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갑과 을의 죄책 논의
본 내용은
"
다음을 읽고 갑과 을의 죄책을 논하시오
"
의 원문 자료에서 일부 인용된 것입니다.
2024.08.04
문서 내 토픽
-
1. 절도죄 성립 여부이 사례에서 갑과 을이 A의 가발가게에 들어가 인모 2kg을 훔쳐 달아났다는 점에서 절도죄의 구성요건이 충족된다고 볼 수 있다. 절도죄는 타인의 재물을 불법적으로 영득하려는 의사로 취득하는 것이 핵심이며, 갑과 을이 훔친 인모는 절도죄의 객체가 되는 재물에 해당한다. 또한 갑과 을은 A가 자리를 비운 사이 몰래 가게에 들어가 인모를 가져갔으므로 폭행이나 협박 없이 절취했다고 볼 수 있어 절도죄가 성립한다.
-
2. 공동정범 여부갑과 을은 절도를 하기로 공모하고 이를 실행에 옮겼으므로 공동정범으로 볼 수 있다. 문제에서 누군가가 주도적으로 범행을 기획하고 지시했다는 내용이 없으므로, 갑과 을이 모두 절도죄의 정범의 의사로 범죄 행위를 했다고 봐야 한다. 따라서 갑과 을은 각자 형법 제329조에 따라 6년 이하 징역 또는 1천만 원 이하의 벌금에 처해질 수 있다.
-
3. 친족상도례의 적용 여부갑은 A의 아들이므로 직계비속에 해당하여 형법 제344조의 친족상도례 규정이 적용되어 절도죄를 범했더라도 형이 면제된다. 그러나 공범인 을은 A와 직접적인 혈연관계가 없으므로 친족상도례가 적용되지 않아 절도죄로 처벌받게 된다. 즉, 갑은 친족상도례로 인해 형이 면제되지만 을은 절도죄에 대한 처벌을 받게 된다.
-
1. 절도죄 성립 여부절도죄 성립 여부에 대해서는 여러 가지 고려해야 할 사항이 있습니다. 우선 피해자의 소유물을 불법적으로 가져갔는지, 그리고 그 행위가 타인의 소유권을 침해하는 것인지 여부를 검토해야 합니다. 또한 행위자의 주관적 의도, 즉 타인의 물건을 절취할 의도가 있었는지도 중요한 요소입니다. 이러한 사실관계를 종합적으로 검토하여 절도죄 성립 여부를 판단해야 할 것 같습니다.
-
2. 공동정범 여부공동정범 성립 여부를 판단하기 위해서는 행위자들 간의 공동의 의사와 실행행위가 있었는지를 확인해야 합니다. 단순히 범행에 가담했다는 사실만으로는 공동정범이 성립되지 않으며, 범행계획의 공모, 범행실행에 대한 의사연락, 그리고 실제 범행수행 등이 입증되어야 합니다. 따라서 구체적인 사실관계를 면밀히 검토하여 공동정범 성립 여부를 판단해야 할 것 같습니다.
-
3. 친족상도례의 적용 여부친족상도례의 적용 여부를 판단하기 위해서는 행위자와 피해자 간의 친족관계 유무, 그리고 그 범죄행위의 성격 등을 종합적으로 고려해야 합니다. 친족상도례는 친족 간의 범죄에 대해 형량을 감경하는 제도로, 가해자와 피해자 간의 특수한 관계를 고려한 것입니다. 따라서 구체적인 사실관계를 면밀히 검토하여 친족상도례 적용 여부를 판단해야 할 것 같습니다.
