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A+ 중앙공급실 업무분석 및 소독과 멸균물품 관리
본 내용은
"
A+ 중앙공급실 업무분석 및 소독과 멸균물품 관리
"
의 원문 자료에서 일부 인용된 것입니다.
2023.08.27
문서 내 토픽
-
1. 중앙공급실중앙공급실(central supply and sterile room)이란 환자의 안전과 치료 및 감염 예방을 위해 병원에서 사용하는 물품을 멸균처리하며 멸균 또는 비멸균 물품과 장비를 통제하고 처리, 공급하는 부서이다. 중앙공급실에서 근무하는 직업군은 병원중앙공급실관리자와 중앙공급간호사가 있으며, 이들은 약 13개의 임무와 64개의 작업을 수행한다. 중앙공급실의 목적은 멸균 물품 공급에 필요한 체제 확립 및 유지하며 중앙공급실 직원의 교육과 자질향상을 통해 안정성이 보장된 멸균 물품을 제공하는 것이다.
-
2. 중앙공급실 업무중앙공급실 업무로는 멸균업무 및 공급, 세탁업무, 린넨 및 근무복 관리 업무가 있다. 멸균업무 및 공급과정은 청결 유지와 복장 규칙 준수, 물품 세척 및 멸균, 멸균 물품 관리 및 공급 등이 포함된다. 세탁업무는 오염세탁물과 기타세탁물 구분, 감염 예방 등이 중요하다. 린넨 및 직원 근무복 관리업무는 청결한 복장과 감염 예방을 위해 세탁, 건조, 수선, 품목별 관리 등을 수행한다.
-
3. 중앙공급실 구성최적의 중앙공급실 구성은 병원 중심부에 위치하고, 짧은 동선과 엘리베이터와 가까우며 작업실과 멸균품 보관실이 따로 분리된 장소가 좋다. 멸균품과 비멸균품이 혼합되지 않도록 주의해야 하고, 넓은 공간을 확보해 적절한 동선과 의료진 및 환자와 부딪히는 사고를 발생하지 않게 해야 한다.
-
4. 소독소독(disinfection)이란 소독제를 이용하여 아포를 제외한 병원 미생물을 사멸하거나 수를 감소시켜 발육과 증식을 저지하고 약화시켜 감염의 위험을 제거하는 과정이다. 소독제의 효과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으로는 미생물의 농도, 소독제의 농도, 소독제의 불활성화 등이 있다. 소독제 선택 시 고려사항으로는 살균력, 침투력, 용해성, 안전성, 사용법 등이 있다. 대표적인 소독제로는 페놀, 알코올, 계면활성제, 할로겐, 중금속이온, 클로르헥시딘, 글루타르알데히드, EO가스 등이 있다.
-
5. 멸균멸균(sterilization)이란 모든 종류의 미생물과 아포를 사멸시키는 것이다. 병원에서 사용하는 멸균 방법으로는 증기멸균법, EO가스멸균법, 건열멸균법, 과산화수소 가스플라즈마 멸균법 등이 있다. 습열멸균법에는 저온살균법, 자비소독, 고압증기멸균이 있으며, 건열멸균법에는 소각, 화학멸균이 있다. 소독과 멸균의 차이는 아포를 사멸시킬 수 있는지 여부에 따라 구분된다.
-
6. 실제 적용 사례부산 나르샤병원은 세척기와 멸균기를 도입하여 중앙공급실에서 사용하고 있다. 손 소독제, 락스, 냉장 보관 등 다양한 소독과 멸균 사례가 일상생활에서 활용되고 있다.
-
1. 중앙공급실중앙공급실은 병원 내에서 매우 중요한 역할을 담당하는 부서입니다. 이 부서는 병원 내 모든 부서에 필요한 의료기구와 물품을 공급하고 관리하는 역할을 합니다. 중앙공급실은 병원 내 감염 관리와 환자 안전을 위해 매우 중요한 부서라고 할 수 있습니다. 중앙공급실에서는 의료기구와 물품의 세척, 소독, 멸균 등의 과정을 거쳐 안전하고 위생적인 상태로 관리하고 있습니다. 이를 통해 병원 내 감염 예방과 환자 안전을 도모하고 있습니다. 또한 중앙공급실은 병원 내 다른 부서와의 긴밀한 협력을 통해 효율적인 물품 관리와 공급이 이루어지도록 하고 있습니다.
-
2. 중앙공급실 업무중앙공급실의 주요 업무는 병원 내 모든 부서에 필요한 의료기구와 물품을 공급하고 관리하는 것입니다. 구체적으로는 의료기구와 물품의 세척, 소독, 멸균 등의 처리 과정을 거쳐 위생적인 상태로 관리하고, 각 부서의 요구에 맞추어 적시에 공급하는 것입니다. 또한 재고 관리와 주문 업무, 물품 보관 및 배송 등의 업무도 수행합니다. 이를 통해 병원 내 감염 예방과 환자 안전을 도모하고, 각 부서의 원활한 운영을 지원하고 있습니다. 중앙공급실의 업무는 병원 전체의 효율적인 운영을 위해 매우 중요한 역할을 담당하고 있다고 볼 수 있습니다.
