자궁경관무력증 케이스스터디
본 내용은
"
여성건강간호학실습2 자궁경관무력증 케이스스터디
"
의 원문 자료에서 일부 인용된 것입니다.
2024.12.18
문서 내 토픽
  • 1. 자궁경관무력증
    자궁경관무력증(incompetent cervix)은 자궁경부의 구조적 및 기능적 장애로 인해 임신 2기 또는 3기 초기에 진통이나 자궁수축 없이 무통성 자궁경부 개대가 있으면서 양막이 질내로 탈출되거나 파열되어 조기 양막파열로 인한 조산(preterm premature rupture of membranes, PPROM)이나 습관성 유산이 되는 것이다. 경관무력증의 원인은 외상성인 경우 과거 분만 시 받은 경관열상이나 소파술, 원추조직절제술, 전기소작법 등으로 인한 경관 손상이며, 선천성인 경우는 디에틸스틸베스트롤(diethylstilbestrol, DES)에 노출되어 자궁경부가 비정상적으로 발육되었을 경우에 나타난다. 자궁경부 조직의 구성(콜라겐 결핍) 및 모체의 스트레스도 조기 자궁경부개대와 연관이 있다고 한다.
  • 2. 자궁경관무력증의 증상과 진단
    자궁경부무력증은 대개 임신 16~28주 사이에 자궁 경부가 개대되며, 임상적으로 전형적인 증상은 대부분 없다. 요통, 골반통, 배변감, 질 압박감, 생리통 유사 통중, 질출혈, 질 분비물 등이 동반될 수 있으며, 자궁경부의 무통성 개대, 이슬, 양막의 팽윤 등이 나타날 수 있다. 진단은 임상적 병력에 기초하여 내리며, 임신 2기 특히 24주 전에 갑자기 통증 없이 파막되거나 자궁경부가 개대되어 태아가 배출된다. 반복되는 임신 중기 자연유산의 병력이 있는 임부라면 일단 자궁경부무력증을 의심해야 한다. 질 초음파는 자궁경부의 길이, 소실 및 개대를 사정하는 데 이용된다.
  • 3. 자궁경관무력증의 치료
    내과적인 관리로는 침상안정과 활동제한을 할 수 있으나 치료효과가 없으며, 페서리 사용의 이점도 제한적이다. 외과적인 교정으로 자궁경부원형결찰술(cervical cerclage)을 시행한다. 비임신 시에는 쐐기형 봉합술(wedge trachelorthaphy)을 시행하고 임신 중에는 비흡수성 실인 mersilene tape로 자궁경부를 묶어 자궁경부 내구를 좁혀 주는 맥도날드 교정술(McDonald cerclage)을 해준다. 쉬로드카 교정술(Shirodkar cerclage)은 질 점막을 들어올리고 mersilene tape로 내구 주위를 묶어준 다음 질 점막을 제자리에 돌려놓고 봉합한다. 자궁봉합시기는 자궁경부의 변화가 확인된 후 예방적, 치료적 또는 응급시술이냐에 따라 다르다.
  • 4. 자궁경관무력증 임부의 간호
    자궁경부무력증 임부의 간호는 대상자의 자아개념, 임신상실에 대처하는 능력, 치료에 대한 이해력 등에 초점을 맞추어야 한다. 자궁경부무력증 교정술을 한 이후에 양막파열, 자궁수축, 융모양막염, 태아심음을 관찰하고 이를 예방하기 위해 절대 침상안정 및 자궁 근이완제를 투여한다. 임부는 수축과 감염징후가 없을 때까지 병원에 입원하여 관리를 받아야 한다. 퇴원교육은 조산, 조기파막, 감염의 증상과 징후에 초점을 둔다. 임부에게 보존적인 관리로서, 가정에서 침상한정의 중요성과 세심한 관찰과 관리의 필요성을 이해시킨다.
Easy AI와 토픽 톺아보기
  • 1. 자궁경관무력증
    자궁경관무력증은 임신 중 자궁경관이 약해져 조기 개대되는 산과적 합병증입니다. 이로 인해 조산, 유산, 조기 양막 파수 등의 위험이 높아집니다. 자궁경관무력증은 임신 초기부터 발생할 수 있으며, 임신 중기와 후기에 더 많이 나타납니다. 임신부의 연령, 다산력, 자궁경관 손상 병력 등이 위험 요인이 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임신부는 정기적인 산전 검진을 통해 자궁경관 상태를 면밀히 관찰하고, 증상이 있는 경우 신속한 진단과 적절한 치료가 필요합니다.
  • 2. 자궁경관무력증의 증상과 진단
    자궁경관무력증의 주요 증상은 조기 자궁경관 개대, 조기 양막 파수, 질 분비물 증가, 하복부 통증 등입니다. 이러한 증상이 있는 경우 산과 전문의의 진찰과 함께 자궁경관 길이 측정, 질 초음파 검사, 자궁경관 내압 측정 등의 진단 검사가 필요합니다. 자궁경관 길이가 짧아지거나 자궁경관 내압이 낮은 경우 자궁경관무력증으로 진단할 수 있습니다. 조기 진단과 적절한 치료가 중요하므로 임신부는 증상 발생 시 즉시 의사와 상담해야 합니다.
  • 3. 자궁경관무력증의 치료
    자궁경관무력증의 치료 방법에는 크게 보존적 치료와 수술적 치료가 있습니다. 보존적 치료로는 침상 안정, 자궁경관 봉합술, 자궁경관 원추 절제술 등이 있습니다. 침상 안정은 자궁경관 부하를 줄여 조기 개대를 예방하고, 자궁경관 봉합술은 자궁경관을 물리적으로 막아 조기 개대를 방지합니다. 자궁경관 원추 절제술은 자궁경관 길이를 늘려 조기 개대를 막는 방법입니다. 수술적 치료로는 자궁경관 봉합술이 대표적이며, 이는 자궁경관 개대를 막아 조산을 예방할 수 있습니다. 치료 방법은 임신 주수, 자궁경관 상태, 증상 정도 등을 고려하여 결정해야 합니다.
  • 4. 자궁경관무력증 임부의 간호
    자궁경관무력증 임부의 간호에는 다음과 같은 사항이 포함됩니다. 첫째, 임부의 활동을 최소화하고 침상 안정을 취하도록 합니다. 둘째, 자궁경관 상태를 정기적으로 관찰하고 기록합니다. 셋째, 조기 양막 파수, 자궁수축, 출혈 등의 증상 발생 시 즉시 의사에게 보고합니다. 넷째, 영양 섭취와 수분 섭취를 잘 유지하도록 돕습니다. 다섯째, 임부의 불안감을 해소하고 정서적 지지를 제공합니다. 여섯째, 자궁경관 봉합술 등의 수술적 치료 시 수술 전후 간호를 제공합니다. 이와 같은 포괄적인 간호 중재를 통해 자궁경관무력증 임부의 건강과 안녕을 도모할 수 있습니다.
주제 연관 토픽을 확인해 보세요!
주제 연관 리포트도 확인해 보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