-
생활법률 1~14주차 퀴즈 Quiz 18페이지
1주차 QuizQuiz 1. 신법에 의하여 공소시효가 연장된 때에 법 시행 이전에 이미 공소시효가 완성된 범죄에 대하여 소급효금지의 원칙이 적용되어지는가의 여부(대법원 1997.4.17. 96도3376; 헌법재판소 1996.2.16. 96헌가2, 96헌바7?13)우리나라는 형법 제 1조 2,3항에 소급효금지의 원칙을 들고 있다. 소급효금지의 원칙이란, 형법은 효력발생 이후의 행위에만 적용되며 시행되기 이전의 행위에까지 소급하여 효력을 갖지는 않는다는 원칙이다. 이 원칙의 근본취지는 개인의 지위보장에 있다. 따라서 신법이 시행되기 이...2014.04.24· 18페이지 -
[형법사례연습] 자기명의 신용카드 사용과 사기죄/ 갈취한 신용카드의 사용과 절도죄 등(하태훈 `형법사례연습` 사례 26번) 10페이지
형법사례연습 발표문사례집 사례 26 - 자기명의 신용카드 사용과 사기죄/ 갈취한 신용카드의 사용과 절도죄/ 친족상도례의 적용범위2007110066 김동민I. 문제의 소재II. A사의 신용카드를 사용한 행위의 죄책1. 사기죄의 성립 여부(1) 서(2) 대금결제 의사와 능력이 없는 물품구입행위의 죄책(3) 대금지급 의사 없는 현금서비스 수령행위의 죄책(4) 사안의 검토2. 여신전문금융업법위반죄의 성립 여부III. B사의 신용카드를 발급받은 후 사용한 행위의 죄책1. 사기죄의 성부(1) 서(2) 신용카드 발급 행위의 사기죄의 성립 여부(...2010.10.09· 10페이지 -
보라매 사건과 김할머니 사건에 대한 비교와 형사법적 고찰 11페이지
1형법연습과제-보라매 사건과 김할머니 사건에 대한 비교와 형사법적 고찰목차Ⅰ. 서론Ⅱ. 보라매 병원 사건1. 사건의 개요2. 갑ㆍ을ㆍ병ㆍ정의 죄책Ⅲ. 이른바 ‘김할머니 사건’1. 사건의 개요2. 판결의 요지Ⅳ. 안락사1. 진정안락사2. 부진정안락사(생명을 단축시키는 안락사)3. 법적취급4. 존엄사5. 김할머니사건의 경우6. 보라매사건의 경우Ⅳ. 연명치료 중단과 의사의 형사책임1. 의사의 보증인 지위 인정 여부2.연명치료중단의 법적 성질3. 의사에게 살인의 고의가 인정되는지 여부4. 환자의 명확한 의사결정에 의한 연명치료중단5. 환자...2011.05.18· 11페이지 -
정범의 객체의 착오와 간접정범의 성립 여부 15페이지
정범의 객체의 착오와 간접정범의 성립 여부갑은 자신의 말에 사사건건 시비를 걸며 반발하던 K에 대한 증오심이 폭발하여 K를 혼내주기로 마음을 먹고 달빛이 어스름한 어느 날 밤 평소 연습용으로 사용하던 권투 글러브를 준비하고 K가 귀가를 위해 통행하던 대나무 숲에서 기다리고 있었다. 그런데 이 사실을 눈치 챈 을은 ‘애구 잘 됐다. 이번 기회에 눈에 가시 같은 M 녀석 피멍 드는 꼴이나 한 번 볼까’ 생각하며 M(K와 신장과 체격 면에서 서로 비슷함)에게 전화를 걸어 중요한 일로 급히 할 말이 있다고 속여, 갑이 기다리고 있던 위 대...2012.02.17· 15페이지 -
형법연습사례(준강도상해죄와 승계적공동정범, 공무집행방해죄) 4페이지
형법연습 사례 15번갑은 모 백화점 구두코너에서 구두를 고르는 척하다가 새 구두를 신고 그대로 도망쳤다. 이때 종업원 을이 이를 보고 갑을 쫓아가 잡은 후 멱살을 잡고 백화점으로 가자고 하고 있는데 때마침 길을 가다가 이러한 광경을 목격한 갑의 친구 병은 갑이 급히 도와달라는 요청을 듣고, 갑이 편을 들어 갑과 함께 을을 때려 전치 2주간의 상해를 입었다. 그리고 이러한 사실의 신고를 받고 출두한 경찰관 정이 갑과 병을 체포하려고 하자 갑과 병은 정을 발로 차 동인에게 전치 2주간의 상해를 가하였다. 이러한 경우 갑과 병의 형사책임...2009.06.17· 4페이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