부작용 대처방안수혈부작용 증상 확인, 수혈 중단 및 생리식염수 투여, 원인 조사 및 검사 의뢰, 의사 보고 및 처치, 수혈안전감시 체계 보고 등의 절차로 이루어짐
-
1. 수혈의 정의수혈은 환자에게 필요한 혈액 성분을 공급하는 의료 행위입니다. 혈액은 산소와 영양분을 전달하고 면역 기능을 수행하는 중요한 역할을 합니다. 따라서 수혈은 환자의 생명을 구하고 건강을 회복하는 데 필수적입니다. 수혈은 출혈, 빈혈, 면역 결핍 등 다양한 의학적 상황에서 필요할 수 있으며, 적절한 혈액 공급은 환자 치료에 큰 도움이 됩니다.
-
2. 수혈의 목적수혈의 주요 목적은 환자의 건강과 생명을 보호하는 것입니다. 수혈을 통해 환자에게 필요한 혈액 성분을 공급함으로써 출혈을 막고, 빈혈을 치료하며, 면역 기능을 강화할 수 있습니다. 또한 수술이나 외상 등으로 인한 혈액 손실을 보충하고, 장기 이식 수술 등에서 필요한 혈액을 제공할 수 있습니다. 이처럼 수혈은 환자의 생명을 구하고 건강을 회복하는 데 핵심적인 역할을 합니다.
-
3. 혈액제제 종류혈액제제에는 적혈구, 혈소판, 혈장 등 다양한 성분이 포함되어 있습니다. 적혈구 제제는 산소 운반 기능을 하며, 혈소판 제제는 지혈 기능을 합니다. 혈장 제제는 응고 인자와 면역 글로불린 등을 포함하고 있어 출혈 방지와 면역 기능 강화에 도움을 줍니다. 이처럼 각각의 혈액제제는 환자의 상태와 필요에 따라 선택적으로 사용될 수 있습니다. 의료진은 환자의 상황을 면밀히 파악하여 가장 적절한 혈액제제를 선택해야 합니다.
-
4. 수혈과정수혈 과정은 매우 체계적이고 안전하게 이루어집니다. 먼저 의사가 환자의 상태를 평가하고 수혈이 필요한지 판단합니다. 그 후 혈액 은행에서 적합한 혈액제제를 선별하고, 환자의 혈액형과 교차 반응을 확인합니다. 이어서 의료진이 수혈 준비를 하고, 환자의 상태를 모니터링하며 수혈을 진행합니다. 수혈 후에도 환자의 반응을 지속적으로 관찰하여 부작용 발생 여부를 확인합니다. 이처럼 수혈 과정은 환자의 안전과 건강을 최우선으로 하는 엄격한 절차로 이루어집니다.
-
5. 수혈부작용 대처방안수혈에는 다양한 부작용이 발생할 수 있습니다. 가장 흔한 부작용으로는 발열, 오한, 두통, 구토 등이 있으며, 드물게는 알레르기 반응이나 용혈, 순환 과부하 등이 나타날 수 있습니다. 이러한 부작용에 대해서는 신속하고 적절한 대처가 필요합니다. 의료진은 부작용 발생 시 즉시 수혈을 중단하고, 환자의 상태를 면밀히 관찰하며 필요한 처치를 시행해야 합니다. 또한 부작용 예방을 위해 수혈 전 환자의 상태를 충분히 확인하고, 수혈 속도를 조절하는 등의 조치가 중요합니다. 이처럼 수혈 부작용에 대한 신속하고 체계적인 대응이 필요합니다.
