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방송통신대학교] 2022년도 2학기 일본학과 현대일본경제의이해 중간과제물 A+ (성적우수졸업)
본 내용은
"
[한국방송통신대학교] 2022년도 2학기 일본학과 현대일본경제의이해 중간과제물 A+ (성적우수졸업)
"
의 원문 자료에서 일부 인용된 것입니다.
2024.05.02
문서 내 토픽
  • 1. 일본의 실질 GDP 동향
    코로나 유행 이전인 2019년 4분기를 기준으로 각국의 실질 GDP 수준을 100이라고 했을 때, 2022년 1분기 시점에서 중국은 111, 미국은 102.7, 영국은 100.7로 100을 상회했다. 반면 일본은 99.4로 여전히 100을 밑돌고 있다. 이는 유행 초기 90초반까지 하락했던 것에 비하면 상당 수준 회복했지만, 서구 국가들에 비해 상대적으로 더딘 회복세를 보이고 있다. 그 요인으로는 감염 확산 시기의 차이, 백신 접종 지연, 부품 공급 부족 등이 지적되고 있다.
  • 2. 개인소비 동향
    개인소비에서 서비스는 매우 감소한 상황이 지속되었으나, 재화는 상대적으로 안정적이었다. 이후 서비스의 약세는 계속되었으나 위드코로나로 그 정도가 약해졌고 2022년 3월 이후 반등하는 추세다. 연령별로는 25-39세보다 60-74세 같은 고연령층의 소비 감소가 더 컸는데, 특히 숙박, 여행 등 대면 서비스 부문에서 큰 폭의 감소가 나타났다.
  • 3. 자녀양육 가구의 교육보육 지출
    2019년에 비해 2020-21년의 자녀양육 가구의 교육보육지출은 감소했다. 특히 유아교육보육 지출이 크게 줄었는데, 이는 2019년 10월부터 시행된 유아교육보육의 무상화와 코로나 이후 시행된 임시 휴원 시 이용자의 보육 이용료 감면 때문이다. 한편 유아초등학교 보습교육과 중학교 보충학습은 2년 연속 지출이 증가했다. 소득계층별로는 고소득층(5분위)의 사교육 지출이 크게 늘어났는데, 이는 원격수업 증가에 따른 보완 수요로 보인다.
  • 4. 외식 및 식품 소비 동향
    펍, 레스토랑, 선술집 등 대면 서비스 업종의 고객수와 매출이 크게 감소했다. 패밀리 레스토랑, 디너 레스토랑, 다방 등도 유사한 양상을 보였다. 반면 식재료와 조리식품의 지출은 증가했는데, 특히 2020-21년 사이 조리식품의 증가폭이 확대되었다. 이는 자취생활의 피로감 증가로 인한 것으로 보인다. 패스트푸드는 테이크아웃 증가로 고객단가가 상승하면서 매출이 오히려 코로나 이전보다 증가했다.
Easy AI와 토픽 톺아보기
  • 1. 일본의 실질 GDP 동향
    일본의 실질 GDP 동향은 최근 몇 년간 완만한 상승세를 보이고 있습니다. 코로나19 팬데믹의 영향으로 2020년에는 일시적인 하락세를 보였지만, 2021년부터 점진적인 회복세를 보이고 있습니다. 이는 정부의 적극적인 경기부양책과 기업들의 생산성 향상 노력, 그리고 소비자들의 점진적인 소비 회복 등에 힘입은 바가 크다고 볼 수 있습니다. 향후에도 일본 경제가 지속적으로 성장하기 위해서는 기술혁신과 생산성 향상, 그리고 내수 시장 활성화 등 다각도의 노력이 필요할 것으로 보입니다.
  • 2. 개인소비 동향
    일본의 개인소비 동향은 최근 몇 년간 다소 부진한 모습을 보이고 있습니다. 코로나19 팬데믹의 영향으로 2020년에는 큰 폭의 감소세를 보였고, 2021년에도 완만한 회복세에 그치고 있습니다. 이는 소비자들의 경기에 대한 불확실성과 가계 부채 부담 등이 작용한 결과로 보입니다. 향후 개인소비 회복을 위해서는 고용 안정과 소득 증대, 그리고 정부의 적극적인 소비 진작 정책 등이 필요할 것으로 판단됩니다. 또한 디지털 전환과 새로운 소비 트렌드에 발맞춘 기업들의 대응도 중요할 것으로 보입니다.
  • 3. 자녀양육 가구의 교육보육 지출
    일본의 자녀양육 가구들은 교육과 보육에 상당한 지출을 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나고 있습니다. 특히 사교육비 지출이 큰 비중을 차지하고 있는데, 이는 입시 경쟁이 치열한 일본 교육 환경의 특성을 반영하고 있습니다. 또한 보육 서비스 이용에 따른 비용 부담도 적지 않은 것으로 보입니다. 향후 자녀양육 가구의 교육보육 지출 부담을 완화하기 위해서는 공교육 강화와 보육 서비스 확대, 그리고 정부의 다양한 지원 정책 등이 필요할 것으로 판단됩니다.
  • 4. 외식 및 식품 소비 동향
    일본의 외식 및 식품 소비 동향은 최근 몇 년간 다소 변화를 보이고 있습니다. 코로나19 팬데믹의 영향으로 외식 수요가 크게 감소했지만, 최근에는 점진적인 회복세를 보이고 있습니다. 한편 가정 내 식품 소비는 증가하는 추세인데, 이는 재택근무 확산과 건강에 대한 관심 증가 등에 기인한 것으로 보입니다. 향후 외식 및 식품 소비 시장의 변화에 대응하기 위해서는 업체들의 새로운 서비스 개발과 마케팅 전략 수립, 그리고 정부의 지원 정책 등이 필요할 것으로 판단됩니다.
주제 연관 토픽을 확인해 보세요!