멸균물품관리
본 내용은
"
멸균물품관리
"
의 원문 자료에서 일부 인용된 것입니다.
2024.11.07
문서 내 토픽
  • 1. 세척의 목적
    의료기구의 올바른 세척, 소독, 멸균 관리를 통해 의료관련 감염 발생 위험을 최소화하기 위함
  • 2. 적용 대상
    중앙공급실로 의뢰되어 불출되어 지는 모든 물품과 기구
  • 3. 세척, 소독, 멸균의 정의
    세척: 물과 기계적 마찰 세제를 이용하여 기구의 오염을 제거하는 과정 소독: 세균의 아포를 제외한 모든 미생물을 제거하는 방법 멸균: 세균의 아포를 포함한 모든 형태의 미생물을 제거하는 방법
  • 4. 멸균물품 관리
    - 오염물품과 청결물품(멸균 후 물품) 전용용기 및 운반 카트 사용 - 오염 싱크와 청결 싱크 구분 사용 - 멸균물품 보관 시 유효기간 관리를 위해 선입선출 원칙 준수 - 불필요한 접촉 최소화하고 보관장 문 닫아둠 - 세척 직원의 보호구 착용(일회용 긴팔 가운, 앞치마, 마스크, 장갑, 안면 보호구 등)
  • 5. 기구 소독 및 멸균 방법
    - 고위험 기구: 멸균/화학멸균 - 준위험 기구: 화학멸균/높은 수준 소독 - 비위험 기구: 낮은 수준 소독
  • 6. 화학적 표지자 사용
    - 외부용: 멸균 여부 확인 - 내부용: 멸균 요인 노출 및 멸균과정 실패 여부 확인
  • 7. 멸균 방법
    - 고압증기멸균: 134°C, 15분, 20분 건조 - EO gas 멸균: 55°C 저온 멸균 - Plasma 멸균: 과산화수소 캡슐 이용, 60°C 이하, 1시간
  • 8. 멸균물품 포장 및 유효기간
    - 린넨/부직포: 2주, 파우치 포장재: 4주(steam), 6개월(EO gas) - 캔류: 1주, 오픈 시 1일
  • 9. 멸균물품 보관 관리
    - 온도 24°C 이하, 상대습도 30-70% 유지 - 양압 유지, 매일 환경소독제로 청소 - 바닥-20-25cm, 천장-45-50cm, 벽-5cm 떨어진 선반에 정리 - 유효기간 점검, 선입선출 원칙 준수 - 포장 손상, 젖음, 멸균 테이프 탈락 등 재멸균 대상
Easy AI와 토픽 톺아보기
  • 1. 세척의 목적
    세척의 목적은 의료기기나 물품에 묻어있는 오염물질을 제거하여 안전하고 위생적인 상태로 만드는 것입니다. 세척은 소독이나 멸균 과정에 앞서 필수적으로 수행되어야 하며, 이를 통해 오염물질이 제거되면 소독이나 멸균 효과를 높일 수 있습니다. 또한 세척은 의료기기나 물품의 수명을 연장시키고 사용자의 안전을 보장하는 데 중요한 역할을 합니다. 따라서 세척 과정은 의료기관에서 매우 중요하게 다루어져야 하며, 체계적이고 표준화된 세척 절차를 마련하여 엄격하게 준수해야 할 것입니다.
  • 2. 적용 대상
    세척, 소독, 멸균 등의 처리 대상은 의료기관에서 사용되는 모든 기구, 장비, 물품 등입니다. 이는 환자 진료나 처치에 사용되는 의료기기뿐만 아니라 의료진의 개인위생용품, 병실 및 병원 내 환경 등 광범위한 영역을 포함합니다. 특히 환자와 직접 접촉하는 기구나 장비의 경우 철저한 세척, 소독, 멸균 관리가 필요합니다. 또한 멸균이 필요한 물품과 그렇지 않은 물품을 구분하여 관리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이를 통해 의료기관 내 감염 예방과 환자 안전을 도모할 수 있을 것입니다.
  • 3. 세척, 소독, 멸균의 정의
    세척, 소독, 멸균은 의료기관에서 감염 예방을 위해 필수적으로 수행되는 과정입니다. 세척은 물리적 또는 화학적 방법을 통해 오염물질을 제거하는 것을 말합니다. 소독은 병원체를 사멸시키거나 불활성화시켜 감염 위험을 낮추는 것이며, 멸균은 모든 병원체를 완전히 제거하여 무균 상태를 만드는 것을 의미합니다. 이 세 가지 과정은 위계적으로 연결되어 있으며, 세척 → 소독 → 멸균의 순서로 진행됩니다. 각 과정의 목적과 방법이 명확히 구분되어야 하며, 상황에 맞는 적절한 처리 방법을 선택하여 적용해야 할 것입니다.