-
수혈 간호와 혈액제제 종류에 따른 수혈시간, 수혈 주의사항, 임상에서 알기 좋은 수혈간호 꿀팁1. 수혈의 목적 질병이나 손상으로 인해 손실된 순환 혈액량을 보충하기 위함, 부족한 응고인자 및 결핍성분을 보충하기 위함, 혈액의 산소운반 능력을 회복하기 위함 2. 수혈의 준비물품 수혈혈액, 수혈 혈액 종류에 따른 수혈세트, 활력징후 측정 준비물, 생리식염수, 주사기, 전처치약, 반창고, 혈관카테터, 알코올 솜, 멸균장갑, 수혈동의서, 수혈기록지 3. ...2025.01.27 · 의학/약학
-
임상수혈간호1. 수혈 의사 처방 및 동의서 작성 수혈 전 의사의 처방과 환자의 동의서 작성이 필요합니다. 이를 통해 수혈 시행에 대한 의사와 환자의 동의를 확인할 수 있습니다. 2. 수혈 전 검사용 혈액 채혈 수혈 전 환자의 혈액형(ABO), 교차시험용 혈액, 비예기항체 검사를 위한 혈액 채혈이 필요합니다. 이를 통해 적합한 혈액 제제를 선택할 수 있습니다. 3. 혈...2025.01.29 · 의학/약학
-
수혈간호-수혈과정, 수혈부작용1. 공혈자 사정 공혈자의 건강상태와 과거력을 확인하여 수혈자에게 전파될 수 있는 위험 요인을 파악한다. 공혈자의 활력징후와 혈색소 수치가 정상 범위 내에 있어야 하며, 표준 공혈량 320mL를 채혈할 수 있는 연령과 체중 기준을 충족해야 한다. 공혈 과정에서는 실신이나 현기증 등의 부작용을 예방하기 위한 조치가 필요하다. 2. 수혈 과정 수혈 처방을 확인...2025.01.12 · 의학/약학
-
수혈간호,병동컨퍼런스자료PPT1. 수혈의 정의와 목적 수혈이란 환자에게 부족한 혈액의 혈구 성분과 혈장 성분을 타인의 혈액으로 공급받는 것을 말한다. 수혈의 목적은 부족한 순환혈액량을 보충하고, 혈액 응고인자의 결핍을 보충하며, 혈액의 산소운반능력을 증강시키고, 혈액의 결핍 구성성분을 보충하는 것이다. 2. 수혈간호의 정의와 목적 수혈간호는 정확한 환자에게 정확한 방법으로 수혈하고, ...2025.05.10 · 의학/약학
-
[내과] 수혈의 종류, 부작용 및 간호1. 수혈의 종류 수혈에는 전혈, 농축적혈구, 농축혈소판, 신선동결혈장 등 다양한 종류가 있습니다. 각 제제의 성분, 적응증, 용량, 주입시간, 기대효과가 다르므로 환자의 상태에 따라 적절한 제제를 선택해야 합니다. 2. 수혈의 부작용 수혈 시 발열, 알레르기 반응, 용혈반응, 순환과잉 등의 부작용이 발생할 수 있습니다. 부작용 발생 시 즉시 수혈을 중단하...2025.01.03 · 의학/약학
-
수혈간호, 수혈 간호과정, 수혈과 관련된 간호진단, 정맥혈전색전위험성1. 수혈 간호 수혈 후 나타날 수 있는 부작용에 대해 불안감을 느끼고 있는 환자에게 수혈 과정과 관련된 간호 중재를 제공한다. 수혈 부작용으로 인한 급성 통증과 불안을 관리하고, 정맥혈전색전증 예방을 위한 간호 중재를 실시한다. 2. 정맥혈전색전증 예방 고관절 치환술을 받은 환자는 부동 상태로 인해 정맥혈전색전증 위험이 높다. 이를 예방하기 위해 압박스타...2025.05.01 · 의학/약학
-
수혈간호 3페이지
