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4 학점은행제 영문법 기말고사 기출문제
본 내용은
"
2024 학점은행제 영문법 기말고사 기출문제
"
의 원문 자료에서 일부 인용된 것입니다.
2024.12.08
문서 내 토픽
  • 1. 관계절
    관계절 내에서 선행사와 공통명사(the woman)가 전치사의 목적어일 경우 '전치사+관계대명사' 형태가 된다. 이때 관계대명사는 목적격(whom)으로 표현해야 한다.
  • 2. 도치문
    1절이 도치될 경우 f1가 생략되고 주어와 동사가 도치된다. 이때 부정어(not)은 함께 따라나갈 수 없다.
  • 3. there be 구문
    차량이 많지 않았다의 의미이므로 there be(~이 있다) 구문이 사용된다. traffic은 불가산명사이므로 단수취급한다.
  • 4. 시간 표현
    during(전치사)과 while(접속사)은 기간을 나타낸다. while은 시간의 부사절 접속사로 미래를 나타낼 때 현재시제를 써야 한다.
  • 5. 간접의문문
    간접의문문의 어순은 '의문사 주어 동사'이고 Tom은 3인칭이므로 (where) Tom has gone이 정답이다.
  • 6. 비교 표현
    셋 이상의 비교는 최상급을, 둘 중에서(of the two) 비교는 the 비교급을 쓴다.
  • 7. 관계대명사
    선행사가 장소(the first place)이고 빈칸 뒤 완전한 절이 왔으므로 관계부사 where, that, '전치사 +관계대명사'가 들어갈 수 있다. 그 장소에서 라는 의미이므로 at which(=at the place)가 된다.
  • 8. 능력 표현
    '~할 능력이 있다'는 be capable of이고 관계대명사 + be동사가 생략되어 있다. He is a man (who is) capable of teaching French.
  • 9. 지시대명사
    두 대상 중 나머지 하나를 지칭할 때 the other를 쓴다.
  • 10. 관계대명사 생략
    선행사가 사물(the dress)이고 관계절에 bought의 목적어가 빠져 있으므로 목적격 관계대명사를 써야 한다. 이때 목적격 관계대명사는 생략할 수 있다.
Easy AI와 토픽 톺아보기
  • 1. 관계절
    관계절은 문장 내에서 명사를 수식하는 역할을 합니다. 관계절은 주절과 종속절로 구성되며, 관계대명사나 관계부사를 사용하여 두 절을 연결합니다. 관계절은 문장의 구조를 복잡하게 만들지만, 문장의 의미를 명확하게 전달할 수 있습니다. 관계절을 적절하게 사용하면 문장의 정확성과 명확성을 높일 수 있습니다. 다만 관계절이 너무 길어지면 문장이 복잡해질 수 있으므로 적절한 길이와 구조로 사용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 2. 도치문
    도치문은 일반적인 문장 구조에서 주어와 동사의 순서가 바뀐 문장 형태입니다. 도치문은 강조나 의문을 표현하는 데 효과적으로 사용될 수 있습니다. 예를 들어 'Never have I seen such a beautiful sunset.'과 같은 문장에서 동사가 주어 앞에 위치하여 강조의 효과를 줍니다. 또한 의문문에서도 'Did you go to the park yesterday?'와 같이 동사가 주어 앞에 오는 도치문 형태를 사용할 수 있습니다. 도치문은 문장의 리듬감과 강조점을 조절하는 데 유용하지만, 과도하게 사용하면 문장이 어색해질 수 있으므로 적절한 사용이 필요합니다.
  • 3. there be 구문
    there be 구문은 존재를 나타내는 문장 구조입니다. 이 구문은 'there is/are'와 같은 형태로 사용되며, 주어 뒤에 동사가 오는 비전형적인 어순을 가집니다. there be 구문은 새로운 정보를 도입하거나 상황을 설명할 때 유용하게 사용될 수 있습니다. 예를 들어 'There is a book on the table.'과 같은 문장에서 'a book'이 새로운 정보로 도입됩니다. 또한 'There are many people in the park.'와 같이 상황을 설명할 때도 사용할 수 있습니다. 다만 there be 구문은 문장의 구조가 다르기 때문에 과도하게 사용하면 문장이 어색해질 수 있으므로 적절한 사용이 필요합니다.