  • 4. 멸균물품 관리
    멸균된 의료기기나 물품은 무균 상태를 유지하여 환자 감염 위험을 최소화해야 합니다. 이를 위해 멸균 물품의 포장, 보관, 유통, 사용 등 전 과정에 걸쳐 철저한 관리가 필요합니다. 멸균 물품은 오염되지 않도록 적절한 포장재를 사용하여 보관해야 하며, 보관 장소의 온도, 습도, 청결도 등을 관리해야 합니다. 또한 멸균 물품의 유효기간을 준수하고, 사용 전 포장 상태를 확인하는 등 체계적인 관리 시스템을 갖추어야 합니다. 이를 통해 멸균 물품의 무균성을 보장하고 환자 안전을 확보할 수 있을 것입니다.
  • 5. 기구 소독 및 멸균 방법
    의료기관에서 사용되는 기구와 장비는 용도와 특성에 따라 적절한 소독 및 멸균 방법을 선택하여 적용해야 합니다. 일반적으로 열에 강한 기구는 고압증기멸균법을 사용하고, 열에 약한 기구는 화학적 멸균법을 사용합니다. 또한 일회용 기구는 사용 후 폐기하고, 재사용 기구는 세척-소독-멸균 과정을 거쳐야 합니다. 이 과정에서 각 단계별 표준 절차를 준수하고, 멸균 효과를 확인하기 위한 화학적/생물학적 지표를 사용해야 합니다. 이를 통해 의료기관 내 감염 예방과 환자 안전을 도모할 수 있을 것입니다.
  • 6. 화학적 표지자 사용
    화학적 표지자는 멸균 과정의 유효성을 확인하기 위해 사용되는 중요한 도구입니다. 화학적 표지자는 멸균 과정 중 온도, 압력, 시간 등의 변화를 감지하여 변색 등의 반응을 일으킴으로써 멸균 여부를 확인할 수 있습니다. 이를 통해 멸균 실패 시 해당 물품의 사용을 방지하고 재멸균 여부를 판단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의료기관에서는 멸균 물품 관리 시 화학적 표지자를 적극 활용하여 멸균 과정의 유효성을 지속적으로 모니터링해야 합니다. 이는 환자 안전과 직결되는 중요한 관리 방안이라고 할 수 있습니다.
  • 7. 멸균 방법
    의료기관에서 사용되는 멸균 방법에는 고압증기멸균법, 화학적 멸균법, 방사선 멸균법 등이 있습니다. 각 방법은 장단점이 있으므로 멸균 대상 물품의 특성과 용도에 따라 적절한 방법을 선택해야 합니다. 고압증기멸균법은 가장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방법으로, 열에 강한 기구에 적합합니다. 화학적 멸균법은 열에 약한 물품에 사용되며, 방사선 멸균법은 일회용 의료기기 멸균에 주로 활용됩니다. 이 외에도 저온 플라즈마 멸균법 등 새로운 멸균 기술이 개발되고 있습니다. 의료기관에서는 각 멸균 방법의 특성을 이해하고, 상황에 맞는 최적의 멸균 방법을 선택하여 적용해야 할 것입니다.
  • 8. 멸균물품 포장 및 유효기간
    멸균된 의료기기나 물품은 오염되지 않도록 적절한 포장재를 사용하여 보관해야 합니다. 포장재는 멸균 과정에서 손상되지 않고 물품의 무균성을 유지할 수 있어야 합니다. 또한 멸균 물품의 유효기간은 포장 상태, 보관 환경, 멸균 방법 등에 따라 달라지므로 이를 고려하여 설정해야 합니다. 유효기간이 지난 멸균 물품은 재멸균 또는 폐기해야 합니다. 이처럼 멸균 물품의 포장과 유효기간 관리는 무균성 유지를 위해 매우 중요한 요소입니다. 의료기관에서는 이에 대한 체계적인 관리 시스템을 갖추어야 할 것입니다.
  • 9. 멸균물품 보관 관리
    멸균된 의료기기나 물품은 오염되지 않도록 적절한 보관 환경을 유지해야 합니다. 보관 장소는 청결하고 건조한 곳으로, 온도와 습도를 적정 수준으로 관리해야 합니다. 또한 멸균 물품은 먼지나 습기, 해충 등으로부터 보호될 수 있도록 적절한 보관함이나 캐비닛에 보관해야 합니다. 보관 중 포장 상태를 정기적으로 점검하여 손상이나 오염 여부를 확인해야 하며, 유효기간을 준수하여 사용해야 합니다. 이와 같은 체계적인 보관 관리를 통해 멸균 물품의 무균성을 유지하고 환자 안전을 보장할 수 있을 것입니다.
주제 연관 토픽을 확인해 보세요!
주제 연관 리포트도 확인해 보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