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성인간호학 CASESTUDY> 간경화(간호사정 및 진단 2개)
본 내용은
"
<성인간호학 CASESTUDY> 간경화(간호사정 및 진단 2개)
"
의 원문 자료에서 일부 인용된 것입니다.
2024.12.20
문서 내 토픽
  • 1. 간경화
    대상자는 진단명 Liver cirrhosis를 가진 60세의 남성이다. 과거력에 간암, C형 간염이 있으며 아버지가 간암으로 사망한 가족력이 있다. 대상자는 높은 bilinogen 수치로 인한 황달 증세 (yellowish)를 보였다. 전체 관찰시 피부가 건조하고 힘이 없어 보이며, 색소침착과 멍이 있었다. 시각, 후각, 청각, 미각은 이상이 없었다. 대상자는 3월 15일 입원하였는데, 3월 19일 체중 측정 당시(66.5kg) 입원당시(62.5kg)보다 약 4kg정도 체중이 증가한 것이 확인되었다. 3월 21일 abd. mild distension이 느껴져 대상자를 시진-청진-타진-촉진 순으로 사정하였으며 타진 시에 탁음이 아래 고음이 위쪽에서 들려 ascites가 예상 되었다. 11:30am paracentesis를 시행하였다. 과거 paracentesis 시행한 적 있었으나 치료 당일 역시 불안감 호소하였다. 복수가 조절되지 않아 복부 마취 후 needle 복강으로 삽입 후 복강 내에 있는 복수를 제거하였다.
  • 2. 간 기능 저하
    3월 22일 대상자의 진단 검사 결과가 나왔는데 bilinogen 수치가 계속적으로 상승함이 발견되었다. 반면, ALT, AST, ALP 수치는 높은 것으로 간 손상을 확인 할 수 있었다. albumin 수치도 낮아 저삼투성 불균형과 출혈의 위험성이 있을 수 있다고 판단되었다. 그로 인한 사지 말단의 edema가 관찰되었다.
Easy AI와 토픽 톺아보기
  • 1. 간경화
    간경화는 간 조직이 점진적으로 손상되어 정상적인 간 기능이 저하되는 질환입니다. 주요 원인으로는 만성 간염, 알코올 섭취, 지방간 등이 있습니다. 간경화가 진행되면 간 기능이 저하되어 복수, 식도 정맥류, 간성 혼수 등의 합병증이 발생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간경화 환자는 정기적인 검진과 함께 원인 질환에 대한 적절한 치료가 필요합니다. 또한 금주, 저염식, 운동 등의 생활습관 관리도 중요합니다. 간경화는 완치가 어려운 질환이지만, 적극적인 관리와 치료를 통해 증상을 완화하고 합병증을 예방할 수 있습니다.
  • 2. 간 기능 저하
    간 기능 저하는 간 손상으로 인해 간의 정상적인 기능이 감소하는 상태를 말합니다. 주요 원인으로는 바이러스 간염, 알코올성 간질환, 지방간, 약물 부작용 등이 있습니다. 간 기능이 저하되면 단백질 합성, 해독, 담즙 분비 등의 간 기능이 저하되어 다양한 증상이 나타날 수 있습니다. 이에 따라 피로감, 식욕 부진, 복수, 황달 등이 발생할 수 있습니다. 간 기능 저하 환자는 원인 질환에 대한 치료와 함께 식이 요법, 운동, 금주 등의 생활습관 관리가 필요합니다. 또한 정기적인 검진을 통해 간 기능을 모니터링하고 합병증을 예방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주제 연관 리포트도 확인해 보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