  • 4. 시간 표현
    시간 표현은 문장에서 사건이나 행동이 일어나는 시간을 나타내는 중요한 요소입니다. 영어에서는 다양한 시간 표현 방식이 사용됩니다. 예를 들어 'at 3 o'clock', 'on Monday', 'in the morning' 등과 같이 시간, 요일, 시간대 등을 나타낼 수 있습니다. 또한 'yesterday', 'last week', 'next year' 등의 표현으로 상대적인 시간을 나타낼 수도 있습니다. 시간 표현은 문장의 의미를 명확하게 전달하는 데 중요한 역할을 하므로, 상황에 맞는 적절한 시간 표현을 사용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 5. 간접의문문
    간접의문문은 직접 질문하는 것이 아니라 간접적으로 질문하는 문장 구조입니다. 간접의문문은 'whether', 'if', 'what', 'when', 'where', 'why', 'how' 등의 의문사를 사용하여 구성됩니다. 예를 들어 'I wonder if it will rain today.'와 같은 문장에서 'if it will rain today'가 간접의문문입니다. 간접의문문은 직접 질문하는 것보다 부드럽고 공손한 느낌을 줄 수 있어 상황에 따라 적절히 사용하면 효과적입니다. 다만 간접의문문은 문장 구조가 복잡해질 수 있으므로 적절한 사용이 필요합니다.
  • 6. 비교 표현
    비교 표현은 두 개 이상의 대상을 비교할 때 사용됩니다. 영어에서는 'than', 'as...as', 'more/less...than' 등의 비교 표현을 사용할 수 있습니다. 예를 들어 'John is taller than Mary.'와 같이 'than'을 사용하여 두 사람의 키를 비교할 수 있습니다. 또한 'This book is as interesting as that one.'과 같이 'as...as'를 사용하여 두 대상의 특성을 비교할 수 있습니다. 비교 표현은 대상 간의 차이를 명확하게 전달할 수 있어 효과적이지만, 문장이 복잡해질 수 있으므로 적절한 사용이 필요합니다.
  • 7. 관계대명사
    관계대명사는 문장 내에서 명사를 대신하여 두 절을 연결하는 역할을 합니다. 영어에서 사용되는 대표적인 관계대명사로는 'who', 'whom', 'whose', 'which', 'that' 등이 있습니다. 예를 들어 'The woman who lives next door is my neighbor.'와 같이 'who'를 사용하여 명사 'woman'을 대신하고 두 절을 연결할 수 있습니다. 관계대명사는 문장의 구조를 복잡하게 만들 수 있지만, 문장의 의미를 명확하게 전달하는 데 도움이 됩니다. 따라서 상황에 맞는 적절한 관계대명사를 사용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 8. 능력 표현
    능력 표현은 어떤 행동을 할 수 있는 능력을 나타내는 문장 구조입니다. 영어에서는 'can', 'could', 'be able to' 등의 표현을 사용하여 능력을 나타낼 수 있습니다. 예를 들어 'I can speak three languages.'와 같이 'can'을 사용하여 언어 구사 능력을 표현할 수 있습니다. 또한 'She will be able to finish the project on time.'과 같이 'be able to'를 사용하여 미래의 능력을 나타낼 수도 있습니다. 능력 표현은 화자의 기술, 지식, 기회 등을 나타내는 데 유용하며, 상황에 맞는 적절한 표현을 사용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 9. 지시대명사
    지시대명사는 명사를 대신하여 특정한 대상을 가리키는 역할을 합니다. 영어에서 사용되는 대표적인 지시대명사로는 'this', 'that', 'these', 'those' 등이 있습니다. 예를 들어 'This book is interesting.'과 같이 'this'를 사용하여 특정한 책을 가리킬 수 있습니다. 또한 'Those shoes are too expensive.'와 같이 'those'를 사용하여 멀리 있는 신발을 가리킬 수도 있습니다. 지시대명사는 문장에서 명사를 반복하지 않고도 대상을 명확하게 지칭할 수 있어 효과적이지만, 문맥에 맞는 적절한 사용이 필요합니다.
  • 10. 관계대명사 생략
    관계대명사 생략은 관계절에서 관계대명사를 생략하는 문장 구조입니다. 예를 들어 'The book (that) I bought yesterday is very interesting.'과 같이 관계대명사 'that'을 생략할 수 있습니다. 관계대명사 생략은 문장을 더 간결하게 만들 수 있지만, 문장의 의미가 모호해질 수 있습니다. 따라서 관계대명사 생략은 문맥이 명확할 때 적절하게 사용해야 합니다. 관계대명사를 생략하면 문장이 더 자연스럽고 유창해질 수 있지만, 필요한 경우 관계대명사를 사용하여 문장의 의미를 명확히 하는 것도 중요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