-
3. 중앙공급실 구성중앙공급실은 병원 내에서 매우 중요한 역할을 담당하는 부서이므로, 그 구성과 운영이 체계적이고 전문적이어야 합니다. 중앙공급실은 크게 세척실, 소독실, 멸균실, 보관실, 배송실 등으로 구성됩니다. 각 실에는 전문 인력이 배치되어 해당 업무를 수행하고 있습니다. 또한 중앙공급실은 병원 내 다른 부서와의 긴밀한 협력 체계를 갖추고 있어야 합니다. 이를 통해 효율적인 물품 관리와 공급이 이루어질 수 있습니다. 중앙공급실의 구성과 운영이 체계적이고 전문적일수록, 병원 전체의 감염 관리와 환자 안전이 더욱 강화될 것입니다.
-
4. 소독소독은 중앙공급실에서 매우 중요한 과정입니다. 소독은 의료기구와 물품에 존재하는 병원성 미생물을 제거하거나 사멸시키는 과정입니다. 이를 통해 의료기구와 물품의 안전성을 확보할 수 있습니다. 중앙공급실에서는 화학적 소독제를 사용하거나 열 소독 등의 방법을 통해 소독을 실시하고 있습니다. 소독 과정은 철저한 관리와 검증이 필요하며, 소독 후에도 오염 방지를 위한 적절한 보관과 취급이 이루어져야 합니다. 소독은 병원 내 감염 예방을 위해 매우 중요한 과정이라고 할 수 있습니다.
-
5. 멸균멸균은 중앙공급실에서 가장 중요한 과정 중 하나입니다. 멸균은 의료기구와 물품에 존재하는 모든 미생물을 완전히 제거하는 과정입니다. 이를 통해 의료기구와 물품의 무균성을 확보할 수 있습니다. 중앙공급실에서는 고압증기멸균기, 건열멸균기, 가스멸균기 등 다양한 멸균 장비를 사용하여 멸균 작업을 수행하고 있습니다. 멸균 과정은 철저한 관리와 검증이 필요하며, 멸균 후에도 오염 방지를 위한 적절한 보관과 취급이 이루어져야 합니다. 멸균은 병원 내 감염 예방을 위해 필수적인 과정이라고 할 수 있습니다.
-
6. 실제 적용 사례중앙공급실의 실제 적용 사례를 살펴보면, 병원 내 각 부서에서 필요한 의료기구와 물품을 공급받아 사용하고 있음을 알 수 있습니다. 예를 들어, 수술실에서는 멸균된 수술 기구와 물품을 중앙공급실에서 공급받아 사용하고 있으며, 응급실에서는 소독된 응급 물품을 중앙공급실에서 공급받아 사용하고 있습니다. 또한 병동에서는 멸균된 린넨과 환자 케어 물품을 중앙공급실에서 공급받아 사용하고 있습니다. 이처럼 중앙공급실은 병원 내 각 부서의 원활한 운영을 위해 필수적인 역할을 담당하고 있으며, 병원 내 감염 예방과 환자 안전을 위해 매우 중요한 부서라고 할 수 있습니다.
-
중앙공급실 업무분석 및 소독과 멸균 물품관리 6페이지
..FILE:mimetypeapplication/hwp+zip..FILE:version.xml..FILE:Contents/header.xml^1.^2.^3)^4)(^5)(^6)^7^8..FILE:Contents/section0.xml중앙공급실 업무분석 및 소독과 멸균 물품관리1. 중앙공급실이란특수 간호팀으로 분류되는 중앙공급실은 병원에 따라 중앙 멸균실이라고도 한다. 환자의 안전과 치료 및 감염예방을 위해 필요한 의료 기구, 소모품, 린넨 등의 물품을 적절하게 멸균처리하며, 멸균또는 비멸균 물품과 장비를 통제하고 관리하여 각 부서에...2023.08.24· 6페이지 -
임상실습 지침서, 간호관리학, 간호부 분석 30페이지
간호 관리학 실습임상실습 지침서제출일전 공oo대학교 간호학과과 목간호 관리학 실습이 름담당자ooo교수님ooo수간호사 선생님학번병원 간호부의철학 및 목적목적 및 사명1. 병원의 사명 (mission)인류의 건강과 행복한 삶을 책임지는 의료기관으로서 최상의 진료,연구, 교육을 통해 인간존중, 공존공영, 고객만족을 실천한다.3ps : people (safety) - 사회적 책임수행prosperity (sustainability) - 경제적 성과 창출patient (satisfaction) - 고객의 욕구만족2. 병원의 비전 (vision...2018.06.30· 30페이지 -
응급실 케이스 18페이지
1) 실습 내용 - 첨부자료실습 주제실습내용Orientation< 임시 응급실 구조 >? 응급실 건물 안 왼편 : 응급 접수 및 수납? 응급실 출입구 왼쪽 : 중앙스테이션 위치함? 응급실 출입구 오른쪽 : 소 수술실 :간단한 처치 및 응급실 물품 보관? 중앙스테이션 : 의료진 대기, 간호업무 , 물품 보관 등? 응급실 출입구 밖, 스테이션 앞 : 침대 2개 이상 항시 대기? 스테이션 맞은편 P구역 : 처치 및 심폐소생술 실시? P구역의 오른쪽 S구역 : 지속적인 모니터링이 필요한 환자 배치, EKG, Ventilator, O₂sup...2011.11.16· 18페이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