수혈간호1. 수혈간호의 정의수혈간호는 정확한 환자에게 정확한 방법으로 수혈하고, 수혈로 인한 부작용, 합병증 및 수혈오류를 예방하기 위해 위험요인을 파악하고 관리하며 발생 시 규정과 지침에 따라 신속히 대처하는 간호활동이다.2. 수혈간호의 목적수혈간호의 목적은 수혈로 인한 부작용과 수혈오류로부터 환자의 안전을 도모하고 신뢰할 수 있는 환경을 제공하기 위하여 수혈과정에서 발생할 수 있는 부작용이나 수혈오류의 근본원인을 인식하고 근거중심의 표준화된 실무지침서를 준수하여 수혈오류를 예방하고 수혈의 안전하고 효율적인 사용을 도모하기 위함이...2022.04.14· 3페이지 -
수혈 간호 4페이지
수혈1. 정의순환 혈액량을 보충하고 혈액의 산소운반능력을 증강시키며 혈액 응고인자를 보충하기 위함2. 혈액 인수 절차1) 수혈 혈액 요청 처방을 확인한 후 EMR 상의 혈액을 표시하는 아이콘을 클릭하여 혈액 인수 확인서 출력2) 보조원이 혈액 운반 박스에 얼음을 넣어 혈액 인수 확인서 가지고 혈액 은행에서 적합시험보고서와 함께 수령3. 수혈 전, 중, 후 간호1) 수혈할 혈액이 도착하면 의료인 2명이 혈액상태(색, 누출, 기포, 혼탁 등)와 의사처방 및 혈액백의 ABO, Rh Type과혈액번호, 환자의 ID 번호, 혈액백의 ID 번...2023.12.22· 4페이지 -
수혈 간호 8페이지
수혈 간호목차1. 목적2. 수혈의 과정 및 방법3. 혈액불출과정4. 간호단위에서의 불출혈액 확인과 보관5. 준비물6. 수혈방법7. 수혈과 관련된 합병증의 요인 및 증상8. 수혈 부작용 시 대처방안9. 수혈 시 주의사항10. 혈액의 반납 및 폐기1. 목적1) 손실된 순환 혈액량을 보충하고2) 부족된 응고인자를 보충하여 혈액을 교정하고3) 빈혈 환자의 산소운반 능력을 증가하고4) 수혈 받는 동안에 합병증을 최소화하고 부작용 발생 시 적절히 대처하기 위함이다.【참 조 : 혈액성분의 종류】혈액성분적 응 증용 량주입시간기대효과농축적혈구P -...2024.06.08· 8페이지 -
수혈간호 4페이지
성인간호학-수혈간호-수혈간호Ⅰ. 수혈의 목적-환자에게 혈액을 보충하기 위함(수혈 자체가 여러 위험성이 있으므로 충분한 고려 후 시행)Ⅱ. 혈액의 종류와 적응증·전혈(whole blood)-다량 실혈 시 산소 공급의 보충 위해 수혈·농축적혈구(Packed-RBC)-조직에 산소 공급 증가 위해, 빈혈, 출혈 시 가장 우선적·백혈구제거적혈구(Leucocyte-depleted RBC)-원심법, 필터 등으로 백혈구를 여과- 발열성 수혈부작용을 일으키는 대상자에게 수혈·방사선 조사 적혈구 (Gamma-irradiated RBC)-혈액제제에 불...2021.07.21· 4페이지 -
수혈간호 10페이지
수혈간호수혈(blood transfusion)- 전혈(whole blood)이나 혈장, 적혈구, 혈소판과 같은 혈액 성분을 정맥 내로 주입하는 것.1. 수혈의 목적- 질병이나 외상, 수술 등으로 인해 손실된 순환 혈액량을 보충하기 위함.- 급성, 만성 빈혈 시에 적혈구 수를 증가시키고 헤모글로빈 수준을 유지하며 산소 운반 능 력을 높이기 위해- 혈액응고 인자, 혈소판, 알부민 등 부족한 혈액성분을 보충하기 위해2. 혈액형 검사와 교차반응 검사(검사 처방 , 검체용기 사진 첨부)- ABO/ RH typing: 대상자의 혈액형을 판단하...2023.12.04· 10페이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